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실 채무자는 분노, 은행은 혼란...'빚투 구제' 불씨 여전

대한민국 뉴스 뉴스

성실 채무자는 분노, 은행은 혼란...'빚투 구제' 불씨 여전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hankookilbo
  • ⏱ Reading Time:
  • 34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7%
  • Publisher: 59%

커뮤니티에서는 '이자를 내지 말았어야 했나', '지금부터라도 연체를 하란 얘긴가'라는 댓글이 달렸습니다.

"가상자산 투자자를 위한 제도가 아니다. 청년들에게 원금을 탕감한다는 내용도 없다.""최일선과 대화가 부족했을 수 있다. 그러나 금융회사에 부실을 떠넘긴다는 말은 곤란하다. 당국이 기계적으로 기준을 제시하기보다는 업계가 차주에 따라 조치를 결정해야 한다."18일 김주현 금융위원장이 내놓은 해명 중 일부다. 14일 '금융부문 민생안정 대책'을 발표한 후 ①"도덕적 해이를 양산한다", ②"은행에 부담을 떠넘긴다"는 비판이 일자 진화에 나선 것이다. 그럼에도 논란의 불씨는 여전하다.

이번 대책의 골자는 '상환 유예'에서 '상환 부담 경감'으로 정책의 패러다임을 전환한다는 것이다. 우선 소상공인·자영업자 중 폐업·부도에 이르렀거나 상환이 어려운 경우 10월 출범 예정인 '새출발기금'이 빚을 떠안는다. 지원 규모는 30조 원. △상환기간 연장 △금리 인하 △90일 이상 연체한 부실차주에겐 원금을 60~90% 탕감한다는 게 핵심이다. 정부는 대상 자영업자 규모를 25만 명 안팎으로 추산했다. 재원은 한국자산관리공사가 내년까지 3조6,000억 원을 출자해 마련한다. 신용평점이 하위 20%인 만 34세 이하 청년을 대상으로 1년간 한시적으로 채무조정 특례 프로그램도 진행한다. 소득·재산 대비 채무 정도에 따라 이자는 30~50% 낮추고, 상환유예 기간 중 이자율은 3.25%로 고정한다는 내용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대책 발표 이후 '버티면 언젠가 나라나 은행이 갚아주겠지'라는 분위기가 형성된 것이 가장 큰 문제"라고 꼬집었다. 실제 소상공인 커뮤니티에서는"이자를 내지 말았어야 했나","지금부터라도 연체를 하란 얘긴가","지금 갚고 있는 사람들은 무엇"이라는 댓글이 달렸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hankookilbo /  🏆 9.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취약차주 지원책 '불만' 높아지자…금융위원장까지 나서 '진화'취약차주 지원책 '불만' 높아지자…금융위원장까지 나서 '진화''왜 영끌족 의 빚을 내가 낸 세금으로 갚아줘야 하나요? 한 달, 한 달 성실하게 전세대출 이자 갚아 나가고 있는 사람이 애초에 무리하게 집 산 사람까지 책임져 줘야 하나요? 투자든 거래든 본인이 책임을 지는 겁니다' 금융위원장 구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정부‧여당 '부채 탕감' 드라이브, 정작 2030 민심은 '싸늘'정부‧여당 '부채 탕감' 드라이브, 정작 2030 민심은 '싸늘''열심히 일해서 빚을 갚는 청년들의 실망은 차치하더라도 나라가 나서서 빚을 갚아주잔 건 투기 조장과 같다' 국민의힘 윤석열정부 빚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신분증 사본 하나면 전 재산 털어가는데…은행은 대체 뭘 하나요신분증 사본 하나면 전 재산 털어가는데…은행은 대체 뭘 하나요피의자는 ㄱ씨 어머니의 개인정보로 알뜰폰을 개통한 뒤, 휴대전화 인증을 통해 포털 계정 비밀번호를 재발급받았다. 이후 ㄱ씨 어머니 클라우드에 저장된 여권사진 및 분실신고된 신분증 사진을 도용한 뒤 비대면 대출을 받았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북송 사건' 3년 전 속기록 살펴보니…법 적용 '혼란''북송 사건' 3년 전 속기록 살펴보니…법 적용 '혼란'2019년 탈북 어민 북송 관련한 논란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3년 전, 사건 당시의 국회 속기록에선 지금 논란이 되는 쟁점들이 그때도 거론됐던 걸로 드러나는데, 어민들에게 북송된다는 걸 알려주지 않았다는 답변도 있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슈체크] '수주 훈풍에도 처우 여전' vs '물가 올라 여력 없어'[이슈체크] '수주 훈풍에도 처우 여전' vs '물가 올라 여력 없어'대우조선 하청 노동자들의 파업, 쟁점을 잠깐 정리하겠습니다. 김도훈 기자가 나와 있습니다. 조선업계에 모처럼 훈풍이 불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21 09:3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