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주 52시간제 예외 허용 논란 속에서 노동시간 단축이 필요하다며 반도체 특별법에 예외 조항을 삽입하는 것에 반대하는 입장을 강조했다. 이 대표의 발언은 노동계와 당내 반발이 커지자 ‘반도체특별법 내 예외 조항 삽입이 아닌 근로기준법 유연 적용’이라는 당의 원래 입장으로 돌아가는 계기를 마련했다
전국금속노동조합은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재벌 특혜 반도체특별법 저지 및 노동시간 연장에 대한 반대 공동행동 출범 기자회견을 열고, 과로로 쓰러지는 반도체 노동자를 형상화하는 행위극을 선보였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같은 날 국회 교섭단체 대표 연설에서 'AI와 첨단기술을 통한 생산성 향상은 노동시간 단축 으로 이어져야 한다'고 강조하며, '특별한 필요로 인해 특정 분야의 노동시간을 유연하게 운영하더라도, 이것이 총 노동시간 연장이나 노동 대가 회피 수단이 될 수 없다'고 밝혔다. 이 대표의 발언은 최근 민주당 안팎에서 논란이 된 반도체 분야의 ' 주 52시간제 예외 허용' 이슈와 관련해 ' 이재명 의 진의가 무엇인가'는 의문을 낳았다. 이 대표의 노동시간 관련 발언에 대해 본회의장에 있던 여당 의원들은 기회가 왔다는 듯 “진심이 뭔가?” “주 52시간 (예외 허용은) 철회하는 건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이 대표는 “삼성도 노동시간을 유연하게 하자는 것이지 총노동시간을 늘리자는 것이 아니다. 그런 방식의 노동 착취로 어떻게 국제 경쟁을 할 수 있느냐”고 반격했다. 이는 사전에 배포된 원고에는 없는 내용이다. 당 지도부는 연설이 끝난 뒤 소속 의원들에게 '교섭단체 대표 연설 큐앤에이(Q&A)'를 공유했다. 여기에 주 52시간제 이슈와 관련해 “노동 총량은 유지하되, 노동시간의 탄력적 운영을 모색하자는 것을 기업 측의 제안으로 알고 있다. 그러나 이조차 52시간 제도의 근본적 취지를 후퇴시키려 한다는 비판이 존재한다. 이런 상호 간의 불신을 불식시키고 미래 지향적인 대안을 도출하기 위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함”이라고 나와 있다. 당장 반도체특별법에 52시간제 예외 허용 조항을 넣기는 어렵다는 뜻이다. 이 대표는 애초 총노동시간을 유지하는 것을 전제로 반도체산업의 특정 분야에 한정해 '주 52시간제 예외 허용'을 논의해볼 수 있다는 입장이었지만, 노동계와 당내 반발이 커지자 '반도체특별법 내 예외 조항 삽입이 아닌 근로기준법 유연 적용’이라는 당의 원래 입장으로 돌아간 것이다. 국민의힘은 주 52시간제 이슈를 집중적으로 문제 삼았다. 당 AI특위 위원장인 안철수 의원은 기자회견을 열어 “이 대표가 진심으로 국민들이 먹고사는 문제를 해결하고 모두 함께 잘 사는 대한민국 성장을 이루고자 한다면, 주 52시간 예외 적용을 포함한 반도체특별법을 통과시키는 데 협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반도체특별법 주 52시간제 노동시간 단축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AI 국제 경쟁 근로기준법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이재명, 반도체 '화이트칼라 이그잼션' 도입 전망…5가지 조건 제시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반도체 산업군에서 고액 연봉을 받는 연구직 노동자들에게 주 52시간 노동시간 규제 예외 적용인 '화이트칼라 이그잼션' 도입을 전망하며 5가지 조건을 제시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군용차 막은 청년, 이재명 대표에 '광장의 목소리' 전달김동현씨는 국회 앞 군용차 차단 사건 이후 이재명 대표의 반도체 52시간 노동시간 규제 예외 검토 발언을 비판하며 이 대표에 '광장의 목소리'를 전달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국민의힘, 이달 반도체 특별법 주 52시간제 예외 처리 촉구국민의힘은 반도체 특별법 주 52시간제 특례 도입을 위한 당정협의회에서 이달 중 반도체법 처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주 52시간제 경직으로 반도체 산업 경쟁력이 약화되고 있다며 이대로 글로벌 반도체 경쟁에서 뒤쳐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주 52시간 예외 반도체법, 반대하던 민주당 “수정 용의있다”반도체특별법의 주요 쟁점인 ‘주 52시간 근무 예외 조항’(화이트칼라 이그젬션) 도입을 놓고 더불어민주당 내 기류가 기존 반대에서 ‘수정·보완’으로 변화하고 있다. 주 52시간제 예외 적용과 관련해선 '지금도 불가피할 경우엔 52시간 규정 미준수를 허용하는 예외 제도가 있고, 반도체 산업도 이를 활용하면 충분하다'면서도 '산업 현장에서 (근로기준법의) 예외 제도를 활용하기 곤란한 실제적인 사유가 있다면, 현행 제도를 수정·보완할 용의가 있다'고 여지를 뒀다. 다만 반도체 분야 연구개발(R&D) 종사자를 주 52시간 근무에서 제외하는 예외 조항에 대해서는 그동안 견해차가 컸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재명·진성준, 반도체특별법 '주 52시간 근무' 노동시간 적용 찬반 갈등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진성준 정책위의장이 반도체특별법 주 52시간 근무 예외 조항 도입 찬반 논쟁에서 갈등을 보였다. 민주당은 반도체 특별법 노동시간 적용제외 관련 정책 디베이트 3회를 개최하며 핵심 쟁점인 '주 52시간 근무 예외 조항' 도입 찬반 논쟁을 벌이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재명, 반도체 특별법 주 52시간제 적용 제외 '사회적 대타협' 강조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국회에서 반도체 특별법 제정안에 포함된 주 52시간제 적용 제외 조항에 대한 반대 뜻을 내비쳤다. 다만 명확한 반대 입장을 보이기보다는 '사회적 대타협'을 강조하며 노동시간 단축과 정년 연장 논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