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영국의 연구팀은 뇌조직 모델 실험을 통해 외상성 뇌 손상이 잠복하는 단순포진 바이러스(HSV-1)를 재활성화시켜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신경퇴화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외상성 뇌 손상 후 바이러스 활성화를 막는 항바이러스제나 항염증제를 이용한 예방 치료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뇌진탕 등 외상성 뇌 손상 이 잠복해 있는 단순포진 바이러스 ( HSV-1 ) 같은 바이러스 를 재활성화해 신경 퇴화를 유발하고 알츠하이머병 등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축구나 권투, 미식축구 같은 스포츠에서 머리를 다친 선수나 뇌진탕을 경험한 군인 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신경 퇴행성 질환에 걸릴 위험이 커진다. 미국 터프츠대와 영국 옥스퍼드대 연구팀은 8일 과학 저널 사이언스 시그널링(Science Signaling)에서 실크 단백질과 콜라겐, 신경 줄기세포로 만든 뇌 조직 모델 실험에서 반복적 충격이 잠복성 HSV-1 를 활성화한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는 치매 관련 위험 요인으로 알려진 HSV-1 과 외상성 뇌 손상 을 직접 연관 짓는 첫 연구 중 하나며 이는 향후 항 바이러스 제를 외상성 뇌손상으로 인한 신경퇴행성 질환 예방에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권투나 축구 같은 스포츠에서는 뇌진탕과 반복적 충격에 의한 뇌 손상이 만성 외상성 뇌병증,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등 신경 퇴행성 질환과 연관이 있을 가능성이 커지면서 위험 최소화를 위해 보호 장비와 경기 규칙이 강화되고 있다. 또 이전 연구에서는 잠복해 있는 HSV-1이 활성화되면 아밀로이드 플라크, 신경세포 손실, 염증, 신경망 기능 저하 등 알츠하이머병 표지들이 나타난다는 사실이 밝혀지기도 했다. 특히 HSV-1은 일반인 80% 이상,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는 95% 이상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뇌진탕이 어떻게 잠복해 있는 바이러스를 재활성화하고, 신경 퇴화 과정이 어떻게 시작되는지 밝혀내기 위해 뇌 조직 모델을 사용했다. 실크 단백질과 콜라겐으로 스펀지 같은 폭 6㎜의 도넛 모양을 만들고 여기에 신경 줄기세포를 주입해 성숙한 뉴런으로 유도한 다음, 축삭(axon)과 수상돌기(dendrite)를 성장시켜 신경망을 갖춘 뇌 조직 모델을 만들었다.그 결과 충격을 받은 조직의 감염된 세포에서는 HSV-1이 재활성화됐으며, 얼마 지나지 않아 아밀로이드 플라크와 타우 단백질(τ protein), 염증, 신경세포 사멸, 신경교증 등 알츠하이머병 마커들이 관찰됐다. 또 반복적 두부 손상을 모방한 뇌 조직 모델은 충격을 많이 가할수록 알츠하이머병 마커가 많이 나타났고, HSV-1이 없는 뇌 조직 모델은 충격 후 약간의 신경교증은 보였지만 알츠하이머병의 다른 마커들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팀은 기존 역학 연구에서 운동선수가 머리에 여러 차례 충격을 받으면 몇 달 또는 몇 년 후 신경 퇴행성 질환에 걸릴 확률이 두 배 이상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 결과는 운동선수들이 뇌진탕을 겪으면 잠복해 있는 바이러스가 재활성화되고 알츠하이머병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강력히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논문 공동 교신저자인 터프츠대 데이나 케언스 교수는 이 연구에서 외상성 뇌 손상과 신경 퇴행성 질환을 연결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발견했다며 이는 항바이러스제나 항염증제를 두부 외상 후 바이러스 활성화를 막고 알츠하이머병 위험을 낮추기 위한 예방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 출처 : Science Signaling, , 'Repetitive injury causes Alzheimer's disease-like phenotypes via reactivation of HSV-1 in a 3D human brain tissue model', www.science.org/doi/10.1126/scisignal.ado643
알츠하이머병 신경퇴화 외상성 뇌 손상 바이러스 HSV-1 연구결과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고령층 부채 압박, 저성장 속 빚 부담 심화고령층 대출 비중 증가, 경제 위기 시 연체 위험 증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비만, AI 자동화 위험, 신중년 여가남성 중심 비만 증가와 AI 자동화 위험, 신중년의 비활동적인 여가 활동 증가 현황에 대한 분석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웬디 스즈키: 운동, 뇌 건강, 그리고 불안미국 뉴욕대학 신경과학 교수 웬디 스즈키는 TED 강연을 통해 운동이 뇌 건강과 불안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에 대해 알려주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인공지능 시대, 인간은 어떻게 진화할까?진화생물학자 로버트 브룩스 교수는 인공지능의 발전이 인간 뇌 크기 감소와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며, 포식자와 피식자의 관계를 통해 인간과 인공지능의 미래를 이해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불로장생의 꿈: 바이오혁명 관심뇌의 노화는 필연적일까? 뇌의 기능이 떨어지는 60세 이후, 뇌 훈련을 통해 퇴화를 막을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우울증, 고령 운전자 위험 운전 증가우울증 또는 항우울제 복용 고령 운전자는 위험한 운전 행동 발생 가능성 높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