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노인 무임승차는 국가 책임'…기재부와 대립각
시는 이날 '무임수송 기재부 입장에 관한 입장' 자료를 내고"지하철 무임수송은 국가사무적 성격으로 국가 책임"이라고 반박했다.광고시는 지하철 노인 무임수송이 1984년 대통령 지시에 의해 도입된 제도임을 강조했다. 이후 전국의 모든 지하철에 이 제도가 적용됐고 거주지와 상관없이 전국 모든 국민에게 적용되는 만큼 지자체가 아닌 국가 사무로 봐야 한다는 것이다.
또 무임승차 기준 연령을 '만 65세 이하'로 규정한 노인복지법 제26조와 시행령을 법률 자문한 결과 일의적 규정이어서 지자체가 적용 여부와 할인율 등을 결정하면 위법의 소지가 크다고 주장했다.이를 두고 기재부는 요금 결정 권한이 지자체에도 있으니 지자체가 사업자와 협의해 결정하면 된다고 해석했다.하지만, 서울시는 만 65세 이상 무임승차는 노인들에게 법령을 통해 부여된 권한으로 지자체가 임의로 제한하는 것은 법령 우위 원칙에 위반되기에 국가 차원의 법 개정이 필요하다고 반박했다.요금 비용 부담은 부담을 발생시킨 주체가 책임을 지는 것이 기본 원칙이라는 이유에서다.
특히 한국철도공사가 원인자 부담 원칙에 따라 국토교통부와 보상계약을 체결해 전체 무임수송의 약 70%를 보전받고 있다는 점을 들며 이런 원칙을 코레일뿐 아니라 모든 운영기관에 동일하게 적용해달라고 촉구했다. 서울시는 대표적인 공공정책 중 하나인 폐기물 사무의 경우 정부가 건설비를 지원할 뿐 운영에는 개입하고 있지 않아 지자체가 수익 개선이 가능하지만, 지하철은 상황이 다르다고 지적했다. 지하철에는 정부의 복지정책인 무임승차가 있어 지자체가 무임손실 비용을 감당하고 개선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게 시의 주장이다.아울러"국회에도 노인복지법령 개정과 PSO에 대한 입법화 논의를 재차 촉구한다"며"가장 근본적인 문제 해결방식은 바로 입법적 해결"이라고 강조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무임승차는 지자체 결정사항'…정부지원 반대하는 기재부 | 연합뉴스(세종=연합뉴스) 박용주 기자=65세 이상 노인의 지하철 무임수송에 따른 손실을 국가가 보전해야 한다는 오세훈 서울시장의 요구에 대해 기획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2020년생 노인될때도 한국 노인빈곤율 최악…10명중 3명 빈곤'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김병규 기자=2020년에 태어난 영아가 노인이 되는 2085년에도 노인 10명 중 3명꼴로 '빈곤' 상태일 정도로 한국의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우크라 국회 경제위원장 '부패 등 없애서 '빠른 국가' 되겠다' | 연합뉴스(런던=연합뉴스) 최윤정 특파원=드미트로 나탈루카 우크라이나 국회 경제위원장은 부패와 같은 비효율성을 제거해서 '빠른 국가(Fast stat...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국, 데이비스컵 테니스 대반격…벨기에 상대 2-2 '승부 원점'(종합)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김동찬 기자=2년 연속 세계 16강에 도전하는 한국 남자테니스 국가대표 선수단이 국가 대항전인 데이비스컵 이틀째 경기 대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무임승차 연령 65살보다 올라가나…오세훈 “논의 시작할 때”홍준표 대구시장에 이어 오세훈 서울시장도 지하철 등 대중교통의 노인 무임승차 연령을 높이는 문제와 관련해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논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자세히 알아보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태원 유가족, 서울시청 앞에 분향소 설치…경찰과 충돌이태원 참사 100일째를 하루 앞둔 4일 유가족들이 서울광장 앞에 분향소를 새로 설치하는 과정에서 경찰·서울시청 공무원들과 대치하는 상황이 벌어졌습니다. ⬇️자세히 알아보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