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마다의 속도에 맞춰 자라는 튤립, 우리 아이들 모습 같아

대한민국 뉴스 뉴스

저 마다의 속도에 맞춰 자라는 튤립, 우리 아이들 모습 같아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OhmyNews_Korea
  • ⏱ Reading Time:
  • 32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6%
  • Publisher: 51%

저 마다의 속도에 맞춰 자라는 튤립, 우리 아이들 모습 같아 튤립 꽃 봄 튤립축제 에버랜드 한제원 기자

3월 중순이 되면 여기저기서 튤립 축제 소식이 들린다. 튤립 축제가 3월 중순 이후부터 4월까지 이어진다는 걸 지난 2020년에야 알았다. 이 당시 코로나는 모든 것을 앗아간 듯했지만 개인적으로 봄을 보는 눈을 찾았다. 튤립 축제가 봄이라는 걸 알았던 것도 그때였다.

이후 지난해까지 3월마다 튤립을 보러 갔다. 갈 때마다 모양이 다 달랐다. 시간이 지날수록 개화한 정도가 다 달라졌는데, 튤립 축제가 시작되는 초반에 봉우리진 튤립이 더 많은 튤립 꽃밭이 가장 좋았다. 추운 겨울을 겨우 보내고 지겹게 입은 검은 룽패딩을 벗어 던지고 비로소 만나는 형형색색의 봄, 튤립은 바로 그 봄의 상징이 됐다. 드라마 에서 익준이가 이런 말은 한다. 나이 드니 핸드폰에 꽃 사진만 6000장이라고. 그때가 2020년, 내가 튤립에 반한 해다. 그 말이 머지않은 나의 미래라는 걸 알았기 때문이었을까. 튤립 꽃밭을 보면 어떤 아이는 줄기만 빼꼼한 구근, 어떤 튤립은 봉우리, 어떤 튤립은 이미 꽃이다. 저마다 자라는 속도가 다른 것이다. 달라도 이질적이지 않고 잘 어우러져 오히려 풍성함을 더한다.

오히려 그 크고 작음이 제각각의 모습이 꽃밭을 더 아름답게 만든다. 아이들을 종종거리고 키우느라 지쳤을 때, 솔직히 내 아이와 남의 집 애들이 비교될 때, 이 꽃밭을 바라보고 생각하며 심호흡을 내 쉬면 마음이 편해진다."우리들은 유치원에 모여 살아요"의 가사가 있는 동요의 앞 구절이"꽃밭에는 꽃들이 모여 살고요"인 건 이유가 있는 모양이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OhmyNews_Korea /  🏆 16.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운동스타그램’하는 마음…“나 계속 수련하고 있어요”‘#운동스타그램’하는 마음…“나 계속 수련하고 있어요”누군가는 매일 크게 다르지 않은 자세 수련하는 모습을 왜 자꾸 올리느냐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 운동스타그램 끊지 못하는 이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공군 수송기, 사막 위를 날다...'데저트 플래그' 훈련 참가공군 수송기, 사막 위를 날다...'데저트 플래그' 훈련 참가우리 공군이 아랍에미리트(UAE)에서 열린 '데저트 플래그' 연합 훈련에 처음으로 참가했습니다.모래와 파쇄석이 섞인 활주로에서도 힘차게 이륙하는 우리 공군 수송기의 모습 함께 보시겠습니다.사막 위 활주로에 우리 공군 수송기, C-130이 모습을 드러냅니다.힘찬 이륙과 함께 거대한 모래바람이 뒤따릅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은행·정유사 성과급 잔치, 나랑 상관있다고?! [그나몬]은행·정유사 성과급 잔치, 나랑 상관있다고?! [그나몬]“누군가에게 책임 없는 고통이 누군가에게 막대한 횡재 이익으로 돌아가는 부정의 함을 우리 사회가 횡재세를 통해서 바로잡는다는 것을 합의한다면 좀 더 연대하고 공생하는 사회로 바뀌어 나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비자금 냄새’ 전두환 아들 와인은 왜 한-미 정상 만찬에 올랐나 [논썰]‘비자금 냄새’ 전두환 아들 와인은 왜 한-미 정상 만찬에 올랐나 [논썰]와이너리, 결혼 축하금 160억, 페이퍼컴퍼니… 전두환의 손자 전우원씨가 전두환 일가가 보유한 막대한 재산이 ‘검은돈’으로 의심되는 정황을 구체적으로 제시해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 전두환 손자의 폭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은행이 공공재? 심지어 ‘공공의 적’ 취급받는 이유은행이 공공재? 심지어 ‘공공의 적’ 취급받는 이유지금의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과점 체제는 과거 외환위기(IMF 사태)에서 비롯됐다. 1997년 11월 21일 국제통화기금(IMF)에 구제금융을 신청할 당시만 해도 국내 일반은행(시중은행+지방은행)은 26개에 달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저 사람 누구' MB도 놀랐다…정치인 빙의하는 '인간 복사기' | 중앙일보'저 사람 누구' MB도 놀랐다…정치인 빙의하는 '인간 복사기' | 중앙일보그의 성대모사가 인기 있는 데는 남다른 이유가 있습니다.\r성대모사 정치 풍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13 03:0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