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시간 만에 구조된 기적의 여성…그곳엔 3명이 더 살아있다

대한민국 뉴스 뉴스

170시간 만에 구조된 기적의 여성…그곳엔 3명이 더 살아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nocutnews
  • ⏱ Reading Time:
  • 21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2%
  • Publisher: 51%

튀르키예 강진 사망자 3만3천명 넘긴 가운데

지난 6일 발생한 튀르키예에서 발생한 강진으로 13일 현재 튀르키예와 시리아에서 3만 3천명 이상이 숨진 가운데 이날 튀르키예의 무너진 건물 더미에서 한 여성이 구출됐다.지진 발생의 진앙지인 카흐라만마라스에서는 구조 대원들이 건물 폐허 더미에서 어머니와 딸, 아이로 추정되는 세 명의 생존자와 접촉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전했다.러시아 국방부는 텔레그램을 통해 구조대가 잔해에서 한 남자를 구해 옮기는 보습을 보여주는 동영상과 함께"잔해에서 남성을 제거하기 위한 구조 작업이 4시간 이상 지속됐다"고 밝혔다.

셰바즈 샤리프 파키스탄 총리는 트위터에 글을 올려"한 익명의 파키스탄인이 주미 튀르키예 대사관에 걸어 들어가 튀크키예와 시리아를 위해 써달라며 3천만 달러를 기부한 사례에 깊은 감동을 받았다"며"매우 아름다운 자선활동"이라고 밝혔다.지난해 홍수로 약 400억달러의 궤멸적인 피해를 입은 파키스탄 정부는 튀르키예와 시리아를 위한 지원금을 모으고 보급품을 제공하기 위한 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양국 돕기에 적극 나서고 있다.시리아 내전 감시단체인 시리아인권관측소에 따르면 지난 11~12일 중부 도시 팔미라에서 송로버섯을 채취하던 민간인 75명이 잇따라 납치됐다. 이 중 11명이 살해된 것으로 파악했으며, 나머지 64명의 생사도 현재 알 수 없는 상태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nocutnews /  🏆 18.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132시간 만에 햇빛 본 4살, 눈만 깜빡깜빡…기적의 생환 뭉클 | 중앙일보132시간 만에 햇빛 본 4살, 눈만 깜빡깜빡…기적의 생환 뭉클 | 중앙일보골든타임인 72시간이 훌쩍 지났지만 곳곳에서 기적의 생환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r튀르키예 지진 기적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지진 159시간 만에 살아 돌아온 소녀…기적의 생환 소식지진 159시간 만에 살아 돌아온 소녀…기적의 생환 소식튀르키예와 시리아 지진 사망자 수가 3만 3천 명을 넘어섰습니다. 양국이 공식 발표한 수치인데, 세계보건기구는 시리아 사망자 수가 2배 이상 많다고 밝혔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지진 사망자 3만 3천명 넘어…159시간 만에 '기적의 구조'지진 사망자 3만 3천명 넘어…159시간 만에 '기적의 구조'지진 사망자 3만 3천명 넘어…159시간 만에 '기적의 구조' 매주 금요일엔 JTBC의 문이 열립니다. 📌 '오픈 뉴스룸' 방청 신청하기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임신 6개월 여성, 115시간 만에 구조‥인도적 지원 '난항'임신 6개월 여성, 115시간 만에 구조‥인도적 지원 '난항'튀르키예와 시리아에서 기록적인 강진이 발생한 지 오늘로 엿새째입니다. 사망자는 2만 4천 명을 넘어섰고, 여전히 수만 명이 실종 상태입니다. 기적처럼 들려오는 생환 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평창서 가드레일 충돌 차량 화재…대학 스키동아리 5명 숨져평창서 가드레일 충돌 차량 화재…대학 스키동아리 5명 숨져12일 새벽 강원 평창에서 승용차가 가드레일을 받은 후 불에 타 대학 스키동아리 회원으로 추정되는 20대 5명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임아영의 Rainbow]흘려보내는 시간에 여성들이 또 죽는다[플랫][임아영의 Rainbow]흘려보내는 시간에 여성들이 또 죽는다[플랫]강간죄를 인정받기 위해 ‘죽을 만큼 저항했는지’를 입증해야 했던 수많은 사건들을 잊었는가. 여성에 대한 폭력은 ‘저항했는지’ 여부로만 판단하고 싶다는 주장에 어디까지 대응해야 하는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12 05:1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