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장 이장우가 특정 언론사의 질문에 답변을 거부하여 언론 자유 훼손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시민단체와 민주당은 이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밝히고 있습니다.
이장우 대전시장 이 시정브리핑에서 특정 언론사의 질문에 답변을 거부해 논란이 일고 있다. 시민단체와 민주당은 언론 자유를 훼손하는 행태라고 비난했다. 이 시장은 6일 오후 시청 2층 기자회견장에서 신년 시정브리핑을 마친 후 취재진과 질의응답을 이어갔다. 이때 대전MBC 기자가'정국 관련해서 여쭤볼게 있다'고 질문에 나서자 이 시장은'MBC는 그런 얘기 하면 꼭 왜곡해서~'라는 반응을 보였다. 그는 또 대전MBC 기자가'있는 그대로 답변해 주시면 된다'고 하자'MBC질문에는 답을 안 하겠다. 답하면 왜곡할 건데 답하면 뭐 하나, 안 하는 게 낫지'라고 질문 자체를 막았다. 이러한 이 시장의 민감한 반응은 지난해 12·3 내란사태 당시 비상계엄 선포 직후 이 시장의 행적을 최초 보도한 데 따른 것으로 유추된다. 당시 대전MBC 는 이 시장은 계엄이 선포된 직후 11시간 동안 '집에 있었다'는 인터뷰를 보도한 바 있다.
이에 대해 대전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는 곧바로 성명을 내'윤석열과 닮아있는 이장우 시장의 권위주의적인 언론관을 규탄한다'고 밝혔다. 이들은'이장우 시장이 시장으로서의 공적 책임을 방기하고 시민의 알 권리를 무시하는 심각한 반민주적·권위주의적 태도를 보였다'며'이는 명백히 언론 자유를 훼손하는 행태다'라고 비난했다. 이들은 특히'언론사를 특정해 답변을 거부하며, 본인이 대전시정 최고 책임자임을 스스로 부정하는 모습은 내란범죄자인 윤석열의 기자회견과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의 언론사 질의 거부와 닮아있다'며'비판적인 의견에는 귀를 닫고 소통하지 않는 권위주의적이고 구시대적인 모습'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민주주의는 언론을 통해 제기되는 다양한 비판과 질의를 수용하고 성실히 답변할 때 제대로 작동한다'며'그런 면에서 이장우 시장은 특정 언론을 적으로 규정하며 차단하여 시민을 기만하고 민주주의를 훼손했다'고 비난했다. 민주당대전광역시당도 이날 논평을 내고'이장우 대전시장의 언론관이 참담한 수준으로 민주주의 근간을 흔들고 있다'면서'이 시장은 언론이 가진 비판과 감시의 역할을 부정하고, 자신에게 불리한 보도에 대해 '왜곡', '악의적'이라는 낙인찍기를 통해 언론에 재갈을 물리고 있다'고 비난했다. 이들은'시장의 권력을 이용해 언론의 입을 틀어막으려는 행태는 명백한 언론탄압으로 권력 남용이자 시민의 알 권리에 대한 심각한 도전'이라면서'언론을 입틀막 한다고 잘못이 감춰지는 것은 아니다. 떳떳하다면, 언론의 비판에 응답하고 이를 설명하는 것이 공직자로서의 최소한의 자세다. 언론의 감시를 '악의'로 매도하며 시민의 눈과 귀를 막는 행동은 즉시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이장우 시장'일류경제도시 완성의 해로 만들겠다' 한편, 이날 이장우 대전시장은 시정브리핑을 통해 민선 8기 2024년 시정 성과와 2025년 주요 업무계획을 발표했다. 이 자리에서 이 시장은 2024년은 민선 8기 도약의 해로서 각종 지표에서 눈부신 성과를 남겼다고 말하며, 2025년은 민선 8기 완성의 해로 삼겠다고 밝혔다. 이날 이 시장은'2024년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올해는 국정 혼란과 국제 정세, 경제 상황 등으로 어느 때보다 시정이 중요한 시기'라고 강조하며,'출생률과 인구의 감소, 그에 따른 초고령화와 잠재성장률의 하락 등 사회구조적 위기의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만남에서 결혼, 출생, 보육, 교육, 자립까지 시민의 전 생애를 책임지는 민생정책 강화와 민선 8기 비전으로 삼았던 일류경제도시의 완성을 통해 위기의 악순환을 기회의 선순환으로 전환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시장은 2025년의 정책 방향을 미래, 민생, 공간, 문화라는 네 가지 큰 틀 안에서 각각 세부 방향을 가지고 주요 과제들을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언론자유 이장우 대전시장 언론탄압 정치 논란 대전MBC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진실화해위, 비상계엄 입장 발표 거부 논란박선영 위원장 첫 전체위원회, 야당 추천 위원들 '비상계엄 입장 발표' 요구에 집단 퇴장. 여당 추천 위원들은 '내란 정당화' 혹은 '사법심사' 논점을 제기하며 반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서울여대, 교내 성범죄 수사 협조 거부 논란서울여대 학생들이 학교측에 교내 성범죄 사건에 대한 경찰 수사 협조를 촉구하고 있다. 학교측은 학생들의 개인 정보 보호를 이유로 경찰에 징계 기록을 제공하지 않았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공수처 내란죄 수사권, 110조 적용 논란…윤석열 대통령측 강제 집행 거부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공수처)가 윤석열 대통령을 대상으로 체포영장을 발부했으나, 집행이 거부되면서 내란죄 수사권, 형소법 110조 적용 여부 등 법적 쟁점이 제기됐다. 윤 대통령 측은 공수처가 내란죄 수사권이 없고, 법원이 형소법 110조 예외 적용을 위법하다고 주장하며 헌법재판소에 권한쟁의 심판을 신청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윤석열 체포영장 집행 협조 거부·논란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은 윤석열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에 대한 공수처 요청 3일째 무시하고 있다. 야당은 최 대행에게 경호처에 지휘권 행사를 촉구하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석열 출석요구서 거부, 거부, 거부…변호인단 구성 안하나 못하나12·3 비상계엄 사태를 일으킨 윤석열 대통령이 23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의 2차 출석요구서 수령을 거부하는 등 수사기관의 출석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차마 부검은 못해”…술 먹고 집에서 사망한 아빠, 사망보험금 청구했더니 [어쩌다 세상이]보험사 “부검 없어 사망 원인 불분명”…보험금 거부 간접사실 통해 부검 없이도 상해사망 인정받을 수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