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상치 못한 ‘낭보’와 ‘비보’들이 세상을 떠나, 그들의 발자취는 2025년을 살아가야 할 한국인들에게 하나의 ‘이정표’가 될 것이다.
김민기 | 올리비아 핫세 | 피터 힉스 | 홍세화 예상치 못한 ‘낭보’와 ‘비보’들이 교차한 2024년 ‘귀감’이 될 만한 이들과 ‘반면교사’로 삼아야 할 인물들이 세상을 떠났다. 그들이 남긴 발자취는 2025년을 살아가야 할 한국인들에게 하나의 ‘ 이정표 ’다. 올해 ‘우리 곁을 떠난 이들’을 기록한다. 정치·사회 | ‘ 세월호 잠수사 ’ 한재명…‘재야 운동권 대부’ 장기표 세월호 참사 당시 실종자 수색에 나선 민간 잠수사 한재명씨가 9월25일 49세로 별세했다. 2014년 예비 신랑이었던 한씨는 맹골수도로 뛰어들었다. 당시 수색 활동은 그에게 잠수병과 정신적 트라우마를 남겼다. ‘ 세월호 잠수사 ’라는 과거가 국내 일터에서 환영받지 못한 탓에 그는 이라크에서 잠수사 일을 해야 했다. 잠수를 마치고 쓰러진 한씨는 다시 깨어나지 못했다. 한씨는 생전 습관처럼 “아이들이 저를 지켜주겠죠”라고 말했다.
길 위에서 투쟁하는 약자들의 밥을 지어온 ‘십시일반 음식연대 밥묵차’ 대표 유희씨가 6월18일 65세로 별세했다. 1988년 서울 청계천에서 공구 노점을 하던 유씨는 장애인 노점상 최정환씨가 노점 단속에 반발해 분신한 1995년부터 집회 현장에서 장애인들을 위해 국밥을 끓였다. 쌍용차·콜트콜텍·동양시멘트·세종호텔 등의 투쟁 현장에도 그가 지은 밥이 있었다. 유씨가 생전 당부한 자신의 묘비명은 ‘밥은 하늘이다’였다.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피해자인 김성주 할머니가 10월5일 95세로 별세했다. 14세 때 미쓰비시중공업 나고야항공기 제작소로 강제동원된 김 할머니는 철판 자르는 일을 하다 손가락을 잘렸다. 구사일생으로 귀국했지만 ‘정신대’라는 오해를 받으며 숨죽이며 살아가야 했다. 2012년 10월 미쓰비시중공업을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해 2018년 11월 대법원에서 최종 승소했다. 그러나 제대로 사과 한 번 받지 못하고 떠났다. 주금용 할머니는 ‘재판조차 못 받아보고’ 3월17일 96세로 세상을 떠났다. 전남 나주에서 태어난 주 할머니는 1945년 2월 일본 도야마에 있는 군수회사 후지코시에 강제동원됐다. 임금 한 푼 받지 못한 주 할머니는 광복 후 한참이 지나서야 고향에 돌아올 수 있었다. 2019년 4월 광주지법에 후지코시를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했지만 일본 정부의 비협조로 재판 한 번 받아보지 못했다. ‘재야 운동권 대부’ 장기표 신문명정책연구원장이 9월22일 78세로 세상을 떠났다. 서울대 법학과 학생이던 1970년 전태일 열사의 분신 소식을 접하고 학생운동과 노동운동에 투신했다. 서울대생 내란음모 사건, 민청학련 사건, 청계피복노조 사건, 민중당 사건 등으로 9년간 수감됐고 12년간 수배 생활을 했다. 민주화 이후 현실 정치에 나섰지만 매번 낙선했다. ‘영원한 재야’라는 별명을 얻었다. 김영삼 전 대통령(YS)의 배우자 손명순 여사가 3월7일 95세로 별세했다. 1951년 결혼해 2015년 YS 서거 전까지 65년간 부부의 연을 맺었다. ‘그림자 내조의 달인’ ‘정치적 동반자’로 불렸다. 이명박 전 대통령의 형인 이상득 전 국회부의장이 10월23일 89세로 세상을 떠났다. 코오롱상사 사장을 거쳐 13~18대 6선 의원을 지냈고, 17대 국회 후반기 부의장을 맡았다. 이명박 정부에서 ‘영일대군’ ‘만사형통’으로 불리는 실세였다. 2012년 불법정치자금을 받은 혐의로 기소돼 1년2개월 수감됐고, 2019년 뇌물수수 혐의로 기소돼 재수감됐다. 경북 칠곡 할매래퍼그룹 ‘수니와 칠공주’ 멤버인 서무석 할머니가 10월15일 87세로 별세했다. 서 할머니는 일제강점기 등 시대적 상황으로 한글을 배우지 못했다. 칠순이 넘어서야 한글을 배운 그는 비슷한 처지의 할머니들과 ‘수니와 칠공주’의 멤버로 활동했다. 암투병을 하면서도 돌아가시기 열흘 전까지 공연을 펼쳤다. 경제 | ‘꿈의 신소재’ 조석래 조석래 효성그룹 명예회장이 지난 3월29일 타계했다. 향년 89세. 1935년 창업주 고 조홍제 회장의 장남으로 태어난 그는 1982년 효성중공업 회장직을 이어받아 35년간 회사를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시켰다
사회 정치 예상치 못한 낭보 비보 추억 이정표 세월호 잠수사 학생운동 자금 여성 경제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12.12와 유사한 반란, 2024년 12월에 재현2024년 12월, 1979년 12.12 군사반란과 유사한 사건이 발생했다. 영화 '12.12'를 통해 당시의 상황이 생생하게 전해졌던 만큼, 이 사건은 청년 세대에게 그 의미와 성격을 이해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2000년 이후 쿠데타가 불가능한 5가지 이유와 핸드폰의 위력이 강조되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복지국가, 민주주의의 한편이라 할 수 없다2024년 연말 국회의사당 계엄군 이미지로 윤석열 정권의 독재정치 가능성을 암시하며, 전두환 시대의 '복지사회'와 같은 부당한 권력의 치부를 욕구로 이끄는 복지 개념에 대한 비판을 강조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윤석열 ‘비상계엄 쿠데타’ 결과, 한강 울렸던 ‘사자왕 형제’는 알고 있다[기자수첩] ‘사자왕 형제의 모험’과 1980년 광주, 그리고 2024년 ‘비상계엄 쿠데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부산시, 2024 중소기업인 대상 표창자 선정부산시는 2024년 중소기업인 대상 표창자를 선정하여 기술혁신과 선진 경영문화를 선도하는 기업인들을 격려하고 지원합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탄핵, 역사 속의 의미와 미래 전망조선시대의 탄핵제도와 2024년 대한민국의 대통령 탄핵 사태를 비교 분석하고, 탄핵 이후의 정치적 과제를 제시한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플랫 레터] 🍊죽은 자가 산 자를 구할 수 있을까2024년 한해도 감사드립니다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