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식씨 인생의 전반부는 갇혀 있던 삶이었고, 후반부는 싸우는 삶이었다. 시설에서 나온 이후 규식씨는 지하철과 버스를 막아섰고, 전경 버스를 가로막았다. 그는 장애인 없이 굴러가는 세상을 가로막아 새로운 길을 내고 싶었다. ⬇️미래를 앞당겨 오늘을 사는 사람
시설 생활, 장애인 활동가 삶 생애사 펴내 이규식씨가 ‘동료 집필진’ 김소영, 배경내, 김형진씨와 함께 휠체어 리프트 사고를 당했던 서울 종로구 혜화역 출구 계단 앞에 섰다. 박종식 기자 [email protected] ‘언제나처럼 미래를 앞당겨 오늘을 살 것을 다짐하며.’ 민 머리에, 지하철 바닥을 기며, 탔다 내리기를 반복한다. 철판을 덧댄 휠체어를 탄 그는 험상궂은 표정으로 경찰을 막아선다. 중증 뇌병변 장애인 이규식씨다. 그런 그를 사람들은 ‘탱크 몰고 다니는 깡패 같은 장애인’이라고 부른다. 장애인의 날인 지난해 4월20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이룸센터 앞에서 경찰이 이규식씨의 도로 진입을 막고 있다. 김태형 기자 [email protected] “어머니가 연탄가스를 마셔서 그렇게 태어난 건지, 동네 우물에 문제가 있어선지, 한의원에서 침을 잘못 맞은 탓인지 잘 모르겠지만”, 규식씨는 혼자서는 몸을 가눌 수 없이 태어났다.
1999년 6월, 지하철을 이용하기 위해 혜화역 휠체어 리프트에 올라섰던 규식씨는 그대로 추락했다. 그는 장애인 활동가 동료들의 도움으로 서울지하철공사를 상대로 손해배상을 청구했고, 500만원 배상 판결을 얻어냈다. 하지만 이후에도 많은 장애인이 휠체어 리프트 이용 중 사망했다. 이들은 단지 지하철을 이용하려 했을 뿐이었다. 규식씨가 “병신 새끼, 집에나 있어라”라는 욕을 들으면서도 이동권 문제에 매달리는 이유이다. 이규식씨가 이른 아침 지하철을 이용해 시청역으로 향하고 있다. 박종식 기자 그런 그가 올봄 중증 뇌병변 장애인의 생애사를 담은 자서전을 출간했다. 언어장애가 있고, 손을 자유롭게 쓸 수 없는 규식씨이기에 ‘동료 집필진’인 김소영, 김형진, 배경내씨의 도움이 컸다. 이들은 기꺼이 규식씨의 글동무가 되어주었다. 규식씨는 자신의 책을 장애 자녀를 둔 부모나, 장애인을 가까이에서 만나는 교사와 사회복지사들이 꼭 읽어주면 좋겠다고 말한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경비원 사망한 대치동 아파트…‘감시직’ 승인 취소될까고용노동부는 이번 사망 사건과 관련해 갑질 의혹뿐 아니라 이곳 아파트 경비노동자의 노동실태 전반을 근로감독하겠다고 나섰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현장] 차준환 '후련하게 경기할 수 있어 너무 좋아'[현장] 차준환 '후련하게 경기할 수 있어 너무 좋아' 차준환 피겨_스케이팅 은메달 피겨_스케이팅_세계선수권 박장식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치매 환자가 치매에 대해 쓰다 [여여한 독서]지갑을 깜박해 다시 집에 돌아오고 냄비를 태워먹고 냉장고 문을 열고 우두커니 서 있는 일들이 하루가 멀다 하고 일어난다. 아무리 건망증과 치매는 다르다지만 이런 일이 거듭되면 치매 생각을 안 할 수 없다. 치매 진단에 많이 쓰는 ‘하세가와 척도’라는 게 있다. ‘오늘이 몇 년 몇 월 며칠인가요? 암산으로 100에서 7씩 계속 빼보세요’ 같은 문항으로 이루어진 검사인데, 암산에 약한 나는 자꾸 막히는 계산에 치매를 걱정한다.진단법을 만든 일본의 치매 전문의 하세가와 가즈오에 따르면, 노령은 치매의 주요인이다. 아무리 조심해도 늙으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특파원시선] 흑인 배상 요구와 日의 강제징용을 대하는 美의 자세 | 연합뉴스(워싱턴=연합뉴스) 김동현 특파원=최근 미국에서는 정부가 노예제와 인종 차별 정책으로 오랫동안 피해를 본 흑인을 배상해야 한다는 주장이 논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검찰 수사권 축소’ 결정한 헌재 맹공하는 국힘, 재판관 실명 거론하며 비난이틀째 이러고 있습니다. 여당이 민생과 국정이 아니라 왜 이런데 열 올리는지... ** 소액후원으로 민중의소리에 힘을! 전화 1661-0451 newsvop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