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소세였던 자살률 급증…9년 만에 가장 높아졌다

대한민국 뉴스 뉴스

감소세였던 자살률 급증…9년 만에 가장 높아졌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hanitweet
  • ⏱ Reading Time:
  • 55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5%
  • Publisher: 53%

지난해 ‘고의적 자해’로 사망(자살)한 이가 10만명당 27.3명으로 한해 전보다 2.2명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세적으로 내려가던 자살률이 갑자기 큰 폭 증가한 것이다. 9년 만에 가장 높은 자살률이기도 하다. 정부는 코로나19 후유증이 본격화됐기 때문이라는 풀이

지난해 ‘고의적 자해’로 사망한 이가 10만명당 27.3명으로 한해 전보다 2.2명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세적으로 내려가던 자살률이 갑자기 큰 폭 증가한 것이다. 9년 만에 가장 높은 자살률이기도 하다. 정부는 코로나19 후유증이 본격화됐기 때문이라는 풀이를 내놨다. 올해 자살률이 추가 상승할 수 있다는 뜻이다.

통계청이 4일 발표한 ‘2023년 사망원인 통계’를 보면, 지난해 고의적 자해로 인한 사망자 수는 1만3978명이다. 1년 전에 견줘 1072명 늘었다. 하루 평균 38.3명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자살률은 10만명당 자살자 수로 따진다. 인구 규모 변화를 고려해 자살 규모를 파악하기 위해서다. 이 기준에 따르면 자살률은 지난해 27.3명으로 한해 전보다 2.2명 늘었다. 자살률은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가 컸던 2009~2011년 31명대까지 증가했다가 그 뒤로는 추세적으로 감소했다. 지난해 자살률은 2014년 이후 가장 높으며, 전년에 견준 증가폭도 2018년 이후 5년 만에 가장 크다.80대 이상을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자살률이 늘었다. 특히 60대가 1년 전에 견줘 3.7명, 50대가 3.5명, 40대가 2.7명 큰 폭으로 증가했다.

자살률이 빠른 시일 내에 감소할 여지는 작아 보인다. 올해 들어 7월까지 집계된 자살 사망자 수는 8777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견줘 4.9% 증가했기 때문이다. 이런 추세가 이어질 경우 연간 기준 자살률 증가는 피하기 어렵다.정부는 이런 흐름에 대해 ‘코로나19’ 원인론을 꺼냈다. 보건복지부는 이날 보도자료를 내어 “사회적 고립과 경제난 심화 등 코로나19가 남긴 후유증이 본격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전은정 복지부 자살예방정책과장은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사회적 재난 당시나 직후에는 사회적 연대 의식 등이 강해서 버티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일상 회복 뒤에도 현실이 나아진 게 없다고 여기는 개개인들을 중심으로 자살 위험이 높아진다”고 말했다.

한국은 오이시디 회원국 중 압도적인 자살률 1위 국가다. 오이시디 기준으로 환산한 자살률은 지난해 24.8명으로, 오이시디 평균 10.7명의 두배를 웃돈다. 우리나라에 이어 자살률이 높은 리투아니아에 견줘서도 훨씬 높다.한편 지난해 사망 원인 1위는 1983년 통계 작성이 시작된 이래 줄곧 사망 원인 1위인 악성 신생물이다. 암 사망률은 인구 10만명당 166.7명이다. 암 중에서도 폐암, 간암, 대장암의 사망률이 높았다. 암 다음 사망 원인은 심장 질환, 폐렴, 뇌혈관 질환 순이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hanitweet /  🏆 12.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고령화에…사망자 54%는 80세 이상고령화에…사망자 54%는 80세 이상통계청, 사망원인통계 발표 코로나 엔데믹에 사망 감소 자살률, 2년 만에 상승세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의대 증원 노렸다'…수능 응시 지원한 'N수생' 21년만에 최다'의대 증원 노렸다'…수능 응시 지원한 'N수생' 21년만에 최다(세종=연합뉴스) 김수현 기자=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 응시 지원한 졸업생이 21년 만에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주담대 받아 반찬 사고 공과금 낸다”...생활자금 사용, 1년 만에 20조 급증“주담대 받아 반찬 사고 공과금 낸다”...생활자금 사용, 1년 만에 20조 급증박성훈 국민의힘 의원실 자료 올해 2분기까지 324조원 신용대출 등 상환도 급증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2025학년도 ‘수능 n수생’ 18만명…21년 만에 가장 많아2025학년도 ‘수능 n수생’ 18만명…21년 만에 가장 많아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 응시하는 ‘엔(n)수생’이 21년 만에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11일 수능 응시원서 접수 결과를 발표해 올해 재수·삼수 등을 포함한 졸업생 응시자는 16만1784명이라고 밝혔다. 2024학년도 15만974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세계기상기구 “지난해, 30년 만에 가장 건조한 해”세계기상기구 “지난해, 30년 만에 가장 건조한 해”지난해는 최근 30년 만에 가장 빠르게 담수가 마른, 건조한 해였다. 물 공급이 부족할 위험에 처했다는 세계기상기구(WMO)의 보고서가 공개됐다. 7일(현지시각) 공개된 세계기상기구 세계수자원현황보고서 를 보면, 지난 5년 동안 전세계적으로 강 수위가 평균보다 낮았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220억에 팔리고 160억 분양까지…올해 서울 50억 이상 거래된 아파트 247채220억에 팔리고 160억 분양까지…올해 서울 50억 이상 거래된 아파트 247채초고가 아파트 거래량 10년 만에 최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7 19:5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