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공교육 교과과정을 벗어나 출제되는 킬러 문항은, 교육계는 물론 사회 각층에서 강한 비판을 받아 왔습니다.하지만, 최상위권의 변별력을 이유로, 매년 출제가 반복됐는데요.킬러 문항이 없어지면 최상위권에선 '실수'를 가장 조심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옵니다.김현아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자]...
하지만, 최상위권의 변별력을 이유로, 매년 출제가 반복됐는데요.지문에 나온 'L-그래프' 설명을 이해했는지 묻는데, 복잡한 수학 용어들이 줄줄이 나열된 탓에 정답률은 15% 수준에 그쳤습니다.[구본창 /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정책대안연구소장 : 복잡한 함수를 다루지 않도록 되어 있는데 여러 함수를 복합적으로 결합시키면서 복잡한 계산식을 유발하는, 그래서 실제로 정상적으로 풀이를 하면 연습장 서너 페이지 나온다….]하지만, 의대에 진학할 1.5%를 위해 공교육에 대한 불신을 키우고 학생들을 사교육 시장으로 내모는 부작용도 컸습니다.[김병진 / 이투스 교육평가연구소장 : 사고력 중심의 측정이라든지 아니면 단계별 측정이라든지 이런 거들을 조금 더 가할 수 있는 거로 해석이 됩니다. 준킬러라고 불리는 문항들 난이도를 높여서 시간을 좀 오래 걸리게, 애들 표현을 빌면 타임어택이 걸리게 하는 거죠.
[이만기 / 유웨이 평가이사 : 정시 모집은 소숫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해서 둘째 자리에서 끊거든요. 그래서 사실 한 줄로 서는 건 별 문제가 안 되는데, 그 한 문제가 커트라인을 좌지우지하게 되니까 실수를 막는 것이 가장 관건이라고 저는 보고 있어요.]YTN 김현아입니다.[메일] social@ytn.co.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연합뉴스 이 시각 헤드라인] - 10:30 | 연합뉴스■ 대통령실, 수능서 '킬러문항' 배제 방침…9월 모평부터 시행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평가원장도 검찰 출신 오나”···잇단 대형 변수에 수험생들 ‘부글’정부·여당이 19일 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이른바 ‘킬러문항’(초고난도 문항)을 배제하겠다고 발표하자 수험생과 학부모, 입시 관계자 등은 혼란스럽다는 반응을 보였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수능 창시자’ 박도순 초대 평가원장 “수능 난이도 조절해 사교육 줄인다? 말 안 되는 소리”정부가 ‘수능 킬러문항 배제’ 지침을 내놓은 것을 두고 초대 교육과정평가원장을 지낸 박도순 고려대 명예교수(81)가 “정부가 충분한 논의없이 발표해 혼란만 가중시키고 있다”고 비판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킬러문항 줄고 '준 킬러문항' 늘듯…물수능 논란 어떻게 피할까 | 연합뉴스(세종=연합뉴스) 김수현 기자=정부가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 적정 난이도를 확보하겠다고 재차 강조하면서 올해 11월 16일 예정된 202...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