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의대 교수 4명이 사직한 전공의·의대생 등을 비판한 것을 두고 의사 사회에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 “제자를 위해 참스승의 면모를 보...
서울대 의대 교수 4명이 사직한 전공의·의대생 등을 비판한 것을 두고 의사 사회에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 “제자를 위해 참스승의 면모를 보였다” “쉽지 않은 용기를 냈다”는 지지와 “교수라 불릴 자격도 없다”는 비판이 엇갈린다. 의사들이 모인 온라인 커뮤니티와 사회관계망서비스에서는 성명서를 낸 교수들에 대한 과도한 인신공격성 발언도 쉽게 찾을 수 있다.
하은진·오주환·한세원·강희경 서울대 교수 4인은 지난 17일 ‘복귀하는 동료는 더 이상 동료가 아니라고 주장하는 분들께’라는 제목의 성명문을 발표했다. 이들은 해당 글에서 사직 전공의와 의대생들을 향해 “정말 내가 알던 제자, 후배들이 맞는가 이들 중 우리의 제자, 후배가 있을까 두려움을 느낀다” “의사 면허 하나로 전문가 대접을 받으려는 모습도 오만하기 그지없다”고 적었다. 특히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대위원장을 실명으로 비판하며 논란은 확산했다. 강희경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가 18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융합관 양윤선홀에서 열린 ‘더 나은 의료시스템을 함께 만들어가는 의료소비자 공급자 공동행동’이 연 ‘우리의 현주소: 의료시스템 수행지표의 팩트 검토’ 토론회에서 참석자 발언을 듣고 있다./문재원 기자
그러나 의료계를 벗어나면 교수들의 주장에 공감하는 반응도 적지 않다. 의·정 갈등 장기화로 사회적 피로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한국중증질환연합회는 논평을 내고 “환자를 버린 행위까지 감싸주는 의사 카르텔 문제를 수면 위로 올렸고 비판했다는 점에서 우리는 희망을 봤다”며 “이익을 위해 자리를 떠난 이들에게 부여하는 ‘특례’가 아닌 수모를 겪고도 남은 이들을 향한 ‘특혜’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의대생 학부모 모임에 깜짝 놀라…아무도 비난할 자격 없어의료계 파업사태 1년을 맞아 공공의료 전문가 권용진 서울대 의대 교수의 솔직한 질문과 답변을 듣고 의대생 학부모 모임의 깜짝 놀라움을 나누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서울의대 교수 4인, 후배 전공의∙의대생 꾸짖다하은진 서울대 의대 교수(중환자의학과)는 17일 중앙일보와 통화에서 '(의대) 2000명 증원을 반대할 때엔 의료 시스템을 걱정하는 명분이 있었지만, 지금은 개원면허제(수련 거친 의사에게만 개원 권한 부여)나 미용·성형 개방 등을 언급하며 기득권 붕괴에 대한 염려만 드러내고 있다. 전공의·의대생이 정부의 내년 의대 모집인원 '3058명 동결' 선언에도 꿈쩍않는 가운데, 서울대 의대 교수들이 '후배·제자'를 작심 비판하고 나섰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서울의대 교수 4명 “의사면허로 대접받으려는 전공의” 3500자 비판내년도 의대 증원 방침 철회에도 불구하고 전공의·의대생들이 수련병원·학업 복귀를 거부하는 상황이 계속되는 가운데 서울대의대·서울대병원 교수들이 이들의 행태를 강하게 비판하는 입장문을 냈다. 이들은 사직 전공의들의 행태는 오만하며 이런 태도가 계속될 경우 결국 의사로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의대생 비판 서울의대 교수 '그들은 기득권 붕괴만 걱정'class='ab_photo photo_center ' style='width: 720px;'| class='image'| 서울대 의대·병원 교수 4명(하은진·오주환·한세원·강희경)이 1년째 이어지는 의·정 갈등 속에 '탕핑(躺平·아무것도 하지 않고 누워있음)'으로 일관하는 전공의 등을 '의사 면허 하나로 전문가 대접을 받으려는 모습이 오만하기 그지없다'라며 비판하는 성명을 17일 냈다. (의대) 2000명 증원을 반대할 때엔 의료 시스템을 걱정하는 명분이 있었지만, 지금은 개원 면허제(수련 거친 의사에게만 개원 권한 부여)나 미용·성형 개방 등을 언급하며 기득권 붕괴에 대한 염려만 드러내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서울의대 교수들 일침에…'을사사적' '참스승' 의료계 두쪽 났다의대생과 전공의의 수업·병원 복귀를 전면 거부하는 현재 투쟁 방식 등을 비판한 서울대 의대·병원 교수 4명의 비판 성명에 의료계 안팎에서 찬반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전날 하은진 교수 등 4명은 '복귀하는 동료는 더 이상 동료가 아니라고 주장하는 분들께'라는 제목의 성명을 내고 '나와 내 가족이 아플 때 이들에게 치료받게 될까 두렵다'며 의대생 복귀를 막는 의대생·전공의를 '작심 비판'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의료계 블랙리스트’ 작성 혐의 사직 전공의, 보석 청구 두번 만에 인용의료계 집단행동에 참여하지 않은 의사·의대생 등을 중심으로 이른바 ‘의료계 블랙리스트’ 명단을 작성해 게시한 혐의 등으로 기소된 사직 전공의가 재차 법원에 보석을 청구한 끝에 풀려나 불구속 상태에서 재판을 받게 됐다. 14일 법원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 형사11단독 염혜수 판사는 이날 스토킹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구속기소된 사직 전공의 정모씨의 보석 청구를 인용했다. 사직 전공의 정씨는 집단행동에 참여하지 않은 전공의·전임의·의대생 등의 명단을 작성한 뒤 의료계 커뮤니티 메디스태프와 텔레그램 채널 등에 ‘감사한 의사’라는 제목으로 총 26차례 글을 게시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