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정부의 ‘국회 패싱’을 비판하는 주간동아 기고 글이 작성자 동의 없이 뭉텅 잘린 채 실려 논란이다. 기고자인 시사평론가 김수민씨는 “윤석열 정부의 자의적, 임의적, 편의적 통치를 지적하다가 언론의 자의적, 임의적, 편의적 편집을 만났다”면서 “1년여간 연재해왔던 주간동아 칼럼 기고를 중단한다”고 선언했다. 김씨는 ‘김수민의 직설’이라는 주간동아 코너에 글을 기고해왔다. 김씨가 매체의 편집을 문제 삼은 칼럼은 지난 20일 오후 온라인에 공개된 “野 국회 패싱 방지법 발의에 與 반발”이라는 제목의 기고다. 김씨는 이 글에서 윤석
기고자인 시사평론가 김수민씨는 “윤석열 정부의 자의적, 임의적, 편의적 통치를 지적하다가 언론의 자의적, 임의적, 편의적 편집을 만났다”면서 “1년여간 연재해왔던 주간동아 칼럼 기고를 중단한다”고 선언했다.
김씨는 이 글에서 윤석열 정부가 정부 시행령을 통해 국회 입법 절차를 우회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김씨는 “윤석열 정부는 인사 검증 업무의 중심을 법무부에 놓으면서 이 근거를 법률도 아닌 시행령으로 마련했다”며 “굳이 법무부에 맡기겠다면 정부조직법을 개정하며 국회의 동의를 얻고 국민의 토론을 이끌어야 한다. 하지만 윤 정부는 시행령 개정을 택했다”고 지적했다. “경세가적 자질은 물론 승부사적 기질조차 보이지 않는다. ‘시행령 독주’는 박근혜·문재인 정부에서 차례로 나타났던 현상이다. ‘제왕적 대통령제 청산’은 말만 남았고, 윤 대통령은 박·문 전 대통령의 후계자를 자처하는 듯하다.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 권성동 원내대표는 어떤가. 2015년 국회 패싱 방지법 여야 합의를 이끌었던 유승민 당시 새누리당 원내대표와 달리, ‘시행령 독주’가 아니라 ‘국회 패싱 방지’에 제동을 걸고 있다.
김씨는 21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그동안 대체로 주제 선정에서 존중 받아왔다고 생각하며, 독자들의 큰 호응을 받거나 스스로 기억에 남길 만한 칼럼들도 있었다. 하지만 이번 칼럼에서 상의 없이 상당 분량이 삭제된 것은 그냥 넘어갈 수 없는 일”이라며 “분량이나 표현에 대해 늘 지면 담당 기자 분과 의논해왔다. 이번 삭제는 그 윗선에서 이뤄진 것이고, 나는 어떠한 상의 요청도 받은 바 없다. 더 이상 기고할 이유가 없다”고 밝혔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집주인 인센티브로 전월세 안정 시키겠다는 윤석열 정부규제지역 주담대 기존주택 처분기한·분양가상한제 실거주 의무 완화... 건설임대 법인·양도·종부세 혜택 확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칼럼]역술인과 영부인이 정도면 대통령의 부인을 '왕의 부인'으로 인지하고 있다는 것인데, 그러면 내각을 책임지고 있는 총리와 장관들의 부인들은 도대체 뭐가 되는지 알 길이 없다. 김건희 윤석열 천공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삼성 등 수백조 투자 발표, 윤석열 정부와 사전 조율했다대통령실 관계자는 한겨레에 “정부 출범 이후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사면 등과 관련해 삼성 쪽과 먼저 조처가 필요하다는 얘기가 오갔고, 이후 관련 논의가 현대차, 에스케이(SK), 한화 등으로 확대됐다”고 밝혔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석열 정부 첫 검찰인사위, 신임 위원장은 이 사람윤석열 정부 첫 검찰인사위, 신임 위원장은 이 사람 권익환 원혜욱 정연복 검찰인사위 명재진 이정환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참에 '윤석열 백억 특활비' 항소도 취하하시라이참에 '윤석열 백억 특활비' 항소도 취하하시라 윤석열 정보공개 항소취하 특활비 하승수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행안부에 경찰국 두고 ‘경찰 직접 통제’하려는 윤석열 정부경찰청 “범사회적 협의체 만들어 논의해야”, 시민사회 “권고안은 시대 역행”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