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피해자의 '처절한 투쟁 기록', 책 한 권에 담겼다

대한민국 뉴스 뉴스

일제 피해자의 '처절한 투쟁 기록', 책 한 권에 담겼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OhmyNews_Korea
  • ⏱ Reading Time:
  • 25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3%
  • Publisher: 51%

일제 피해자의 '처절한 투쟁 기록', 책 한 권에 담겼다 이금주 일제강제동원 어디에도없는나라 김형호 기자

한일 정상회담 결과에 대한 시민사회 반발이 이어지는 가운데, 1990년대 초부터 일본 정부와 일본 기업을 상대로 7건의 소송을 제기하는 등 평생을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 인권회복에 앞장서온 고 이금주 태평양전쟁희생자광주유족회장의 평전이 출간됐다.그의 남편은 1942년 11월 8개월 된 아들을 남겨둔 채 일본 해군 군무원으로 남태평양으로 끌려간 뒤, 1943년 11월 25일 남태평양 타라와섬에서 미군의 대규모 상륙작전 전투 중 사망했다.

1992년 원고 1,273명이 참여한 은 이후 대일 투쟁을 예고하는 신호탄이었다. 이 소송을 시작으로, 귀국선 ,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와 여자근로정신대 피해자 등이 합세해 원고로 참여한 , , , , 일본 외무성을 상대로 한 등 일본 정부와 전범기업을 상대로 7건의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일본 사법부에 제기했다. 한없이 무모해 보이는 그 싸움은 마침내 꿈쩍도 하지 않을 것 같은 거대한 벽에 하나씩 구멍을 내기 시작했다. 40여 년 동안 감춰져 있던 한일협정 문서가 공개되고, 강제동원특별법이 제정된 데 이어, 한국 정부 차원의 진상규명위원회가 발족한 것.

이 회장은 일제 피해자들의 인권을 위해 헌신해 온 공로를 인정받아 2019년 '대한민국 인권상'과 '국민훈장 모란장'을 받았다. 2021년 12월 끝내 일본의 사죄 한마디를 듣지 못한 채 102세를 일기로 한 많은 생을 마감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OhmyNews_Korea /  🏆 16.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한밤 무인가게에 버려진 강아지…주인찾아 한참을 허둥댔다 | 중앙일보한밤 무인가게에 버려진 강아지…주인찾아 한참을 허둥댔다 | 중앙일보강아지는 10시간 넘게 홀로 가게에 방치됐습니다. \r반려견 강아지 유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친일 잔재 청산의 길, 역사 정의의 길친일 잔재 청산의 길, 역사 정의의 길친일 잔재 청산의 길, 역사 정의의 길 친일청산 경기문화재단 기억투쟁 항일 역사정의 박진우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경남 곳곳 거리 나선 농민들 '이대로는 못 살겠다' 외쳐경남 곳곳 거리 나선 농민들 '이대로는 못 살겠다' 외쳐경남 곳곳 거리 나선 농민들 '이대로는 못 살겠다' 외쳐 농민 윤성효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평생 수학을 가르치던 내가 글을 쓴다평생 수학을 가르치던 내가 글을 쓴다평생 수학을 가르치던 내가 글을 쓴다 글쓰기 전원 브런치 책읽기 블로그 박희종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 대통령 “일 야당은 한국 야당 설득한다는데…낯부끄럽다”윤 대통령 “일 야당은 한국 야당 설득한다는데…낯부끄럽다”윤석열 대통령이 일본 야당이 한·일관계 개선을 위해 한국 야당을 직접 설득하겠다고 한 점을 언급하며 (한국 야당이) 부끄럽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거세지는 '강제동원' 후폭풍‥학계 비판 성명에 시국선언 잇따라거세지는 '강제동원' 후폭풍‥학계 비판 성명에 시국선언 잇따라정부의 일제 강제동원 배상안을 둘러싼 학계와 시민사회의 반발은 갈수록 커지는 양상입니다. 서울대와 동국대에 이어 오늘은 고려대 교수 80여 명이 반대 성명을 발표했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3-29 22:3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