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연합뉴스) 박재현 송정은 기자=글로벌 선진그룹으로 도약한 우리 경제의 이면에 자리 잡은 '양극화'에는 임금 불평등과 자산격차 확대 등...
박재현 송정은 기자=글로벌 선진그룹으로 도약한 우리 경제의 이면에 자리 잡은 '양극화'에는 임금 불평등과 자산격차 확대 등 구조적 요인이 짙게 깔렸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임금근로자 정규직·비정규직 추이◇ 5분위 근로소득 8.3%↑·1분위는 7.5%↓…코로나로 벌어진 자산 격차14일 통계청 등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 비정규직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204만8천원으로 전년보다 9만1천원 증가했다. 정규직 근로자는 379만6천원으로 17만3천원 늘었다. 김영은 기자[email protected]지난 2분기 가계동향 조사에서도 5분위의 근로소득은 작년 동기보다 8.3% 늘어났지만 1분위의 근로소득은 7.5% 감소했다.김광석 한국경제산업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2022∼2024년 실질소득이 평균적으로 감소하는 흐름이 나타났다"며"소득 증가 속도보다 물가 상승이 더 빨랐기 때문"이라고 했다.
윤인진 고려대 사회학과 교수는"임금과 소득을 노동과 상응하게 끌어올려야 한다"며"최고경영자나 임원은 임금 외에 수당과 인센티브에도 제약이 없는 반면 근로자는 임금이 물가상승률만큼도 오르지 못하는 상황이 지속됐다"고 말했다.노동시장에 진입할 기회의 확장과 적절한 재교육·재훈련도 필요하다는 제언도 나온다.윤인진 교수도"청년층에 기회를 더 많이 주고 생산성을 발휘하도록 해야 한다"며"공적 분야에서 일자리나 인턴십 기회를 늘려 노동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징검다리로 삼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취약계층을 뒷받침하는 복지정책과 계층이동을 활성화하는 양극화 해법은 다른 개념이라는 점에서다.윤인진 교수도"복지를 통해 불평등 개선하는 건 '낙인효과'의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이런 정부 필요 없다” 학교 비정규직, 대통령실 앞 눈물의 집단 삭발식학비노조 “임기 절반 지났음에도 변변한 비정규직 대책 하나 없고, 비정규직 임금 격차 더 커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빚 97%' PF 구조로 위기 반복…저자본·고보증 구조 뜯어고친다(서울=연합뉴스) 임수정 채새롬 기자=정부가 14일 발표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제도 개선방안' 핵심은 시행사의 자기자본비율을 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쪽선 최저가 바나나, 다른 쪽에선 수백만원 패딩”…불황 속 극단적 소비마트 초저가 행사 오픈런 방블케 해 한편선 월급 뺨치는 명품 패딩 수요↑ 소득 양극화 속 소비 양극화 심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김여사 특검 찬성 63%한국갤럽 여론조사 발표명태균 사태 부정적 영향'金 공개활동 줄여야' 67%尹 지지율 22% 소폭 하락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내년에도 수출 암울” 하나금융硏의 경고금리인하로 내수는 개선되지만 車·해운 둔화, 철강·건설 부진계속 “내년 양극화·저성장 더 심해질 것”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매경데스크] 수능 코앞서 곱씹어본 노동개혁 의미단 한방의 교육정책으로세상을 바꾸는 마법은 없어사회구조부터 변화시켜야학벌만능주의 부추기는노동시장 경직성 완화하고대기업·중기 격차 줄여가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