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복기가 3주에 이를 정도로 길어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는 감염자 확인도 어렵다고 합니다.
유럽을 중심으로 전 세계에서 확산 중인 '원숭이두창' 감염자가 결국 국내에서도 발생했다. 주로 밀접접촉에 의해 감염되는 원숭이두창은 코로나19에 비해 전파력이 낮지만 치명률은 높다. 잠복기가 3주에 이를 정도로 길어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는 감염자 확인도 어렵다.
22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21일 독일에서 입국한 국내 첫 확진자는 입국 전인 18일 두통이 시작됐고 입국 당시에는 37도의 미열과 인후통, 무력증, 피로 등 전신증상 및 피부병변이 나타났다. 급성 발열과 피부병변은 원숭이두창의 대표적인 증상이다. 유럽에서는 쥐 등 설치류가 주 감염 매개체로 지목되는데, 사람 간 전파는 피부나 성 접촉 등 감염자와의 밀접접촉이 감염 원인으로 알려졌다. 비말을 통한 호흡기 전파 가능성이 낮아 코로나19만큼 전파력이 강하지는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세계보건기구는 입안에 궤양, 발진 등이 있을 경우 진물이 침에 섞여 퍼지면서 전염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감염병 전문가들은 코로나19보다 훨씬 높은 치명률을 주시하고 있다. WHO에 따르면 최근 원숭이두창 치명률은 3∼6%다. 코로나19 국내 누적 치명률은 0.13%다.
3주가량의 잠복기는 감염 확산의 변수다. 증상이 발현되기 전에는 PCR 검사로 감염 여부 확인이 어렵기 때문이다. 방역당국이 고위험군 접촉자에 한해 21일간 격리 조치를 취하는 것도 잠복기를 감안해서다. 임숙영 중앙방역대책본부 상황총괄단장은"감염자가 많이 발생한 국가를 다녀온 입국자의 발열 감시를 강화하고 신속한 대응을 위해 관계 기관 협조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WHO에 따르면 올해 들어 이달 15일까지 전 세계 원숭이두창 확진 사례는 42개국 2,103명이다. 사망자는 나이지리아에서 1명이 보고됐다. 아시아에서는 22일 기준 아랍에미리트와 이스라엘에서 많이 발생했고, 레바논과 싱가포르 한국에서 1명씩 나왔다. 댓글 쓰기 이 기사와 관련된 기사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당신이 관심 있을만한 이슈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원숭이두창: 싱가포르 첫 감염 사례, 한국도 첫 확진자 나와 - BBC News 코리아원숭이두창: 싱가포르 첫 감염 사례, 한국도 첫 확진자 나와 원숭이두창 바이러스가 싱가포르와 한국서도 첫 확진이 공식적으로 확인됐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식당서 스쳐도 감염되나, 치료법은?'…원숭이두창 A to Z국내 확산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옵니다.\r원숭이두창 국내 전염병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원숭이두창 증상 잠복기 최대 3주…“공기감염은 흔하지 않아”감염 바이러스가 포함된 미세 에어로졸을 통한 공기 전파도 가능하나 흔하지는 않기 때문에 코로나19처럼 전파력이 높은 질환은 아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