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부산 화재, 보조배터리 소지 권고 확산

뉴스 뉴스

에어부산 화재, 보조배터리 소지 권고 확산
보조배터리화재안전
  • 📰 hanitweet
  • ⏱ Reading Time:
  • 39 sec. here
  • 7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36%
  • Publisher: 53%

김해공항에서 발생한 에어부산 항공기 화재 사고 이후, 보조배터리의 위험성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면서 국내 주요 항공사들이 승객들에게 보조배터리를 몸에 지니라고 기내 방송을 하고 있습니다.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권고 기준은 아니지만, 기내 보조배터리 화재 건수 증가에 따라 안전 관리 차원에서 이러한 안내가 정착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김해공항에서 발생한 에어부산 항공기 화재의 원인으로 선반 위에 보관된 보조배터리 발화 가능성이 추정되는 가운데, 이미 주요 국적 항공사 들이 보조배터리 를 몸에 지니라고 기내 방송 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내 보조배터리 의 위험성에 대한 경각심이 커진 만큼, 승객들도 이런 안내에 따르는 문화가 정착될지 주목된다. 에어부산은 “전자기기는 비행모드로 바꿔주시거나 전원을 꺼주시고, 휴대전화 및 보조배터리 는 손님이 직접 소지하시기 바랍니다”라는 기내 방송 문구를 사용하고 있다고 31일 밝혔다. 대한항공에서도 지난해부터 기내 방송 에서 “라이터와 보조배터리 는 항상 몸에 지니고 있으셔야 하며, 좌석 틈새로 떨어졌을 때는 승무원에게 말씀해 주시기 바랍니다”라는 기내 방송 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아시아나항공과 제주항공 등 다른 국적사도 기내 방송 에서 이와 비슷하게 보조배터리 는 몸에 지니라고 당부하고 있다. ‘ 보조배터리 를 몸에 지녀야 한다’는 것은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권고 기준은 아니다.

항공 위험물 취급에 국제 기준이 되는 국제항공운송협회(IATA) 규정이나 이를 준수한 국토교통부 지침에서도 보조(리튬)배터리 기내 반입에 대해서는 160와트시(Wh) 이하 등 전력량만 규제하고 있다. 그러나 기내 보조배터리 화재 건수가 늘어나면서 개별 항공사가 안전 관리 차원에서 기내 방송에서 승객들에게 몸에 소지하라고 권고하고 있다. 항공사 직원들이 있는 직장인 익명 게시판 ‘블라인드’에서는 “(보조배터리 소지 당부) 방송을 듣고도 인지 못 하는 승객이 대부분일텐데 이번 일로 경각심을 갖게 될 것”이라는 글이 올라오기도 했다. 이날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이연희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국토교통부로부터 받은 자료를 보면, 국적사 기내에서 발생한 보조배터리 화재 건수는 2023년 6건, 2024년 8월까지 5건이 발생했다. 대부분 객실 좌석에서 연기가 발생하면서 20초에서 3분 이내 짧은 시간 안에 진압됐지만, 지난해 4월 아시아나항공에서 객실 선반에서 발생한 보조배터리 화재는 진화까지 5분 가까이 걸린 것으로 나타났다. 발열 현상 등을 직접 감지하고 대응할 수 있어, 보조배터리 소지 때 화재 사고를 조기에 막을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된 셈이다. 한편, 에어부산 화재 사고를 조사 중인 국토교통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사조위)는 이날 정오가 지난 뒤 화재 원인 규명의 핵심이 될 기내 현장 감식 시점을 결정할 예정이다. 날개에 실린 항공유의 폭발 가능성을 최종 점검한 뒤, 이르면 이날 오후부터 경찰, 소방 등과 함께 합동 감식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hanitweet /  🏆 12. in KR

보조배터리 화재 안전 항공사 기내 방송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단독]'에어부산 28열 승객 짐에서 연기…보조배터리 화재 추정'[단독]'에어부산 28열 승객 짐에서 연기…보조배터리 화재 추정'28일 부산 김해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에어부산 홍콩행 항공기 BX391편 화재가 뒷좌석 승객 짐에서 시작됐다는 승무원 내부 진술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29일 에어부산에 따르면 전날 오후 10시 15분쯤 김해공항 주기장에서 승객 170명(정비사 1명 포함)과 승무원 6명을 태우고 이륙을 준비하던 항공기 맨 뒷줄 3~4번째 머리 위 선반에서 검은 연기가 발생한 뒤 화재로 번진 것으로 확인됐다. 중앙일보가 입수한 에어부산 보고서에는 당시 기내에서 근무 중이던 승무원이 '항공기 좌석 28열 오버헤드빈(머리 위 선반)에서 화재가 추정'된다고 진술한 내용이 담겼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 이후 항공기 안전, 보조배터리 휴대는 어떻게?에어부산 여객기 화재 이후 항공기 안전, 보조배터리 휴대는 어떻게?30일 김포발 제주행 에어부산 여객기에 탑승한 기자는 28일 발생한 화재 사건 이후 항공기 안전에 대한 우려와 보조배터리 휴대에 대한 고민을 솔직하게 공유합니다. 화재 원인 추측과 비상문 개방 안내 방송 등 항공사의 대처 방식을 소개하며, 과거 에어부산 기내 화재 사건과 항공기 탑승에 대한 불안감을 증폭시키고 있습니다. 또한, 맥북프로 위험으로 인한 항공기 탑승 제한 사례를 언급하며 보조배터리에 대한 제한 조치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 이후, 승객은 보조배터리 직접 휴대에어부산 여객기 화재 이후, 승객은 보조배터리 직접 휴대에어부산 여객기 화재 이후, 승객들은 항공기에 탑승하기 전 보조배터리 등 전자기기를 별도 봉투에 담아 좌석 앞 주머니에 보관해야 합니다. 또한, 비상문 개방은 승무원만이 할 수 있으며 임의 조작은 금지됩니다. 28일 화재 사고 이후 적극적인 대처 요령을 안내하는 에어부산은 승객들이 승무원들을 도와 탈출에 적극 협조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에어부산 화재 당시 기내 소화기 사용 못했다…'대피 우선 판단'에어부산 화재 당시 기내 소화기 사용 못했다…'대피 우선 판단'(부산=연합뉴스) 손형주 박성제 기자=28일 밤 김해공항에서 발생한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 당시 기내 소화기를 사용하지 못할 정도로 화재 진행...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에어부산 홍콩행 항공기 화재, 승객 3명 부상에어부산 홍콩행 항공기 화재, 승객 3명 부상김해공항에서 홍콩행 에어부산 항공기에서 화재 발생, 승객 3명 부상. 국토부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 사고 원인 규명 위해 조사 진행.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승객이 반입한 리튬배터리서 ‘최초 불길 발화’ 규명 관건승객이 반입한 리튬배터리서 ‘최초 불길 발화’ 규명 관건정부가 지난 28일 김해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 사고 원인 조사를 시작했다. 항공기에 남아 있는 항공유 처리 문제를 결정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12 10:58: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