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률 OECD 1위 오명…서울시, 2030년까지 자살률 절반으로(종합)

대한민국 뉴스 뉴스

자살률 OECD 1위 오명…서울시, 2030년까지 자살률 절반으로(종합)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yonhaptweet
  • ⏱ Reading Time:
  • 42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0%
  • Publisher: 51%

(서울=연합뉴스) 최윤선 기자=서울시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더욱 깊어진 시민 외로움과 경제·사회적 복합 원인으로 증가하고 있는 자살 문제...

강민지 기자=12일 오전 서울 청계광장에서 열린 '같이 살자, 같생 서포터즈 박람회'에서 서포터즈가 전시를 소개하고 있다. 행사는 자살예방상담전화와 자살예방상담 사회관계망서비스 '마들랜' 등 자살예방 정책을 소개한다. 2024.9.12 [email protected]

최윤선 기자=서울시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더욱 깊어진 시민 외로움과 경제·사회적 복합 원인으로 증가하고 있는 자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책 패러다임을 전환한다.24시간 연결 가능한 전화 상담 창구와 자치구별 마음 상담소를 확대 운영하고 지역사회 내에서 자살 위험이 있는 이웃을 찾아내 전문기관에 연결하는 '생명지킴이' 등을 양성한다.시는 28일 이 같은 내용의 '자살예방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시가 지난 21일 내놓은 '고립·은둔 종합 대책-외로움 없는 서울'의 후속 1탄으로, 2026년까지 916억원을 투자한다.서울시민 2명 중 1명은 스스로 정신건강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지난 5년간 우울감 경험률은 8.5%로 1.9%포인트 상승했다.

김태희 서울시 시민건강국장은 이날 브리핑에서"초기 마음건강 문제를 방치할 경우 상당수가 고위험군으로 편입될 수 있다"며"초기부터 지역사회와 협력 관리하는 등 자살을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 책임으로 인식하자는 것이 이번 계획의 핵심"이라고 설명했다.먼저 자살 충동이 들거나 어려움이 있을 때 24시간 연결 가능한 '마음이음 상담전화' 상담 인력을 기존 12명에서 2026년까지 30명으로 늘린다.올해 2만명을 시작으로 매년 대상을 확대해 2027년부터는 매년 10만명에게 상담을 제공한다. 상담은 주 1회 총 8주간 제공하며 1인당 지원 금액은 회당 8만원이다.마을 상담소에서는 정신건강전문요원과 임상심리전문가가 마음건강에 대한 1차 상담을 하고 필요한 경우 민간 심리기관을 연계해 준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yonhaptweet /  🏆 17.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현장 화보] 노인 빈곤율·자살률 OECD 1위...초고령사회의 이면[현장 화보] 노인 빈곤율·자살률 OECD 1위...초고령사회의 이면우리나라 노인 빈곤율이 2020년 기준 40.4%, 인구 10만 명 당 자살률이 2021년 기준 42.2명으로 OECD 회원국 중 1위를 기록했다. OECD 평균(빈곤율 14...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자살률 1위 대한민국, 탈출을 위한 혁신의 출발점자살률 1위 대한민국, 탈출을 위한 혁신의 출발점OECD 국가 중 자살률 1위라는 현실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사후 대응만으로는 부족하며 모든 학생이 어릴 때부터 마음건강에 대한 보편적 교육을 받도록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고령화에…사망자 54%는 80세 이상고령화에…사망자 54%는 80세 이상통계청, 사망원인통계 발표 코로나 엔데믹에 사망 감소 자살률, 2년 만에 상승세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코로나 엔데믹에 작년 사망자 수 감소…자살률 9년만에 최고치(종합)코로나 엔데믹에 작년 사망자 수 감소…자살률 9년만에 최고치(종합)(세종=연합뉴스) 박원희 기자=코로나19 엔데믹(풍토병으로 굳어진 감염병)에 지난해 사망자 수가 전년보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마포대교 난간과 자살률 [슬기로운 기자생활]마포대교 난간과 자살률 [슬기로운 기자생활]임재희 | 이슈팀 기자 기자란 무엇인가. 9년 전 첫발을 들였을 때 한 선배는 ‘문제를 드러내는 직업’이라고 했다. 그러고선 나를 경찰서로 보냈다. 사건이나 사고를 쫓아다니게 했다. 찾았다면 왜, 어떻게 일어난 일인지 물었다. 2017년 안전모를 쓰고 서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감소세였던 자살률 급증…9년 만에 가장 높아졌다감소세였던 자살률 급증…9년 만에 가장 높아졌다지난해 ‘고의적 자해’로 사망(자살)한 이가 10만명당 27.3명으로 한해 전보다 2.2명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세적으로 내려가던 자살률이 갑자기 큰 폭 증가한 것이다. 9년 만에 가장 높은 자살률이기도 하다. 정부는 코로나19 후유증이 본격화됐기 때문이라는 풀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6 09:5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