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안국제공항의 관제량이 다른 중소공항 대비 3배 가까이 많았던 것으로 밝혀졌다. 제주항공 참사로 항공관제의 중요성이 부각된 가운데, 무안공항은 관제량이 양양, 여수, 울산 관제탑보다 훨씬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항공 참사로 항공관제의 중요성이 다시 한번 부각된 가운데 무안국제공항의 관제량 이 다른 중소공항 대비 3배 가까이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무안공항 관제탑광고 이는 양양 관제탑(1만9천78대·하루 52대), 여수 관제탑(1만4천710대·하루 40대), 울산 관제탑(1만2천820대·하루 35대)보다 훨씬 많은 관제 대수다. 울산 관제탑과 비교하면 연간이나 월평균 기준으로 모두 3배가 많다. 무안 관제탑은 모두 7명의 관제사 가 2∼3명씩 교대로 일했는데 양양 관제탑의 관제사 수도 7명이었다. 여수와 울산 관제탑의 관제사 수는 각 4명이었다. 설립 직후인 2008년 연간 6천295대(하루 18대)에 불과했던 무안 관제탑 관제량 은 이후 4천∼7천대 수준을 유지하다 2014년 하반기 제주공항 활주로 공사로 무안 공항이 교체 공항으로 지정받으면서 관제량 이 2만5천310대(하루 69.3대)로 늘었다.
이후 교체 공항 유지에다 비행 항공 훈련기 관제까지 더해지면서 무안 관제탑 관제량은 2015년(4만9천401대·하루 135대), 2016년 6만6천413대(하루 181대), 2017년 6만3천855대(175대)로 급증했다. 관제량이 크게 늘자 부산지방항공청은 2017년 관제 인력 부족과 피로 누적에 따른 안전사고 우려를 거론하며 2018년부터 오후 9시에서 다음 날 오전 7시 사이의 무안 공항 야간운항을 제한하려 했지만, 전남도 등 지역사회 반발로 결국 백지화됐다.국토부도'무안 공항 교통량 증가에 따라 관제 인력을 추가 충원, 24시간 운항에 문제가 없도록 조치 예정'이라고 밝혔지만, 당시 6명이었던 관제사 수는 현재 7명으로 1명 느는 데 그쳤다. 항공교통관제사 피로관리 국제기준에 따르면 관제사의 근무 시간은 12시간(야간 10시간)을 초과하지 않으며 관제 업무시간은 휴식 시간 없이 2시간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관제사 업무 과중은 피로도로 연결돼 항공 안전에 직결되기 때문이다.항공업계 전문가는'항공교통 관제사는 조종사 못지않게 항공 안전에 중요한 인물'이라며'과도한 업무강도는 관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무안항공사 참사, 새떼 충돌 의심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당일 아침 무안공항 활주로 위에 새떼가 하늘을 뒤덮었다는 공항직원 증언이 나왔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무안 항공 참사, 지방 중소공항 8곳 안정성 논란지난달 무안 제주항공 참사 이후, 건설 중인 지방 중소공항 8곳의 안전관리 역량과 사업성에 대한 우려가 증폭되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선결제 물결, 무안공항에 퍼져탄핵 시위와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이후 선결제 선행이 이어지고 있다. 무안공항 이디야커피는 유족과 자원봉사자를 위해 선결제 선행에 나섰고, 세븐일레븐도 생필품을 나눠주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무안공항 참사, 가덕도신공항 건설에 관심 집중제주항공 여객기에 조류 충돌이 원인으로 추정되는 무안공항 참사 이후, 동남권신공항으로 추진 중인 가덕도신공항 건설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무안공항 로컬라이저 설치, 국토부 '규정 준수' 주장제주항공 참사 이후 사고 여객기가 무안공항 로컬라이저와 충돌해 피해가 커졌다는 주장이 제기되자 국토교통부는 로컬라이저 설치가 규정에 맞았다고 밝혔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제주항공 참사 이후, 무안공항 곳곳에 시민들의 따뜻한 손길제주항공 참사 사흘째인 31일, 무안국제공항에는 유가족들을 위한 물품 지원과 위로의 손길이 끊이지 않는다. 자원봉사단체, 종교단체, 시민사회단체 등이 꾸린 다양한 부스에서 음식, 담요, 세면도구 등을 나눠주고 있으며, '선결제' 행렬도 끊이지 않는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