주한미군 '위안부'의 흔적, 잘 보존해야 하는 이유

대한민국 뉴스 뉴스

주한미군 '위안부'의 흔적, 잘 보존해야 하는 이유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OhmyNews_Korea
  • ⏱ Reading Time:
  • 40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9%
  • Publisher: 51%

동두천 시청 앞에서 일인시위 40일, 천막농성 20일, 두 달이 지났다. 9월 14일 추석 연휴가 시작되는 날, 오전 일찍 천막을 걷고 농성장 철수 작업을 했다. 연휴 마지막 날인 9월 18일 농성 천막을 성병관리소가 있는 소요산으로 옮기기로 한 것이다. 시청 농성장을 정리하며, 비에 젖고 흙 묻은 텐트를 씻고 말리며, 마음...

동두천 시청 앞에서 일인시위 40일, 천막농성 20일, 두 달이 지났다. 9월 14일 추석 연휴가 시작되는 날, 오전 일찍 천막을 걷고 농성장 철수 작업을 했다. 연휴 마지막 날인 9월 18일 농성 천막을 성병관리소가 있는 소요산으로 옮기기로 한 것이다. 시청 농성장을 정리하며, 비에 젖고 흙 묻은 텐트를 씻고 말리며, 마음이 착잡했다. 경기도를 비롯해 국가유산청, 정부행정기관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제시한 '보존 및 활용에 관한 협의안'이 어느 것도 받아들여지지 않고 무산되었다. 결국 문제 해결을 위한 실질적인 협의 주체가 없었고 공대위에선 논의할 상대가 없었다.

성병관리소 철거와 보존 논란이 제기된 이후, 지금까지 일 년 반이 지나도록 동두천시와 시민들 간에 '논의의 장'은 열린 적이 없다. 보존을 바라는 시민단체에서 아무리 토론을 하자, 민주적 절차를 거치자고 해도 동두천시의 태도는 완강했다. 특히 동두천 시장은"보존 불가""철거 집행" 방침에 변함이 없었다. 나아가 시의회 의장의 발언이나 자세를 보면 마치 자신이 시장이라도 되는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켰다. 한국 정부는 일제하 일본군 성노예 제도를 해방 후에 한국군과 미군에 도입했다. 특히 미군 위안부는 주한미군이 한국에 안정적으로 주둔할 수 있도록 한국 정부가 운영하고 관리한 것이었다. 그러나 미군 위안부의 존재는 한국 사회에 잘 알려지지 않았다. 미군 위안부 희생자들에 대해서는 정부가 침묵했다. 더구나 군사정권 시절엔 미국이나 미군에 문제제기를 하는 것 자체가 금기였다.

일본군 위안부와 미군 위안부를 동일한 시각으로 볼 때 그 문제의 연결성을 객관으로 다루는 게 핵심이다. 그렇지 않으면 여전히 많은 사람들은 '위안부'라는 말에 동의하지 않는다. 더구나 '미군 위안부'라고 하면 당장 빨갱이라고 몰아붙이기도 한다. 성병관리소는 지어진 지 50년이 된 위험한 건축물일 수 없다. 한국 사회가 직면했던 역사적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 성병관리소를 보존하여 당대 시기의 사회적 문제들을 이해하는 중요한 현장으로 삼아야 하는 이유이다. 낡고 폐허가 된 성병관리소 건축물 원형이야말로 무엇보다 중요한 자료이기 때문이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OhmyNews_Korea /  🏆 16.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내 아이는 수련회에 못 간다고? 부모가 나서면 바뀐다내 아이는 수련회에 못 간다고? 부모가 나서면 바뀐다[류승연의 특수교육 A to Z] 발달장애아 부모일수록 학부모회와 학교운영위원회 참여해야 하는 이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주한미군 '위안부' 현장 증거 없애려는 동두천시주한미군 '위안부' 현장 증거 없애려는 동두천시철거예산 확보로 철거가 임박한 성병관리소 9월 8일, 천막농성 15일째다. '경기북부평화시민행동'에서는 동두천 시청 앞에 천막농성장을 차리고 시의회의 추가경정예산안에 포함된 성병관리소 철거비용 통과를 막아내고자 했지만 끝내 막지 못했다. 9월 6일 오전에 동두천시 의회는 의원 7인 전원 찬성으로 철거예산을 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대륙 곳곳에 유령처럼 남은, ‘먼저 간 사람들’의 흔적대륙 곳곳에 유령처럼 남은, ‘먼저 간 사람들’의 흔적나는 유령을 믿지 않지만 유령이라는 단어를 좋아한다. 그 텅 빈 존재가 지나갈 때 즉물적인 사고에 빠져 있는 우리의 뒷덜미를 으스스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그 으스스함으로 우리는 돌아보게 되고 의문을 갖게 된다. 그렇다, 유령은 생각하게 하는 존재다. 사람들이 모이는 곳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차인표, ‘훈 할머니’ 보고…옥스퍼드대 교재 된 ‘위안부 소설’의 시작차인표, ‘훈 할머니’ 보고…옥스퍼드대 교재 된 ‘위안부 소설’의 시작배우에서 작가로 변신한 차인표가 일본군 위안부 관련 소설을 집필하게 된 배경을 밝혔다. 차인표는 지난 28일 방영된 티브이엔(tvN) ‘유퀴즈 온 더 블록’에 출연해 일본군 위안부로 캄보디아에 끌려갔다가 55년 만에 고국땅을 밟은 ‘훈 할머니’ 이남이씨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주식 빠진 나도 도박중독자? 한국인만 바카라 하는 이유주식 빠진 나도 도박중독자? 한국인만 바카라 하는 이유도대체 도박에는 어떤 특성이 있길래 가족의 신뢰를 저버리고도 끊어내지 못하는 걸까요? ‘더, 마음’에서는 어떤 사람들이 도박에 잘 빠지는지, 한국인들은 왜 ‘바카라’를 좋아하는지, 주식 중독의 위험 신호는 무엇인지, 내 아이가 도박하는 걸 알아챌 수 있는 법은 없는지 등을 살펴봅니다. 금전적으로 손해 보고, 가족 간 문제 생기는데도 반복해서 주식을 한다면 도박 중독과 똑같아요. 승산 있어요!' 내가 지금 주식을 도박처럼 하고 있는지, 주식 중독인지 알아볼 수 있는 체크리스트가 있나요? 도박중독진단기준(DMS-5)에 있는 9가지 기준을 주식이나 가상화폐에 맞춰 살을 붙여봤어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코리아 디스카운트 원인 뻔한데... 해결 못 하는 이유코리아 디스카운트 원인 뻔한데... 해결 못 하는 이유[소셜 코리아] 자본 압력에 굴복해 변죽만 울려... 해결책은 평화체계 구축, 재벌 견제, 국민연금 활용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3-30 00:5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