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극적 이민 확대 정책으로 경제적 혜택을 잠시 누리는 것처럼 보일 순 있으나 사회적 갈등으로 인한 비용 지불이 더 크게 요구되어 오히려 대한민국의 국가 경쟁력을 약화시킬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국가 안보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위와 같이 저출산으로 인해 부족한 노동력을 보충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이민 확대 정책(다문화주의 정책)을 추진하였던 유럽 주요 국가의 수장들이 ‘다문화주의 정책에 실패했다’고 선언한 이유는 이민정책으로 인한 사회 갈등의 후유증이 커지고, 극단적인 이슬람주의자들로 인한 테러 위협이 높아졌기 때문인데 그 배경에는 이슬람에 대한 몰이해가 있다.
0.78명이란 합계출산율이 공개되자 정부가 지난 15년간 ‘저출산’ 대책에 280조원을 쏟아부었지만 효과가 없었다는 비판적 보도가 쏟아져 나왔다. 일부 관료들은 여러 가지 저출산 해법 중 하나로 이민 확대를 제시하며 이민자를 미래 성장동력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이민자 유입’이 인구 정책 포트폴리오 안에는 들어가 있더라도 가장 마지막에 사용해야 하는 카드임을 김세나 박사도 같은 취지에서 지적하였다. 왜냐하면 이민 확대 정책은 국가의 정체성을 바꿀 결심을 하고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되었을 때 실효적 방법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우선 이미 이민 확대 정책의 실패를 인정한 유럽 정상들의 의견에 귀 기울여 보며 문제점을 살펴본다. 2023년 3월 7일 영국 정부는 사전 허가 없이 불법 이민을 시도한 모든 외국인에 대해 영국 체류를 허용하지 않고, 영국 도착 후 4주 이내에 본국으로 송환하거나 제3국으로 추방하는 것을 골자로 한 ‘불법 이주민법’ 제정을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이를 발표한 리시 수낙 총리는 인도계 이민자 후손으로 취임하자마자 국경을 통제한다고 나선 것이다. 아이러니한 일이다.위와 같이 저출산으로 인해 부족한 노동력을 보충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이민 확대 정책을 추진하였던 유럽 주요 국가의 수장들이 ‘다문화주의 정책에 실패했다’고 선언한 이유는 이민정책으로 인한 사회 갈등의 후유증이 커지고, 극단적인 이슬람주의자들로 인한 테러 위협이 높아졌기 때문인데 그 배경에는 이슬람에 대한 몰이해가 있다.
지난해 8월 21일 국내 이주 노동자들이 서울역 광장에서 열린 '이주노동자 행동의 날' 집회에서 인종차별 중단과 차별금지법 제정을 촉구하며 행진하고 있다. 이들은 이민 확대를 요구하기도 했다. 뉴스1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인종차별 국가 9위 한국, 엑스포 유치할 수 있을까?[주장] 대구 이슬람 사원 사건 등이 보여준 현실... 짙어지는 한국사회 차별과 혐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 대통령 '전통 존중, 책임 완수해야 국가 발전'안동 병산서원에서 유림·종손들과 간담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왜 '피고 윤 대통령' 소송하냐고? 이건 민주주의가 아니다'[인터뷰] 초유의 6개월째 임명 지연, 최민희 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원 내정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태원 참사 1주기-망각과 싸우다] “기억공간 생겨도 끝난 게 아니다…기억은 곧 실천”159명이 사망했다. 그리고 1년이 흘렀다. 참사의 기억을 지우거나 왜곡하려는 모습이 곳곳에서 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애플의 역설' 드러낸 아이폰15 성능…발열만이 문제 아니다 [열흘 사용기]아이폰 상위 모델인 프로·프로 맥스의 한국 시장 판매 비중은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으로 알려진다. 업계 관계자는 '중저가 모델 수요가 애초에 갤럭시로 가기 때문에 국내 시장에서 아이폰을 구매하는 고객들은 기기 값이 비싸도 대부분 상위 기종을 선택한다'고 말했다. 최근 열흘간 아이폰15 시리즈의 상위 사양 모델인 프로와 프로 맥스를 사용해봤다. - 아이폰,아이폰15,애플,체험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란 큰 전쟁 원한다'…유가만 노린게 아니다, 위험한 손익계산서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가 이스라엘을 습격한 지 3주가 지난 가운데 전쟁 초부터 제기된 '이란 배후설'이 확산되고 있다. 이란이 배후설 주장을 공식 부인하고 있음에도, 이란 개입설이 사그라들지 않는 데엔 이번 전쟁에서 이란이 잃을 것보다는 얻을 게 많아 보이기 때문이다. 영국 이코노미스트 최신호는 '이란의 최고지도자 아야톨라가 중동에서 가장 위험한 게임을 하고 있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이란은 전쟁이 확대하길 원한다'고 분석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