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부터 65세 이상 단독가구의 월소득이 228만원 이하, 부부가구는 364만8000원 이하면 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다. 보건복지부는 2025년도 기초연금 선정기준액을 이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기초연금 선정기준액은 지난해 대비 15만원(단독가구 기준) 높아졌고, 소득 기준이 전년 대비 7% 완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2025년 노인일자리 모집 신청 첫날인 5일 서울 동대문시니어클럽에서 어르신들이 일자리 신청을 위해 줄을 서 있다. 올해부터 65세 이상 단독가구는 월소득이 228만원 이하, 부부가구는 364만8000원 이하면 기초연금 을 받을 수 있다. 보건복지부는 2025년도 기초연금 선정기준액 을 이같이 결정했다고 1일 밝혔다. 노인 가구별 월소득인정액이 선정기준액 보다 적으면 기초연금 을 받을 수 있다. 소득인정액은 노인 가구의 근로·연금소득과 일반·금융재산, 부채 등을 합쳐 월소득으로 환산한 금액이다. 기초연금 은 65세 이상 노인 중 소득 하위 70%에게 지급한다. 선정기준액 은 65세 이상 노인 중 기초연금 수급자가 70%가 되도록 설정하는 기준 금액으로 소득·재산수준 등을 고려해 복지부 장관이 정한다. 기초연금 연도별 선정기준액 . 보건복지부 올해 선정기준액 은 지난해 대비 15만원(단독가구 기준) 높아졌다. 기초연금 을 받을 수 있는 소득 기준 이 전년보다 7% 완화된 셈이다.
부부가구 선정기준액도 지난해보다 24만원 늘면서 지급 문턱이 7% 낮아졌다. 복지부는 “선정기준액 상승은 65세 이상 노인의 근로소득이 지난해보다 11.4%, 공적연금 소득이 12.5% 상승한 영향”이라며 “다만 선정기준액 인상률이 소득증가율에 미치지 못하는 이유는 건물과 토지 등 노인 소유 자산 가치가 일부 하락했기 때문”이라고 했다. 기초연금 수급자는 2014년 435만명에서 2025년 약 736만명으로 빠르게 늘었다. 같은 기간 기초연금 예산은 6조9000억원에서 26조1000억원으로 3.8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65세로 새롭게 기초연금을 신청해야 한다면 생일이 속한 달의 한 달 전부터 신청할 수 있다. 예컨대 생일이 1960년 4월인 어르신은 3월 1일부터 기초연금을 신청할 수 있고, 4월분부터 기초연금 급여를 받는다. 기초연금은 신청을 해야 받을 수 있다. 신청은 주소지 관할과 상관없이 전국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나 국민연금공단지사 또는 보건복지부 인터넷 포털사이트인 복지로(www.bokjiro.go.kr)를 통해 할 수 있다. 거동이 불편한 분은 국민연금공단지사에 ‘찾아뵙는 서비스’를 요청하면 국민연금공단지사에서 직접 집으로 찾아가 기초연금신청서를 접수한다. 복지부는 “소득인정액 산정 시 현재 동거 가족에만 한정되어 있는 교육비·의료비 공제를 비동거 직계·비속까지 확대한다”며 “탈락한 수급희망자라도 나중에 수급이 가능해졌다면 다시 신청을 안내하도록 수급희망 이력관리제도를 개선하는 등 기초연금 대상자를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한국, 초고령사회 진입주민등록 기준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0%를 넘어 한국 초고령사회 진입.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국, 초고령사회 진입…노인 빈곤과 연금 개혁 시급한국이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20%를 넘어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가운데, 노인 빈곤율과 연금 개혁 논의가 시급해졌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국 고령자 교통사고 사망률, 세계에서 가장 심각한 수준”한국의 65세 이상 노인의 교통사고 사망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은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노인 자살률은 과거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65세 이상 임플란트, 지르코니아 급여 적용 확대보건복지부는 65세 이상 임플란트 치료 급여를 지르코니아 재료까지 확대하고, 충치 검사 급여를 15세 이하로 확대하는 등 치과 분야 보장성을 강화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30년 뒤 전체 가구 절반 이상이 ‘65세 이상 고령자’만 산다30년 뒤 전체 국내 가구의 절반 이상이 65세 이상 고령자 가구일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아지고, 4...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기초연금, 노인 빈곤 개선 효과 가장 크나…소득 중 비중 작아(서울=연합뉴스) 오진송 기자=노인 빈곤 문제 해결을 위한 정부의 여러 정책 중 기초연금 제도의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됐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