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후보지 지정 1년 9개월 만에 공식 지정

경제 뉴스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후보지 지정 1년 9개월 만에 공식 지정
반도체 국가산단용인산업개발
  • 📰 maekyungsns
  • ⏱ Reading Time:
  • 66 sec. here
  • 9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51%
  • Publisher: 51%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이 후보지 지정 1년 9개월 만에 공식 국가산단으로 지정되었다. 정부는 2026년 착공, 2030년 가동 목표를 설정하며 상생 보상 방안을 마련하여 원주민과 이주 기업의 상생을 이끌어낼 계획이다.

정부 3개월 당겨 산단 지정 내년 보상, 2026년 착공 2030년 가동목표 개발 가속 160만 일자리 창출 등 대비해 용인 이동읍 배후주거지 개발 '세계 최대 반도체 산업단지'인 경기도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이 후보지 지정 1년9개월 만에 공식적으로 국가산단이 됐다. 당초 계획보다 3개월 빠른 속도로, 정부는 내년 토지 보상, 2026년 용지 착공, 2030년 반도체 공장 첫 가동을 목표로 후속 절차를 밟을 예정이다. 공장 가동 시점에 맞춰 1만6000가구 규모 배후 주거지도 개발해 '직주락(職住樂)'이 가능한 '산업중심 복합도시'를 조성할 방침이다. 26일 국토교통부는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을 지정 고시했다.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은 용인시 처인구 이동·남사읍 일원 약 728만㎡(220만평) 용지에 조성된다. 삼성전자 시스템반도체 제조공장(팹) 6기와 발전소 3기를 짓고 소부장(소재·부품·장비) 협력기업 60곳 이상이 입주할 예정이다.

전체 준공 때까지 최대 360조원에 이르는 민간투자가 이뤄져 160만명의 고용 효과와 400조원의 생산 유발 효과가 기대된다. 작년 3월 신규 산단 후보지로 지정된 바 있다. 국토부는 통상 4년이 걸리던 산단 지정 기간을 1년9개월로 확 줄였다. 공공기관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인허가 패스트트랙을 도입한 덕분이다. 박상우 국토부 장관은'원주민과 이주 기업이 상생할 수 있는 보상과 이주 대책을 마련해 착공 시점도 앞당기겠다'고 말했다. 2026년 말에 첫 삽을 떠 2030년에 팹 1호기를 가동하는 게 목표다. 이를 위해 상생 보상 방안도 마련했다. 현재 산단 용지 안에는 542가구(968명)가 살고 있다. 국토부는 국가산단 남서쪽에 위치한 창리저수지 부근에 270가구 규모의 이주자 택지를 조성할 계획이다. 원주민이 원하면 토지 수용에 따른 보상을 산단 안 토지로 보상(대토보상)할 방침이다. 이주자 택지를 받을 수 없는 임차 가구를 위해 공공임대주택 공급도 추진한다. 산단 용지 내엔 89개 기업이 공장을 가동 중이기도 하다. 해당 기업을 위한 이주 기업 전용 산단도 50만㎡ 규모로 조성한다.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중심부에는 팹과 소부장 기업을 배치한다. 통합 전력설비와 용수관로를 설치해 연구·생산·인프라스트럭처 간 연계 효과를 극대화한다. 단순 산단을 넘어 주거와 문화가 융합된 산업중심 복합도시로 만들겠단 목표도 세웠다. 국가산단 근로자를 위해 1만6000가구 규모의 배후 주거지인 이동공공주택지구(이동지구)를 개발한다. 내년 1월에 지구 지정을 완료하고 2027년 착공해 팹 1호기가 가동되는 2031년 첫 입주가 이뤄지도록 한다. 산단과 이동지구 사이엔 먹거리·볼거리·즐길거리가 모인 복합문화공간을 만든다. 용덕저수지와 송전천 등 수변공간을 중심으론 여가특화구역을 지정한다. 특히 송전천 양측을 중심으로 공원을 10개 안팎 조성한다는 계획이 눈길을 끈다. 복합도시 조성으로 늘어나는 교통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산단을 관통하는 국도45호선 확장 사업을 진행한다. 8843억원을 투입해 현재 4차선을 8차선으로 넓혀 2030년 개통한다. 국도45호선과 이미 있는 경부·영동고속도로, 2025년 개통 예정인 서울~세종고속도로, 한국개발연구원(KDI) 민자적격성조사 중인 반도체 고속도로 등을 중심으로 격자형 고속도로망을 구축한다. 박 장관과 이한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장, 김용관 삼성전자 DS 경영전략담당 사장은 이날 삼성전자 기흥캠퍼스에서 사업시행자·입주 기업 간 실시협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박 장관은'어떤 상황 속에서도 용인 산단 조성을 흔들림 없이 추진해 글로벌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maekyungsns /  🏆 15. in KR

반도체 국가산단 용인 산업개발 고용 지역경제 삼성전자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2026년 12월 착공 목표로 조기 지정·특화 조성계획 발표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2026년 12월 착공 목표로 조기 지정·특화 조성계획 발표정부는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에 대한 특화 조성계획을 발표하며 2026년 12월 착공 목표를 내놓았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3개월 앞당겨 지정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3개월 앞당겨 지정경기도 용인 반도체 국가산업단지가 공식 승인돼 31일 국가산단으로 지정된다. 국토교통부는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의 산업단지 계획 승인이 완료됨에 따라 국내 반도체 산업 역사에 한 획을 쓰는 중요한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고 밝혔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2026년 12월 착공 목표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2026년 12월 착공 목표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산업단지 계획이 당초 목표보다 3개월 빠른 26일 승인되어 2026년 12월 착공을 목표로 한다. 정부는 신속한 보상을 통해 2030년 6월에서 2026년 12월로 착공 시기를 앞당기고, 2030년 반도체 생산공장(팹·fab) 1호기 가동과 맞춰 도로, 용수, 전력 등 핵심 인프라를 확충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계획 승인, 삼성전자 '위기' 경고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계획 승인, 삼성전자 '위기' 경고삼성전자 DS 경영전략담당 사장 김용관 사장은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특화 조성계획 발표회에서 세계 반도체 산업 경쟁 심화와 신흥국가의 뛰어들기로 인해 한국 반도체 사업이 위협받고 있다고 경고하며, 용인 국가산단의 계획 추진과 정부 지속적 지지 필요성을 호소했다.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은 728만㎡ 부지에 대규모 팹 6기, 발전소 3기, 소부장 협력기업 60개 이상 등이 입주하는 대형 국가 전략사업으로, 준공 시 360조원 민간 투자, 160만명 고용, 400조원 생산 유발 등 부가가치 창출이 예상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요양원 지정 취소 판결 받아, 재판부 '학대 사건 요양원 지정 취소 과하다' 판단요양원 지정 취소 판결 받아, 재판부 '학대 사건 요양원 지정 취소 과하다' 판단노인 요양원에서 발생한 학대 사망 사건에 대해 요양원이 지정 취소되자 운영이 불가능해질 상황에 처했다. 그러나 재판부는 학대 사건에 대해 요양원이 기본적인 보호를 소홀히 한 것은 아니라고 판단, 지정 취소는 과하다고 판결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지방소멸 경고등] '지역이 살렸다'…폐교 위기 시골학교의 부활[지방소멸 경고등] '지역이 살렸다'…폐교 위기 시골학교의 부활(파주=연합뉴스) 노승혁 기자=경기 파주시는 2022년 5월 31일 인구 50만 명을 넘어선 이후로 대도시 지정 요건인 인구 50만 명을 2...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3-29 13:1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