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 관계 기업에 호소한다. 식민지 지배하 강제동원의 역사를 자각하고 반성해야 한다.” 일본 시민단체가 대법원 강제동원 피해 배상 판결 4주년을 맞아 일본 정부와 기업이 문제 해결을 위해 행동할 것을 촉구하는 공동성명을 발표했습니다. 🔽목소리 자세히 듣기
지난 2018년 10월 30일 대법원이 일본제철을 상대로 강제동원 피해 배상 확정판결을 내린 지 열흘여 뒤였던 11월 12일 한국과 일본의 시민단체 활동가와 강제동원 소송 피해자 변호인들이 판결 이행을 촉구하는 요청서와 피해자의 사진을 들고 도쿄 신일철주금 본사로 향했을 때의 모습. 자료 사진 일본 시민단체들이 대법원 강제동원 피해 배상 판결 4주년을 맞아 일본 정부와 기업이 문제 해결을 위해 행동할 것을 촉구하는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오랜 세월 강제동원 피해자 지원을 해온 일본 시민단체들이 연대해 만든 단체인 ‘강제동원 문제 해결과 과거청산을 위한 공동행동’은 30일 도쿄 중의원 제1의원회관에서 “피해자가 살아있을 때 해결을! 지금이야말로 사과하고 보상할 때”라는 이름으로 토론회를 열고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공동행동은 이날 성명에서 “ 판결 4년이 지났지만 판결은 이행되지 않고 있다”며 안타까움을 나타냈다.
무라야마 담화 이전인 1989년 3월에도 다케시타 노보루 당시 총리가 국회에서 “ 자각과 반성은 역사적으로도 지리적으로 가장 가까운 한반도와의 관계에서도 특히 명심해야 한다”고 발언한 점을 짚었다. 공동행동은 “과거 조선인 강제연행 소송 때 일본제철, 일본강관, 후지코시 등의 기업이 피해자와 화해하고 금전을 지급한 사례도 있다”며 “일본이 한반도 사람들에게 끼친 고통과 손해, 그런 역사적 사실을 자각하고 반성한다는 입장에 서면 한국 쪽의 요청에 응하는 것이 곤란한 것은 아닐 것이다”고 지적했다. 공동행동은 2018년 강제동원 피해 배상 판결 원고 중 아직 생존한 이들이 얼마 남지 않았고 모두 고령인점을 지적하며 “일본 정부, 관계 기업에 호소한다. 식민지 지배하 강제동원의 역사를 자각하고 반성해야 한다. ‘해결이 끝난 문제’라는 자세를 고쳐 한국의 판결을 받아들이고 피해자 구제를 위해 사과하고 보상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미쓰비시 강제동원' 피해자 '기다리다 세월 다 간다''미쓰비시 강제동원' 피해자 '기다리다 세월 다 간다' 시민단체들 의견서_대법원에_제출 미쓰비시_강제동원_피해자 윤종은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석열 정부는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 상처에 다시 소금을 뿌렸다”‘손해배상’ 대법 판결 4년, 미쓰비시 ‘무시’ 계속...외교부 ‘저자세 외교’ 논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 경기 만에 ‘명장-졸장’ 오가는 감독들…전술운 ‘롤러코스터’2022 카타르월드컵의 초반 조별리그에서 감독들의 명암도 수시로 바뀌고 있습니다. 하루아침에 영웅 반열에서 탈락하거나, 바닥을 치고 올라가는 사령탑도 있습니다. 🔽 사령탑들의 명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관중석 청소 잘하면 뭐하나'…욱일기 든 '두 얼굴의 일본팬' | 중앙일보일부 일본 팬들이 국제적 망신을 당했습니다.\r일본 욱일기 월드컵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네이버 라인이 만든 美 가상화폐거래소 3년도 안 돼 폐업 | 연합뉴스(로스앤젤레스=연합뉴스) 정윤섭 특파원=네이버의 일본 관계사 라인이 미국에 설립한 가상화폐거래소 비트프론트(Bitfront)가 영업을 개시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