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정유사 성과급 잔치, 나랑 상관있다고?! [그나몬]

대한민국 뉴스 뉴스

은행·정유사 성과급 잔치, 나랑 상관있다고?! [그나몬]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kyunghyang
  • ⏱ Reading Time:
  • 60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7%
  • Publisher: 51%

“누군가에게 책임 없는 고통이 누군가에게 막대한 횡재 이익으로 돌아가는 부정의 함을 우리 사회가 횡재세를 통해서 바로잡는다는 것을 합의한다면 좀 더 연대하고 공생하는 사회로 바뀌어 나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고금리, 고유가, 고물가로 허리가 휠 지경입니다. 은행, 정유사는 성과급 1000%를 받았다는데 딴 세상 얘기입니다. 그런데 뉴스에선 은행, 정유사에 횡재세를 내라고 합니다. 기업이 돈을 벌었는데 왜 추가로 세금을 더 내라는 걸까요? 그게 나랑 무슨 상관일까요? 경향신문의 유튜브 채널 의 두번째 이야기, ‘횡재세 논란’을 소개합니다.

횡재세는 기업이 노력하지 않았지만, 정부 정책이나 대외환경 급변으로 기업이 운 좋게 초과 이익을 얻은 부분에 대해 부과하는 소득세로 ‘초과 이윤세’라고 합니다. 코로나19와 우크라이나 침공 전쟁이 2년째 이어지면서 특정 분야에서 엄청난 이익이 나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고금리 상황에 에너지 가격이 치솟다 보니 특히 은행과 정유사가 막대한 돈을 벌게 됐습니다. 은행이나 정유사가 별도의 기술 개발이라든가 투자를 한 게 아니라 평소대로 했는데 외부 요인으로 소득이 많이 늘어난 겁니다. 반면에 일반 소비자들은 높은 금리와 석유 가격 때문에 고통을 받게 되죠.상황이 이렇게 되자. 정치권에서는 횡재세 도입 논의를 시작했습니다. 기업들은 “이익이 났다고 횡재세를 걷으면 손해가 났을 땐 정부가 도와주냐”며 반발했습니다.

하지만 정부는 실제로 ‘도와줍니다.’ 정부는 시장에 문제가 생기면 개입해서 바로잡는 노력을 합니다. 반대로 비정상적인 상황에서 엄청난 손실을 본다면 당연히 정부는 거기에 상응하는 공적자금도 투입하고 건전성 조치를 할 겁니다. 조선업에 공적자금을 투입했을 때처럼 말이죠. 횡재세 논의는 처음이 아닙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횡재세가 논의됐지만, 정유사와 은행이 출연금과 기부금을 내며 여론을 잠재웠습니다. 횡재세는 걷는 세금만을 의미하진 않습니다. 보조금, 기여금, 가격 상한제가 될 수 있고요. 정부에서 은행을 압박해 금리 인상을 자제하게 되면 은행들은 금리 인상을 자제한 만큼 손실을 보게 됩니다. 이 손실 부분도 사실상 횡재세입니다.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1월 “은행은 공공재 측면이 있다”는 발언을 시작으로, 지난달 13일 수석비서관회의에서도 “‘은행의 돈잔치’로 인해 국민들의 위화감이 생기지 않도록 금융위는 관련 대책을 마련하라”며 연일 질타를 쏟아내자 은행권은 금리를 인하하고 3년간 10조원 이상 규모의 사회공헌 프로젝트를 내놨습니다. 횡재세를 부과하면서도 부과하지 않는 것처럼 은행 때리기로 초과 이익을 걷다 보면 문제가 생깁니다.

기업들은 횡재세 논란이 될 때마다 예상치 못한 출연금을 내는 게 나을까요? 횡재세를 투명한 과정을 거쳐 법으로 명시하는 게 경영할 때 예측 가능성이 생겨 좋지 않을까요? 기업들이 횡재세를 반대하는 이유 ‘횡재세 오해와 논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경향신문 유튜브 채널 ‘그나몬’ 영상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kyunghyang /  🏆 14.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한돈’ 상표 특별한 줄 알았더니…그냥 국산 돼지고기”“‘한돈’ 상표 특별한 줄 알았더니…그냥 국산 돼지고기”한돈 업계 관계자는 “소고기는 마블링 등에 따라 맛이 달라 가격에 차이가 있지만 한돈은 솔직히 등급과 상관없고 표시도 하지 않는다”면서 “1등급이라고 해도 일반 돼지고기와 섞어 팔기 때문에 등급 판정은 사실상 유명무실하다”고 말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꺼지지 않는 美 퍼스트리퍼블릭 위기설…주가 4분의 1토막 | 연합뉴스꺼지지 않는 美 퍼스트리퍼블릭 위기설…주가 4분의 1토막 | 연합뉴스(샌프란시스코=연합뉴스) 김태종 특파원=잦아드는 듯했던 미국 중소 은행 퍼스트 리퍼블릭 은행 위기설이 16일(현지시간) 재점화하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미국 퍼스트리퍼블릭은행 경영진, 주가 폭락 전 154억 원어치 매도''미국 퍼스트리퍼블릭은행 경영진, 주가 폭락 전 154억 원어치 매도'파산 절차에 들어간 미국 중소은행 실리콘밸리 은행 회장이 파산 직전 보유 주식을 대량 매도한 데 이어 위기설에 휩싸인 퍼스트리퍼블릭 은행 경영진도 주가 폭락 전 주식을 대량으로 팔아치운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미국 퍼스트리퍼블릭은행 경영진, 주가 폭락 전 주식 매도''미국 퍼스트리퍼블릭은행 경영진, 주가 폭락 전 주식 매도'파산 위기설에 휩싸인 미국 퍼스트리퍼블릭 은행 경영진이 주가 폭락 전 주식을 대량으로 팔아치운 것으로 나타났습니다.미 월스트리트 저널은 퍼스트리퍼블릭 은행 최고 경영진 6명이 지난 1월부터 50일 동안 주식 9만여 주를 팔았다고 보도했습니다.이때는 실리콘밸리 은행 파산의 여파로 은행 주식이 폭락하기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유럽으로 번진 공포‥세계 9위 투자은행도 흔들유럽으로 번진 공포‥세계 9위 투자은행도 흔들미국 실리콘밸리 은행 파산의 여파가 유럽 금융권까지 뒤흔들고 있습니다. 세계 9대 투자은행인 크레디트 스위스의 주가가 장중 30%까지 폭락했다가 스위스 중앙은행의 개입...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SVB 새 CEO '인출한 자금 다시 맡겨달라'…FDIC는 매각 진행(종합) | 연합뉴스SVB 새 CEO '인출한 자금 다시 맡겨달라'…FDIC는 매각 진행(종합) | 연합뉴스(샌프란시스코=연합뉴스) 김태종 특파원=사실상 파산 절차에 들어간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의 새로운 최고경영자(CEO)가 은행 살리기에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8 07:13: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