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가부 장관 “박원순 다큐, 2차 가해일 수 있다고 생각”

대한민국 뉴스 뉴스

여가부 장관 “박원순 다큐, 2차 가해일 수 있다고 생각”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hanitweet
  • ⏱ Reading Time:
  • 24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3%
  • Publisher: 53%

김현숙 여성가족부 장관이 고 박원순 전 서울시장의 성폭력을 부정하는 내용의 다큐멘터리 영화 제작·상영에 관해 “2차 가해로 인정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습니다.

14일 국회 교육·사회·문화분야 대정부질문에서 김현숙 여성가족부 장관에게 질의하고 있는 윤주경 국민의힘 의원. 국회의사중계 갈무리 김현숙 여성가족부 장관이 고 박원순 전 서울시장의 성폭력을 부정하는 내용의 다큐멘터리 영화 제작·상영에 관해 “2차 가해로 인정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14일 밝혔다. 14일 국회에서 열린 사회분야 대정부질문에서 김 장관은 “박 전 시장 관련 다큐멘터리 제작 및 상영은 2차 가해인가, 아닌가”라는 윤주경 국민의힘 의원의 질의에 “아직 다큐멘터리를 보지 않았기 때문에 단정적으로 말할 수 없다”면서도 “국가인권위원회가 언급했던 것처럼 피해자가 유발했다든가 피해자에게 정신적 고통 주는 부분이 있다면 2차 가해로 인정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답변했다.

김 장관은 또 더불어민주당 지도부 등 일부 의원들이 피해자를 ‘피해호소인’이라고 지칭한 것에 대해서는 “당연히 2차 가해에 해당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7월 개봉을 앞둔 다큐멘터리 영화 은 박 전 시장의 직원 성추행 등을 옹호하는 내용을 담고 있어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라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제작진은 지난달 16일 제작발표회를 열고 “ 1차 가해가 명확하게 규명이 안 됐다”고 주장하며 제작 강행의 뜻을 밝힌 바 있다. 앞서 여가부는 지난달 “피해자를 비난‧위축시키거나 행위자를 옹호‧두둔하는 행위는 2차 피해가 될 수 있다”고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인권위도 지난달 전주혜 국민의힘 의원에 제출한 답변서를 통해 “피해자 유발론이나 피해자에 대한 근거 없는 비난 등으로 피해자의 고통이 가중된다면 2차 가해에 해당할 소지가 있다”고 밝혔다. 채윤태 기자 [email protected]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hanitweet /  🏆 12.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한국인 이야기 다큐로 도쿄도와 싸우는 일본인 감독한국인 이야기 다큐로 도쿄도와 싸우는 일본인 감독한국인 이야기 다큐로 도쿄도와 싸우는 일본인 감독 관동조선인대학살 민병래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잡초를 심은 '대통령 문재인'잡초를 심은 '대통령 문재인'잡초를 심은 '대통령 문재인' 다큐 문재인입니다 김유경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690억 달러 규모' 마이크로소프트의 액티비전-블리자드 인수, 미국 법원서 일시 제동 - BBC News 코리아'690억 달러 규모' 마이크로소프트의 액티비전-블리자드 인수, 미국 법원서 일시 제동 - BBC News 코리아'690억 달러 규모' MS의 액티비전-블리자드 인수, 미국 법원서 일시 제동 이번 거래는 비디오 게임 역사상 최대 규모가 될 예정으로, 미 연방거래위원회는 게임 시장의 경쟁이 크게 약화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선관위, 감사 핑계로 조사거부'…뿔난 권익위, 감사원 감사 촉구 | 중앙일보'선관위, 감사 핑계로 조사거부'…뿔난 권익위, 감사원 감사 촉구 | 중앙일보'앞서 협조하겠다고 한 건 국민 눈을 속이려는 얄팍한 꼼수였냐'\r선관위 채용 특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종섭 '한미 공조 통해 확장억제 실행력 강화'이종섭 '한미 공조 통해 확장억제 실행력 강화'이종섭 국방부 장관, 14일 오전 방한한 콜린 칼 미 국방부 정책차관 접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8 09:3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