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성서호 기자=의료공백 상황에서 코로나19 재유행, 온열질환까지 겹치면서 응급실에 과부하가 걸린 가운데 응급의학계는 남은 의...
성서호 기자=의료공백 상황에서 코로나19 재유행, 온열질환까지 겹치면서 응급실에 과부하가 걸린 가운데 응급의학계는 남은 의료진의 이탈이라도 막으려면 '정당한 보상'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지방에서 먼저 시작된 응급실의 위기가 서울까지 번진 상황에서 현재 한시적으로 주는 수가를 상설화하고, 이제는 사라진 전공의와 전임의 수련보조수당도 부활시켜야 그나마 남은 응급실 의사를 지킬 수 있다는 것이다.21일 대한응급의학회 등에 따르면 지방부터 시작된 응급실 인력 유출에 따른 진료 제한은 최근 서울까지 번졌다.서울의 상급종합병원인 한림대강남성심병원은 현재 야간에는 심폐소생술을 해야 할 심정지 환자가 아닌 경우 새 환자를 받지 못하고 있다. 응급의학회 관계자는"강남성심병원도 전공의들이 다 나간 뒤 6명으로 버티다가 최근에 5명이 됐고, 앞으로 한 명 더 사직할 예정이라고 한다"며"지방병원 응급실처럼 당장 하루씩 진료를 중단할 정도는 아니지만, 위기에 접어든 건 사실"이라고 말했다.정부 "응급실 1.2%에서만 진료 제한…조만간 정상화"정부는 응급실의 진료 차질을 일부 사례라고 파악하고, 조만간 정상화할 것으로 예상했다.특히 이들 응급실이 완전히 마비된 것이 아니라, 일부 기능이 축소됐다는 게 복지부의 설명이다.하지만 의료 현장에서는 통계 너머를 봐야 한다고 지적한다.의료공백 속 응급실 모습은응급의학계는 코로나19 재유행과 온열질환으로 응급실이 더 바빠진 상황에서 최소한 응급의료체계를 유지하려면 남은 인력이라도 지켜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어"응급의학을 안 하려는 사람을 하게 만들자는 게 아니라 지금 하고 있는 사람들이 이탈하지 않도록 최소한의 보상을 해달라는 것"이라며"한때 응급의학 전공의 지원율이 높아졌다는 이유로 없앤 수련보조수당도 다시 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병원급 응급실·야간진료…필수의료 수가 크게 올린다국민건강보험이 동네 의원에 보상하는 진찰료가 내년에 4% 오른다. 병원급 의료기관의 응급실·야간 진료에 대한 보상도 큰 폭으로 상향 조정한다. 지역·필수의료에 직결된 의료서비스를 집중 보상한다는 취지다. 보건복지부는 24일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건정심)에서 이런 내용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1천여개 중증수술 수가 인상…실손보험 보장 축소 검토(종합)(서울=연합뉴스) 성서호 기자=정부가 의료 행위 보상체계를 혁신해 그간 보상 수준이 낮았던 1천여개 중증수술 수가 인상에 나선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코로나 환자로 응급실 비상 … 발열클리닉 다시 연다정부, 응급실 과밀 해소 대책발열·몸살환자 응급실 오면공공병원 검사소에서 선별응급실 찾은 코로나 환자이달들어 열흘간 1만8천명온열질환 환자까지 대폭늘어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모바일쿠폰도 1천억 물렸다”…티메프 쇼크에 쿠폰·상품권 시장 대혼돈티메프發 도미노 쇼크 사용 막히고 환불 못해줘 법원, 티몬·위메프가 신청한 자율구조조정 프로그램 승인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응급실 의사 파업 법으로 막겠다”···서울대 의대 교수 출신 野 의원 [금배지 원정대][금배지 원정대-75] 김윤 더불어민주당 의원 응급실·중환자실 환자 보호법 발의 준비중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매경포럼] 러시아의 알박기 외교친서방국에 친러 거점 두고러시아, 간섭과 전쟁도 감행對北 약점 지렛대로 활용해韓 흔드는 유사전략 막아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