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 둘 셋 넷 다섯 여섯 일곱 여덟” 지난 4일 오전 11시. 오사카 재일동포 요양시설 ‘산보람’의 체조 시간. 숫자 구령이 나오자 구순이 넘은 어르신 6명이 체조를 시작...
지난 4일 오전 11시. 오사카 재일동포 요양시설 ‘산보람’의 체조 시간. 숫자 구령이 나오자 구순이 넘은 어르신 6명이 체조를 시작했다.고경일 산보람 이사장은 “치매 어르신 중에는 그간 써왔던 일본어는 다 잊고 한국어만 기억하는 경우도 있다”며 “어린 시절 먹었던 음식, 들었던 노래, 쓰던 말을 본능적으로 찾는다”고 말했다.거동이 불편한 어르신은 산보람 직원이 직접 집에 방문해 식사나 목욕을 챙긴다. 대신 장을 보고 생필품을 챙기는 것도 주요 ‘홈 서비스’이다.
움직임이 수월한 어르신은 오전 9시30까지 요양시설로 모셔와 오후 4시까지 보살핀다. 식사와 목욕 서비스를 시작으로 레크레이션과 체조로 건강을 챙긴다. 식단은 주로 한식으로 짠다. 김치 역시 빠지지 않는다.산보람이 돌보는 어르신 중 9명은 요양시설에 거주하면서 24시간 보살핌을 받는다. 지난 4월15일 100세 생일을 맞은 김춘생 할머니도 산보람에 산다. 젊은날 고향 제주도를 떠나 이국 땅에서 평생 가난과 차별을 견디며 살았다.김 할머니는 연금 혜택을 받지 못한다. 일본 ‘국민 연금’ 제도가 도입된 1961년 당시 일본 정부는 자이니치를 연금 가입 대상에서 제외했다. 정부가 공식적으로 자이니치를 자국민으로 인정하지 않은 셈이다. 대부분의 자이니치 1세는 김 할머니처럼 연금 혜택을 받지 못한다. 받는다 해도 금액이 적다. 자이니치 1세가 생활고를 겪는 이유이다.김 할머니는 “100세 생일 잔치를 한 기억이 난다”며 “그거 말고는 아무것도 모르겠다. 머릿속이 복잡하다”고 했다.
반면 일본인은 재일동포 시설에서 일하기를 꺼린다. 문화가 달라 일이 쉽지 않겠다는 판단에서다. 가뜩이나 일본에서 개호는 임금 수준이 낮고 노동강도가 높아 인력난이 심각한 업종이다. 이 때문에 재일동포 시설에서는 직원을 구하기가 더 어렵다.고 이사장은 “재일동포는 기본적으로 ‘내 민족은 내가 돌보는 게 당연하다’는 인식이 기저에 깔려있다”며 “다만 갈수록 그런 동족 의식이 옅어지고 있어서 앞으로는 재일동포를 돌보는 시설도 사람도 사라질 지 모른다”고 했다.산보람 내 일본인 직원은 5명 뿐이다. 이들은 특별하다. 할머니의 아픔을 치유해야 하는 임무가 있다. 할머니가 일본인에게 받은 차별의 한을 풀어주는 역할이다.
고 이사장은 “일본인 직원이 극진하고 친절하면 할머니들이 ‘그래도 착한 일본인이 있구나’ 생각하고 차별의 상처가 아문다”며 “일본 직원이 들어오면 ‘할머니가 일본인에 대한 한을 품을 채로 돌아가시지 않도록 해달라’고 당부한다”고 말했다. 산보람은 정부 지원 없이 운영하기 때문에 재정이 넉넉하지 않다. 주오사카 한국 영사관과 할머니의 ‘고향’ 제주도에서 종종 생필품 지원을 하고 있지만, 여전히 도움이 필요하다. 고 이사장은 “이분들의 삶이 차별의 아픔으로 끝맺지 않고 자신의 생, 삶에 보람을 느낄 수 있도록 정성을 다해 돌볼 것”이라며 “이제는 경제적으로 풍족한 한국이 이들을 잊지 않았으면 한다”고 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돌봄 ‘외국인’에 수당 얹어주는 일본···최저임금도 못 준다는 한국일본 오사카에 거주하는 10년차 개호복지사(요양보호사) A씨(37세)는 매달 일본 정부로부터 약 7만5000엔 가량의 지원금을 받는다. 개호(돌봄) 노동자의 낮은 급여를 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대기업 ‘정년 70세’ 현실 되나…일본서 고령자 기준 확대 논의 확산65세 이상 인구가 10명 중 3명꼴인 일본에서 최근 ‘정년 70세’ 시대가 차츰 현실화하는 분위기다. 일부 대기업은 고령화에 따른 일손 부족에 대응해 정년이 지난 직원을 7...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일본은 돌봄 외국인에게도 ‘수당’…국적 차별 없이 동등 대우일본 오사카에 거주하는 10년차 개호복지사(요양보호사) A씨(37)는 매달 일본 정부로부터 약 7만5000엔의 지원금을 받는다. 개호(돌봄) 노동자의 낮은 급여를 보전하기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괴롭히고 임금 깎고... 여전한 육아휴직 불이익여성노동상담실 상담 사례로 살펴본 여성노동자의 현실 ③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직장내 괴롭힘 신고했더니 오히려 퇴사 압박이라니여성노동상담실 상담 사례로 살펴본 여성노동자의 현실 ②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회사에 '부당하다' 말했더니... '당신 같은 사람이랑 일 못한다'여성노동상담실 상담 사례로 살펴본 여성노동자의 현실 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