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은진 서울대 의대 교수(중환자의학과)는 17일 중앙일보와 통화에서 '(의대) 2000명 증원을 반대할 때엔 의료 시스템을 걱정하는 명분이 있었지만, 지금은 개원면허제(수련 거친 의사에게만 개원 권한 부여)나 미용·성형 개방 등을 언급하며 기득권 붕괴에 대한 염려만 드러내고 있다. 전공의·의대생이 정부의 내년 의대 모집인원 '3058명 동결' 선언에도 꿈쩍않는 가운데, 서울대 의대 교수들이 '후배·제자'를 작심 비판하고 나섰다.
"지금과 같은 방식은 정부·의료계 양쪽을 다 파괴하고 사회 시스템을 무너뜨릴 뿐 해결책이 되지 않습니다."
전공의·의대생이 정부의 내년 의대 모집인원 '3058명 동결' 선언에도 꿈쩍않는 가운데, 서울대 의대 교수들이 '후배·제자'를 작심 비판하고 나섰다. 이날 교수 4명 명의로 낸 A4 용지 4장 분량 성명서를 통해서다. 의료계 내부서 이처럼 강도 높은 문제 제기가 나온 건 이례적이다. 이들 교수는" 피해자라고 말하지만 사직과 휴학은 스스로 선택한 일"이라면서"진짜 피해자는 1년 동안 외면당하고 치료받지 못 한 환자와 그 가족들 아닌가"라고 밝혔다."사태가 지속하면서 실망하고, 절망하고 있다"고도 했다. 이들이 진정 원하는 게 '정부 반대'인지, '의료 개선'인지도 되물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서울의대 교수 4명 “의사면허로 대접받으려는 전공의” 3500자 비판내년도 의대 증원 방침 철회에도 불구하고 전공의·의대생들이 수련병원·학업 복귀를 거부하는 상황이 계속되는 가운데 서울대의대·서울대병원 교수들이 이들의 행태를 강하게 비판하는 입장문을 냈다. 이들은 사직 전공의들의 행태는 오만하며 이런 태도가 계속될 경우 결국 의사로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의대생 비판 서울의대 교수 '그들은 기득권 붕괴만 걱정'class='ab_photo photo_center ' style='width: 720px;'| class='image'| 서울대 의대·병원 교수 4명(하은진·오주환·한세원·강희경)이 1년째 이어지는 의·정 갈등 속에 '탕핑(躺平·아무것도 하지 않고 누워있음)'으로 일관하는 전공의 등을 '의사 면허 하나로 전문가 대접을 받으려는 모습이 오만하기 그지없다'라며 비판하는 성명을 17일 냈다. (의대) 2000명 증원을 반대할 때엔 의료 시스템을 걱정하는 명분이 있었지만, 지금은 개원 면허제(수련 거친 의사에게만 개원 권한 부여)나 미용·성형 개방 등을 언급하며 기득권 붕괴에 대한 염려만 드러내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서울의대 교수가 전공의·의대생에 던진 물음 “누가 진짜 피해자인가”서울대 의대·병원 교수 4명이 일부 의대생들의 복귀 움직임을 비난하는 의대생과 전공의들을 강도 높게 비판했다. “현재의 투쟁 방식과 목표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박단, 서울의대 교수 비판 성명에 '교수라 불릴 자격도 없다'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대한의사협회 부회장)이 전공의 등을 상대로 비판 성명을 낸 서울대병원 소속 교수들을 향해 '교수라 불릴 자격도 없다'고 반박했다. 박 위원장은 17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교수라 불릴 자격도 없는 몇몇 분들께'라며 운을 뗐다. 박 위원장은 '교수의 역할은 첫 번째는 교육, 두 번째는 연구, 마지막이 진료라고, 교육을 하지 않는다면 병원에서 월급을 받는 봉직의일 뿐'이라며 '교육자로서 본분을 다하지 않은 교수 네분의 자백이 있다'고 깎아내렸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서울의대 교수 4명 “전공의들, 대안 없이 반대만 해” 비판“의사 면허 하나로 전문가 대접을 받으려는 모습도 오만하기 그지없다.” “환자와 국민의 불편과 공포를 무기로 요구를 관철시키려 하고 있지는 않은가?” 정부가 의대생 복귀를 전제로 내년도 의과대학 모집 인원을 증원 이전으로 되돌렸는데도 의대생·전공의 집단행동이 이어지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의대생·전공의 백지화 요구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복귀 거부 쟁점은정부가 이달 내 의대생 복귀를 전제로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증원 전(3058명)으로 돌리겠다고 했지만, 의대생·전공의들은 정부가 추진 중인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백지화를 요구하며 복귀를 거부하고 있다. 패키지 중 이들의 반발이 큰 대목은 주로 미래 소득이 줄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