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세수펑크 30.8조…계엄사태 등에 재추계보다 1.2조 커져

세수펑크 뉴스

작년 세수펑크 30.8조…계엄사태 등에 재추계보다 1.2조 커져
계엄사태세수 재추계국세수입 실적
  • 📰 joongangilbo
  • ⏱ Reading Time:
  • 21 sec. here
  • 6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6%
  • Publisher: 53%

작년 세수결손 규모는 12·3 비상계엄 사태로 세금 납부 심리 등이 악화하면서 세수 재추계 때보다 1조2천억원 커졌다. 반도체 투자 증가로 환급이 늘면서 7천억원 줄고, 비상계엄 사태로 인한 내수 부진도 영향을 미쳤다. 2023년 기업실적 악화에 따라 지난해 기업들이 납부한 법인세가 줄어든 영향이다. - 세수펑크,계엄사태,세수 재추계,국세수입 실적,법인세수 악화

지난해 '세수 펑크' 규모가 30조8천억원으로 확정됐다. 유례 없는 2년 연속 대규모 세수결손이다.연합뉴스에 따르면 기획재정부는 10일 2024회계연도 총세입·총세출부를 마감하고 이런 내용의 '2024년 국세수입 실적 '을 발표했다.본예산보다는 30조8천억원 덜 걷혔다. 정부가 한 해 걷을 것으로 예상한 세수보다 실제 걷은 세금이 30조8천억원 적다는 뜻이다. 오차율은 -8.4%다.작년 세수는 작년 9월에 발표한 재추계치보다도 1조2천억원 줄었다. 세수결손 규모가 커졌단 의미다.법인세 수입도 12월 신고법인이 감소하면서 재추계보다 7천억원 줄었다.

조문균 기재부 조세분석과장은 세수 오차와 관련,"사후 검증뿐만 아니라 거시 지표 설정부터 모델 확정, 예산 과정까지 전반적으로 국회·전문가, 한국개발연구원을 참여시키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지난해 법인세는 62조5천억원 걷혔다. 전년보다 17조9천억원 줄었다. 2023년 기업실적 악화에 따라 지난해 기업들이 납부한 법인세가 줄어든 영향이다.취업자 수와 임금 증가 등 영향으로 근로소득세가 1조9천억원 늘었고 금리 인상으로 이자소득세도 2조원 증가했다.부가세는 지난해 민간소비가 1.1% 증가하고 소비자물가가 2.3% 상승한 영향 등으로 전년보다 8조5천억원 늘어난 82조2천억원 걷혔다.올해 국세수입 예산안은 382조4천억원이다. 작년 세수 실적보다 45조9천억원 증가해야 한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joongangilbo /  🏆 11. in KR

계엄사태 세수 재추계 국세수입 실적 법인세수 악화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삼성전자 작년 4분기 영업익 6.5조, 반도체 2.9조…전망치 하회삼성전자 작년 4분기 영업익 6.5조, 반도체 2.9조…전망치 하회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은 서버용 고부가가치 메모리 제품의 판매 확대로 전 분기 대비 3% 증가했으나, 완제품을 담당하는 디바이스경험(DX)부문은 스마트폰 신모델 출시 효과 감소로 전분기 대비 10% 감소했다. 메모리는 모바일과 PC용 수요 약세가 지속된 가운데 HBM과 서버용 고용량 DDR5 판매 확대로 D램 평균판매단가(ASP)가 상승해 4분기 기준 역대 최대 매출을 달성했다. 스마트폰을 담당하는 모바일 경험(MX)은 플래그십 신모델 출시 효과 감소 등으로 스마트폰 판매가 줄어 전분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이 하락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딥시크 충격’ 외국인 코스피 1.2조 던졌다…SK하이닉스 10% 급락‘딥시크 충격’ 외국인 코스피 1.2조 던졌다…SK하이닉스 10% 급락‘딥시크(DeepSeek) 쇼크’, 미국 기준금리 동결 등 세계 증시를 강타한 주요 사건은 설 연휴가 한국 증시에 남긴 밀린 숙제였다. 이재원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날 코스피는 설 연휴 동안 있었던 딥시크 쇼크를 반영했다'며 '반도체뿐만 아니라 전력기기·전선 등 AI 공급망 전반의 주가 약세로 이어지면서 코스피 지수 전반을 끌어내렸다'고 평가했다. SK하이닉스(-9.9%)·삼성전자(-2.4%) 등 반도체 관련주와 HD현대일렉트릭(-7.9%)·LS일렉트릭(-8.2%) 등 AI 전력주는 하락했지만, 네이버(6.1%)·카카오(7.3%) 등 AI 소프트웨어 관련주 주가는 상승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현대차, 제네시스 잘 달렸지만 … 관세·환경 규제 '산넘어 산'현대차, 제네시스 잘 달렸지만 … 관세·환경 규제 '산넘어 산'작년 매출 175조 사상 최대영업이익 전년비 5.9% 줄어내수·중국 시장 침체에도북미시장 판매는 10% 쑥제네시스 1년새 9% 증가현대차, GM과 리배징 검토엠블럼 바꿔달고 판매 추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작년 한해 시총 249조 '증발'…10곳 중 7곳 외형 줄었다작년 한해 시총 249조 '증발'…10곳 중 7곳 외형 줄었다(서울=연합뉴스) 한지은 기자=지난해 국내 시가총액이 249조원 감소했으며, 전체 주식 중 69.3%는 최근 1년 사이 시총이 하락한 것으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작년 한해 시총 249조 '증발'…10곳 중 7곳 외형 줄어작년 한해 시총 249조 '증발'…10곳 중 7곳 외형 줄어지난해 국내 시가총액이 249조원 감소했으며, 전체 주식 중 69.3%는 최근 1년 사이 시총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우선주를 제외한 국내 주식 2천749곳을 조사한 결과 국내 시총이 작년 1월 2일 기준 2천503조원에서 올해 1월 2일 기준 2천254조원으로 9.9% 감소했다고 13일 밝혔다. 또 주식 종목 1천904곳은 최근 1년 사이 시총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4대 금융지주, 작년 16조 원 이익 폭발...CET1 비율 관심4대 금융지주, 작년 16조 원 이익 폭발...CET1 비율 관심4일부터 실적발표를 시작하는 4대 금융지주가 작년 한 해 16조원 넘는 호실적을 거둘 전망입니다. 예대금리차 확대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 기저효과에 힘입어 금융지주들의 순이익은 1년 만에 10% 이상 급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달러당 원화값 급락으로 위험자본 비중이 커지면서 건전성 지표 악화 가능성이 커져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11 22:00: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