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비상계엄에 가담한 이진우 전 육군 수도방위사령관(사진)이 검찰 조사를 받으면서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 당시 전화해 ‘문을 부수...
12·3 비상계엄에 가담한 이진우 전 육군 수도방위사령관이 검찰 조사를 받으면서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 당시 전화해 ‘문을 부수고라도 데리고 나오라’고 말하고 ‘총’을 언급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전 사령관은 지난 4일 윤 대통령 탄핵심판에 나와선 윤 대통령과의 통화 관련 내용을 일체 답변하지 않았다.
검찰 수사기록 등에 따르면 이 전 사령관은 당시 윤 대통령이 ‘무궁화폰’으로 불리는 비화폰으로 자신에게 전화해 “데리고 나오라”고 처음 지시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이 전 사령관은 국회의사당 안에 있는 사람 전부를 데리고 나오라는 지시로 받아들였다고 진술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이진우 전 수방사령관 '尹, 체포 지시 없었다…계엄 적법 판단'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에 증인으로 출석한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이 '12·3 비상계엄' 당일 윤 대통령의 계엄선포에 대해 '위헌 위법이라는 생각을 할 여지가 없었다'고 말했다. 지난해 12월 31일 내란 중요임무종사 등의 혐의로 구속기소된 이 전 사령관은 비상계엄 선포 전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지시를 받고 수방사 병력을 국회로 출동시키고, 경찰 협조를 받아 현장 병력을 국회 경내 또는 국회의사당 내부로 진입시켰다는 혐의를 받는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진우 전 수방사령관 “윤석열 ‘국회 군인 투입’ 적법”윤석열 대통령 탄핵 재판에 증인으로 출석한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은 내란 사건으로 기소됐다는 이유로 신문 사항에 답변을 거부하면서도 윤 대통령의 국회 병력 투입 지시는 적법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이 국회의원들을 끌어내라고 했다’고 검찰이 발표한 부분은 ‘기억나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위헌 판단 못한 채 명령 따랐을 뿐”…이진우 전 수방사령관 무죄 주장12·3 내란사태와 관련해 내란중요임무종사 및 직권남용 혐의로 구속기소된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쪽이 계엄 당시 자신의 행동은 정당한 직무수행이라며 무죄를 주장했다. 변호인쪽은 이 전 사령관의 방어권 보장을 위해 석방해달라며 보석을 청구했다. 이 전 사령관 쪽은 23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12·3 계엄선포 그날 밤, 尹∙홍장원 '10시53분 전화'의 진실12·3 계엄 당시 윤석열 대통령이 홍장원 당시 국가정보원 1차장과 통화한 내용이 다시 한 번 윤 대통령 탄핵심판의 핵심 쟁점으로 부각됐다. 홍 전 차장은 4일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5차 변론 증인으로 나와 당시 주요 인사 체포 지시 의혹과 관련해 윤 대통령으로부터 '이번 기회에 싹 다 잡아들여. 윤 대통령으로부터 본회의장에서 국회의원을 끌어내라는 지시를 받았다는 의혹을 받는 이진우 전 사령관도 이날 증인신문에선 '윤 대통령과 통화한 것은 맞고, 일부 충격적인 단어가 기억이 나는 것도 있지만 답하기 어렵다'며 '저의 형사재판에서 밝히겠다'고 증언을 거부했다. - 탄핵심판,12.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3일 '9인 체제' 결론, 4일 계엄군 출석…헌재의 시간 온다위헌으로 결론 날 경우 최 권한대행은 마 후보자에 대한 임명 절차를 진행하게 돼 헌법재판관 9명 체제가 완성되고, 윤 대통령 탄핵심판에도 9명의 재판관이 참여하게 된다. 국회에 투입된 계엄군을 지휘한 이진우 전 사령관은 계엄 사흘 만인 지난달 6일 김병주 더불어민주당 의원 유튜브에 출연해 군 투입 당시 윤 대통령에게 '전화가 한 차례 왔었다'고 폭로했다. 윤 대통령 충암고 후배이자 계엄 행동대장이었던 여인형 전 사령관은 지난달 구속영장실질심사를 포기, '부대원에게 무릎 꿇고 사죄하고 싶다'며 계엄을 후회하는 쪽으로 돌아섰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노상원 “노태악은 내가 처리할게”···특수요원에게 ‘선관위원 위협’ 지시12·3 비상계엄을 계획한 ‘비선 실세’로 지목된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이 10일 구속 상태로 재판에 넘겨졌다. 노 전 사령관은 계엄 당시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