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전국에서 공시가격이 가장 비싼 아파트는 서울 강남구 청담동 '에테르노 청담'으로 조사됐다. 13일 국토교통부가 공개한 올해 공동주택 공시가격(안)에 따르면 에테르노 청담 전용면적 464.11㎡의 올해 공시가격은 200억6000만원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지난해까지 4년 연속 1위였던 청담동 '더펜트하우스청담'은 전용면적 407.71㎡의 공시가격이 172만1000만원으로 공시가격 2위로 나타났다.
4년 만에 '대한민국에서 가장 비싼 아파트 '가 바뀌었다. 올해 전국에서 공시가격이 가장 비싼 아파트 는 서울 강남구 청담동 ' 에테르노 청담'으로 조사됐다.
13일 국토교통부가 공개한 올해 공동주택 공시가격에 따르면 에테르노 청담 전용면적 464.11㎡의 올해 공시가격은 200억6000만원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공시가격 2위에 그쳤던 지난해보다 72억원이 올랐다. 에테르노 청담은 2023년 말 준공, 지난해 초 입주를 시작했다. 청담동 소재 한강변 아파트로, 프리츠커상 수상자인 라파엘 모네오가 설계했다. 가수 겸 배우 아이유가 분양받은 아파트로 알려져 있다.지난해까지 4년 연속 1위였던 청담동 '더펜트하우스청담'은 전용면적 407.71㎡의 공시가격이 172만1000만원으로 공시가격 2위로 나타났다. 1년 전보다 8억1000만원 올랐다.
더펜트하우스청담은 옛 호텔 엘루이 부지에 위치해있다. 2020년 8월 입주 후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 4년 연속 공시가격 1위를 기록한 아파트다. 이 아파트는 배우 장동건·고소영 부부, 골프선수 박인비 등 유명인이 다수 거주하는 것으로 알려졌다.3위는 서울 용산구 한남동 '나인원한남'으로 전용면적 244.72㎡가 163억원, 4위 한남동 '한남더힐'은 244.75㎡가 118억6000만원이다. 지난해보다 각각 56억3000만원, 19억6800만원 올랐다.서울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원베일리는 처음으로 공시가격 10위권에 등장했다. 234.85㎡가 110억9000만원으로 5번째로 높은 공시가격이다. 원베일리는 올해 처음으로 공시가격이 매겨졌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아이유·송중기가 사는 그 아파트…국내 최초 공시가 200억 넘겼다고급 주상복합단지 에테르노청담 PH129 제치고 공시가 1위 기록 200억원 넘는 거래 이번이 최초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가족 있어도 도움 못받는데”...의료급여 못받는 빈곤층 줄어든다의료급여 ‘부양의무자 기준’ 점차 완화 연 소득 1억·공시가 9억 주택땐 그대로 자녀 소득 일부 부모 부양비로 잡는 간주 부양비 아들·딸 모두 10%로 인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10억 안팎 서울 아파트 거래 많은 지역 어디?...강남권은 소형 비율 높아최근 1년간 서울에서 8억~12억원 사이 아파트 매매가 가장 활발한 곳은 성북구와 영등포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7일 중앙일보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분석한 결과, 지난 1년(2023년 3월 5일~24년 3월 5일 기준)간 서울에서 실거래 신고된 아파트 5만7430건 중 8억~12억 아파트 매매 비중은 27.9%(1만6030건)였다. 같은 기간 영등포구(1242건)와 강동구(1165건), 동작구(1138건), 성동구(1053건)도 상대적으로 이 가격대 아파트 거래가 많았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상속세 논쟁 뛰어든 한동훈 “정상화 필요…李에 세법 개정 논의 제안”韓, 99년 1.5억 아파트 현재 20억 넘는다고 소개 “52시간 간본 李, 상속세 개편 진심인지 모르겠다” “집값상승 감안 과표구간 조정·공제한도 확대해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아파트 양극화…서울 공시가 +7.86%, 부산·대구·광주 -1~2%올해 전국 아파트 등 공동주택 공시가격이 지난해 대비 평균 3.62% 상승했다. 현실화율(시세 대비 공시가격 비율)이 69%로 고정돼 시세 변동분만 반영된 결과로, 지난해(1.52%)보다 상승률이 높은 편이다. 올해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 등 공동주택 소유자의 보유세 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외환보유액 4100억달러선 깨졌다…4년 9개월 만에 최저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2월 말 기준 외환보유액은 4092억1000만 달러로, 1월 말보다 18억 달러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체 외환보유액 규모는 2020년 5월 말(4073억 달러) 이후 4년 9개월 만에 가장 작았다. 중국이 3조2090억 달러로 가장 많았고, 일본(1조2406억 달러)과 스위스(9173억 달러), 인도(6306억 달러), 러시아(6208억 달러), 대만(5776억 달러), 사우디아라비아(4343억 달러), 홍콩(4215억 달러)이 뒤를 이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