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유행세가 계속되면서 치료제 부족 등 문제가 점점 심각해지자, 정부가 치료제 추가 공급 등 대응에 나섰다. 의료 현장에서는 정부가 유행에 선제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면서...
진단키트 수요도 껑충 전국적으로 코로나19 확진자가 늘고 있다. 15일 서울 종로구의 한 약국에 진단키트 입고 안내문이 붙어 있다. 문재원 기자 [email protected]"> 진단키트 수요도 껑충 전국적으로 코로나19 확진자가 늘고 있다. 15일 서울 종로구의 한 약국에 진단키트 입고 안내문이 붙어 있다. 문재원 기자 [email protected]
정부는 지난 14일 코로나19 관계부처 회의를 열고 유행 상황을 점검했다. 질병관리청은 올해 코로나19 입원환자 수가 6월 말부터 다시 증가해 8월 2주차에 정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7월 3주차에 226명이던 입원환자 수는 4주 만에 1357명으로 6배나 늘었다. 응급실 내원 코로나19 환자 수는 6월 2240명에서 7월 1만1627명으로 약 5.2배 늘었다. 질병청은 “코로나19는 최근 2년간 여름철에도 유행했으며, 지난 2년간의 유행 추세를 고려하면 8월 말까지는 코로나19 환자 증가세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정부는 해외 제약사들과 협상해 치료제를 추가로 확보했다고 밝혔다. 이번주부터 추가 공급을 시작해 8월 마지막 주에는 전국 어느 약국에서나 치료제를 충분하게 구입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코로나19 자가검사키트는 7월 말부터 생산량이 확대돼 8월 내에 약 500만개 이상이 생산·공급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사설] 의료 공백 속 코로나 재유행, 국가적 경각심 높일 때다코로나19 확산세가 심상치 않다. 최근 입원 환자가 매주 2배씩 늘어나, 한 달 전에 비해 9배 이상 증가했다. 갑작스러운 증가세로 코로나19 치료제와 진단키트의 일시적 품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지방 수험생 70% '고향서 의사할래''의대준비' 1715명 설문결과지방 학생은 지역정착 희망수도권 '지방 남겠다' 7%뿐비수도권에 집중된 의대 증원지방 의료공백 해소도움 주목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의대생은 국시, 의대 교수는 수련 ‘보이콧’··· 장기화되는 의대 증원 갈등의사 수 증원을 둘러싼 정부와 의료계의 갈등이 장기화되면서 하반기에도 의료공백 사태가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의대생 대다수는 의사 국가시험(국시)을 ‘보이콧’했고, 의대 교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정부 '대다수 전공의 복귀안해 유감…하반기모집 차질없이 진행'(서울=연합뉴스) 김병규 기자=정부가 수련병원의 결원 제출 시한이 지났는데도 복귀한 전공의들이 많지 않은 것에 대해 유감을 표하며 의료공백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의료공백 장기화…아동병원, 대형병원 응급실 됐다 [위협 받는 소아의료]의료공백 장기화 속에 소아진료체계 전반이 흔들리면서 대형병원 응급실 역할을 대신하는 아동병원이 늘어나는 것이다. 하지만 소아과 전공의들이 지난 2월 집단 사직에 나서는 등 대형 병원의 소아 응급 진료 기능이 크게 흔들리면서 문제가 생겼다. 지난 9일 경기도 한 아동병원에서 만난 25개월 아기 엄마 임모(35)씨는 '아이가 새벽에 열이 끓는데 '너무 어리다' 등의 이유로 받아주는 병원이 없어 수소문 끝에 1시간 넘게 떨어진 병원에 갔던 기억이 있다'며 '아동병원이 그나마 있어 다행이지만, 여기서도 환자를 받기 어려워지면 급할 때 갈 곳이 막막하다'고 말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의료공백 정상화 멀어진다…전공의 모집 시작하자 교수 반발 확산정부가 5개월 넘게 이어지고 있는 전공의 이탈에 따른 의료공백을 하반기에 메우기 위해 여러 방안을 내놓았지만 갈수록 성공 가능성은 낮아지고 있다. 하반기 전공의 모집 공고가 시작된 22일 의대 교수들은 충원 예정인 전공의에 대한 ‘지도 거부’를 예고했다. 또 서울시의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