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의대 증원 규모 2000명 가운데 1639명(82%)을 비수도권에 배정했다. 소규모 의대 정원을 크게 늘리면서 비수도권 의대별 정원은 대구가톨릭대(80명)를 제외하면 100명 이상이 됐다. 특히 지방 국립대 7곳은 정원을 서울대보다 65명이 많은 200명에 맞췄다. 반면 서울은 단 1명도 정원을 늘리지 않았다. 정부가 이렇게 한 것은 무너진 지역 필..
정부가 의대 증원 규모 2000명 가운데 1639명을 비수도권에 배정했다. 소규모 의대 정원을 크게 늘리면서 비수도권 의대별 정원은 대구가톨릭대를 제외하면 100명 이상이 됐다. 특히 지방 국립대 7곳은 정원을 서울대보다 65명이 많은 200명에 맞췄다. 반면 서울은 단 1명도 정원을 늘리지 않았다. 정부가 이렇게 한 것은 무너진 지역 필수의료를 살리기 위해서다. 지금 지방은 의사가 너무 부족하다. 인구 1000명당 의사 수가 서울은 4.82명인 데 반해 경북은 2.16명, 충남은 2.38명, 경남은 2.57명이다. 의사가 없다 보니 소아암이나 희귀난치병 같은 중증 질환은 상경 치료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정부는 지방 의대 정원을 늘려 지역에 더 많은 의사를 배출하겠다고 했다.
그러나 정원 확대만으로는 부족하다. 지금 수도권에 신축 중인 병상만 6600개다. 의사가 5000명은 더 필요할 것이라고 하니, 지방 의대 출신을 빨아들이는 블랙홀이 될 우려가 크다. 지방에서 매년 1600명이 넘는 의사를 추가로 배출한다고 해도 수도권으로 가버리면 소용이 없다. 당장 수도권 병상 증가부터 막아야 한다. 정부가 수도권 상급종합병원이 분원을 열 때는 반드시 보건복지부 장관의 승인을 얻도록 한 의료법 개정안을 내놓았는데, 조속히 국회에서 통과돼야 한다. 지방 환자의 서울 쏠림도 막아야 한다. 지금은 지방 경증 환자마저 수도권 대학병원으로 몰린다. 서울의 대학병원 의사들이 하루에 경증 환자를 수백 명씩 보느라 사람 목숨이 걸린 수술을 못할 지경이다. 반면 지역 병원들은 환자가 부족해 폐업이 속출했다. 이제부터라도 경증 환자는 동네 병원에서 진료하고 중증 환자는 지방 거점 병원에서 치료하는 의료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선진국은 모두 그렇게 한다. 그렇게 하지 않으면 환자는 끊임없이 서울로 몰려들 것이고 지방 병원은 문을 닫게 된다. 의사들은 수도권으로 떠날 것이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속보] 한 총리 “2천명 의대 증원은 최소 숫자”…적당히 타협하면 국민 피해”의료개혁 대국민담화 비수도권·소규모 의대·지역 거점 의대에 증원 인원 집중 배정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현장영상+] 정부 '2천 명, 비수도권·소규모·지역 의대에 집중 배정할 것'[앵커]정부가 오늘(20일) 의대 증원 2천 명에 대한 대학별 배정 결과를 공개합니다.한덕수 국무총리가 먼저 의대 증원 필요성을 강조하는 대국민 담화를 발표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정부 '의대 증원 2000명 중 82%, 비수도권에 배정'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사진=연합뉴스〉2025학년도부터는 의대 정원이 2000명 늘어납니다. 증원된 2000명 중 1639명(82%)은 비수도권 의대에 배정됩니다. 서울을 제외한 수도권 의대에는 361명(18%)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19년 만에’ 의대 2000명 증원, 비수도권에 82% 배정·서울은 ‘0’정부가 19년만에 내년 의대 정원을 2000명 늘린다. 의료격차해소를 위해 지역거점 국립대 등 비수도권에 1639명을 배정했다. 늘어난 전체 정원의 82%다. 경기·인천 지역...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수도권 역차별, 분노 폭발” 수험생·학부모도 의대 증원·배정 취소소송서울지역 의과대학생 및 학부모, 수험생들이 정부의 의대 증원 및 배정 방침을 취소해달라는 행정소송을 제기했다. 의대 교수들과 전공의 대표에 이어 같은 취지의 소송에 나선 것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대통령실 “의대 정원, 정부가 결정할 문제.. 합의나 타협 대상 아냐”“광주·전남도 의대 증원 적극 찬성”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