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급 강풍이 자주 부는 시기라 5월 중순까진 안심할 수 없어요. 역량을 집중해 하루라도 빨리 산불 위험 요소를 제거해야죠.” 강릉·동해·삼척·속초·고성·양양 등 강원 동해...
지난달 22일 양양속초산림조합 직원들이 전력 설비 주변 위험 수목을 제거하고 있다. 속초시 제공강릉·동해·삼척·속초·고성·양양 등 강원 동해안 지역 6개 시군의 산림 관련 부서 공무원들은 요즘 송전선 등 전력 설비 주변을 살피며 강풍에 쓰러질 위험이 있는 나무를 제거하느라 바쁜 시간을 보내고 있다. 봄철 태풍급 강풍에 전선 스파크가 큰불로 번지는 도심형 산불 피해를 막기 위해서다.
2일 속초시에 따르면 지난달에만 대포동 외옹치항 주변 경사면과 M호텔 인근 도로변 등 3곳의 전력 설비 옆에 있는 위험 수목 150그루를 제거했다. 애초 양양속초산림조합을 통해 도심 전력 설비 인근 위험 수목 140그루 정도를 벌채할 계획이었으나 사업 추진 과정에서 제거 대상이 200그루로 늘어났다.동해시도 최근 부곡동의 공유림과 국유림 내 전력 설비 주변 위험 수목 70그루를 벌채한 데 이어 5월 초까지 200여그루를 추가로 제거할 계획이다. 나무의 높이와 경사도, 기울어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위험 수목을 선정한 후 소유주 동의를 받아 제거 작업을 진행하는 중이다.
동해시 녹지과 산림보호팀 장아름 주무관은 “재해 예방과 관련된 일이어서 그런지 대부분의 사유림 산주들이 전력 설비 주변 위험 수목을 제거하는 데 적극적으로 동의해주고 있다”고 말했다.지난해 4월11일 강릉시 난곡동의 한 야산에서 발생한 산불은 순간 최대풍속 초속 30m에 달하는 강풍을 타고 경포 일원으로 급속히 번졌다. 이 산불로 1명이 숨지고 주택 204동, 숙박·음식점 등 147개 업체, 55개 농축산 시설이 불에 타 274억원의 재산피해가 났다. 축구장 170개와 맞먹는 산림 120.7㏊를 태우고 274가구 551명의 이재민을 만든 당시 산불의 원인은 ‘강풍에 쓰러진 나무에 의한 전선 단선’이었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과 한국산불방지기술협회 모두 “잘린 전선에서 튄 스파크가 바짝 마른 풀과 나무 등에 옮겨붙으며 산불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는 감정 결과를 내놨다.3~5월 강원 영서 지역의 차가운 공기가 서풍을 타고 백두대간을 넘을 때 역전층을 만나면 갑자기 압력이 높아지면서 동해안에 강한 바람을 일으킨다. 초속 20~30여m에 달하는 국지적 강풍이 불다 보니 사람이 제대로 서 있기 힘들 정도다.이에 따라 강원도는 지난해 6월부터 산림청·산업통상자원부·한국전력공사·국립산림과학원 등과 함께 전력 설비 주변 관리 방안 마련을 위한 현장토론회와 간담회 등을 잇달아 개최하며 위험 수목 제거 사업의 필요성을 부각했다.
강원도 산불방지센터 송재용 주무관은 “동해안 6개 시군에 예산을 배정해 전력 설비 주변 위험 수목 1022그루를 벌채했다”며 “5월 중순까지 500여그루를 더 제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고규홍의 큰 나무 이야기]서당의 어린 학동이 심은 나무서당에서 글공부하던 어린 학동이 심고, 마을 사람들이 정성껏 지켜온 큰 나무가 있다. ‘서산 송곡서원 향나무’라는 이름의 한 쌍의 향나무다. 미끈한 나무줄기의 생김새에서부터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막에 또 '만리장성' 쌓는 중국, 이유가 놀랍네요황사에 맞서 사막에 나무 680억 그루 심은 '녹색 만리장성' 프로젝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직장 괴롭힘’ 증거 확보 위한 녹음,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합법일까“공개된 장소에서 다 들으라는 듯 폭언, 주변 동료가 녹취해주는 것은 불법 아니라는 판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양권모 칼럼]‘이대로’ 3년은 너무 막막하다돌이켜보면 ‘3년은 너무 길다’는 슬로건만큼 정권심판 민심을 표징하는 것도 없다. 집권 2년도 되기 전에 치러진 총선에서 ‘정권 조기 종식’ 구호가 아무렇지 않게 받아들여질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냉동김밥’ 해외 열풍 이끄는 ‘복만사’…“국내산 재료·김밥 표기 고수는 자부심”“100% 국내산 식재료와 ‘김밥(Kimbap)’ 표기를 고수하는 이유는 기업 가치뿐 아니라 한국 문화를 알리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냉동김밥의 해외 열풍을 이끌고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수녀가 되기 위해 로마로 간 소녀에게 벌어진 끔찍한 일[리뷰] 영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