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신 임관동기가 쌓은 성산 외성은 왜 사라졌나 성산일출봉 한미리스쿨 키아오라리조트 이순신 제주살 이봉수 기자
"너무 속상해요. 1년 전만 해도 BTS와 블랙핑크, 아카데미상을 탄 한국영화, 엘지와 삼성 가전제품, 현대·기아차 등으로 한국인이라는 사실에 자부심을 느꼈죠. 이젠 한국이 미·중·러·일 강대국 사이에 낀 '글로벌 호구' 같아요."
지난해 가을 캐나다 토론토에서 온 문성주씨와 딸은 '페친의 페친'이었는데 키아오라리조트로 와서 4박5일간 바비큐도 함께하며 많은 얘기를 했다. 그들 모녀는 그래도 아쉬웠는지 인천공항에서 토론토행 비행기를 기다리면서 산 육포를 보내왔는데 캐나다든 제주든 다시 만나길 희망했다.미국에서 인력수급사업을 크게 하는 '페친'인 줄리언 정은 페이스북 글에 서로 '좋아요'를 누르거나 댓글을 달다가 그것만으로 소통하기에는 시국이 너무 갑갑하다며 제주 방문 뜻을 밝혔다. 실은 [이야기의 보고, 제주]라는 제목으로 분야별 PPT를 계속 만드는 중이어서 제주를 좀 더 흥미롭게 설명할 수 있었다. 나는 전남 화순·보성에 볼일이 있어 이틀간은 그가 혼자 다녔는데 성산일출봉 등정은 중도에 포기했다고 한다. 시차 적응이 안 된 상태에서 사업성격상 한밤중에 세계 각지와 연락해야 하는 이에게 성산은 만만치 않은 오름이다.'물 건너 고을'이라는 뜻의 제주는 '바다고을'이라는 뜻으로 영주라고도 불렸는데, 영주10경 중에서도 제1경은 '성산일출'이었다. 제주를 샅샅이 순력해 탐라순력도를 남긴 목사 이형상은 화공에게 성산관일 도를 그리게 하고 '바깥 면 4면의 벽은 대패로 깎은 듯, 거울을 갈라놓은 듯, 크게 우뚝 솟아서 새와 짐승도 통한 자취가 없다'고 묘사했다.
1601년 반란 음모사건을 위무하려고 제주에 온 안무어사 청음 김상헌은 에서 이경록의 계책을 '최하'라고 평가했다. 그는" 만인을 들일 만하되 흠은 우물이 없는 것"이라며"만약 본주를 버리고 성산에 들어와서 수비한다면 이것은 적을 피하고 스스로 수인이 되는 꼴"이라고 지적했다.성을 쌓으려는 마음은 두려움에서 나오는 것이다. '성을 쌓는 자 망하고 길은 내는 자 흥한다'는 말도 있지만, 중국 만리장성이든 우리 천리장성이든 영국 하드리아누스 장벽이든 길고 긴 성도 방어에 도움된 적은 거의 없다. 오늘날 남북한과 주변 강대국들이 교훈을 얻는다면 군비강화보다는 교역증진이 평화에 기여한다는 점이다.
동병상련이었을 둘은 편지 교환도 자주 했고 임진왜란 때는 제주목사 이경록이 전라좌수사 이순신에게 군수물자도 지원했다. 이순신의 에는 제주목사 이경록이 소 다섯 마리와 양식을 보내와 부하들을 잘 먹였다는 기록이 나온다.에는 이경록이"군사 200명을 뽑아 바다를 건너 힘을 합쳐 전진하여 토벌하고자 하여 조정의 하명을 청합니다"라고 장계를 올리자 비변사가 임금에게 불가하다고 품의하는 대목이 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간호법에 가려진 ‘간호사당 환자수 법제화’···진짜 싸움 남아있어요”“실은 간호협회 편을 들어달라고 할 수도 없어요. 공허할 뿐인 껍데기 간호법에 대해 시민들께 무슨 할 말이 있겠습니까. 다만 간호사가 너무 부족해 내 손에서 환자가 죽어가는 현실을 바꾸려 하는 일선 간호사들의 진짜 싸움이 아직 남아 있다는 것을 말하고 싶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기시다 가슴에 달린 '블루 리본', 유독 눈에 띈 까닭기시다 가슴에 달린 '블루 리본', 유독 눈에 띈 까닭 기시다_총리 위안부 강제징용 블루리본 일본인_납치피해자 임병도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호사카 유지 '기시다, 왜 서둘러 왔을까? 결국은 오염수'■ 방송 : CBS 라디오 FM 98.1 (07:20~09:00) ■ 진행 : 김현정 앵커 ■ 대담 : 호사카 유지 (세종대 교수) 물컵에 남은 반, 여러분 얼마나 채웠다고 생각하세요. 우선 12년 동안 끊어졌던 셔틀외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우리는 왜 기후 위기를 외면할까우리는 왜 기후 위기를 외면할까 기후변화의_심리학 기후변화 기후위기 원예진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땅땅땅] 다세대뿐 아니라 아파트 청약도 1년새 관심 '뚝'…왜?전국적으로 확산한 전세사기 문제로 인해 부동산 유형 가운데 '다세대' 주택에 관한 관심이 1년여 사이 유독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