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류세 인하 10월말까지 시행 국제유가 불안에 11번째 연장 “중동 긴장 고조에 민생 부담” 집중호우로 농산물 가격 상승 생산자물가 0.3% 올린 주원인
생산자물가 0.3% 올린 주원인 정부가 유류세 인하 조치를 두 달 더 연장하기로 했다. 중동전쟁 장기화로 국제유가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국내 물가가 출렁일 가능성이 있다는 판단에서다.
이상기후도 물가불안을 키우고 있다. 올해 여름철 폭염과 집중호우로 농산물값이 치솟으면서 생산자물가가 다시 오름세다. 생산자물가는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물가불안을 자극할 것으로 우려된다. 기획재정부는 당초 이달 말 종료 예정이던 유류세 인하 조치를 오는 10월 31일까지 연장 시행한다고 21일 밝혔다. 기재부는 이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교통·에너지 환경세법 시행령과 개별소비세법 시행령 개정안을 입법 예고했다.현재 휘발유에는 ℓ당 164원 내린 656원의 유류세가 붙는다. 경유에는 ℓ당 174원 인하된 407원이 부과되고 있다. LPG부탄에도 30%의 인하율을 적용해 ℓ당 142원을 매긴다.지난달부터는 세수 부족 우려를 감안해 휘발유와 경유 인하율을 모두 낮춘 바 있다. 이에 따라 지난달 석유류 물가는 1년 전 같은 달보다 8.4% 오르면서 2022년 10월 이후 21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이날 한국은행에 따르면 7월 생산자물가지수는 전월보다 0.3% 올랐다. 생산자물가지수는 지난 6월 7개월만에 하락했다가 한 달 만에 다시 반등했다. 전년 동월 대비 기준으로 보면 2.
품목별로 보면 농림수산품 가격이 1.6% 올랐다. 농림수산품 가격은 지난 4~6월 전월대비 마이너스를 기록하다가 증가로 전환했다. 상추, 오이, 닭고기, 우럭 등의 가격 상승이 특히 두드러졌다.서비스업 생산자물가도 0.2% 올랐는데, 음식점·숙박·금융·보험의 상승률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휴가철 수요 확대 영향으로 호텔, 휴양콘도 등의 가격이 크게 뛰었다. 이문희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채소는 집중 호우, 닭고기는 수요가 많은 계절적 요인, 일부 어종은 수출 증가 등에 따른 공급 부족 때문에 생산자물가가 올랐다”며 “8월 이후는 폭염과 태풍의 불확실성이 남아 있어 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중동發 물가 불안…유류세 인하 두달 연장정부, 10월말까지 연장 시행생산자물가도 한달만에 반등집중호우로 농산물가격 상승상추 171%, 오이 98% 치솟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국제유가 불확실성에 유류세 인하 연장되나…내주 연장여부 결정(세종=연합뉴스) 송정은 박원희 기자=정부가 이달로 끝나는 휘발유·경유 등에 대한 유류세 인하 조치의 연장 여부를 내주 발표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전세 한 바퀴 더 돌릴게요”…콧대 높던 강남 집주인들, 먼저 나서는 이유정부 상생임대인 2년 연장 강남·용산서 세테크로 인기 임대료 증액 5% 이하 계약땐 2년 실거주 없이 양도세 인하 분상제 단지는 ‘실거주 의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유류세 인하, 10월까지 2개월 연장…세수 감소폭은 확대정부가 이달로 끝나는 휘발유·경유 등에 대한 유류세 인하 조치를 연장하기로 했다. 중동 정세 불안에 국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 판단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법인세 충격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꿈틀대는 국제유가, 유류세 인하 11번째 연장되나…다음 주 발표정부가 이달 말 종료되는 한시적 유류세 인하 조처에 대한 연장 여부를 다음 주 발표한다. 중동 위기 고조로 국제유가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라, 유류세 인하가 한 차례 더 연장될 거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18일 기획재정부 쪽 말을 종합하면, 기재부는 이달 말 종료 예정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물가 넉달째 2%대, 이 정도면 녹색불”…한은, 금리인하 액셀 밟을까석유류 가격 22개월래 최고폭 상승 유류세 인하폭 축소·유가 상승 때문 정부 “8월부터 2% 초중반 안정화” 한은, 연준 보조 맞춰 10월 인하할듯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