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삶의 발명

문학 뉴스

새로운 삶의 발명
환경자연문학
  • 📰 OhmyNews_Korea
  • ⏱ Reading Time:
  • 72 sec. here
  • 1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63%
  • Publisher: 51%

정혜윤의 산문집 '새로운 삶의 발명'은 입체파 화가 브라크의 작품처럼 추상적이고 시사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일상의 반복을 벗어나 새로운 삶을 발명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앎, 사랑, 관계, 경이로움 등의 재료를 제시한다.

어떤 책은 표지가 열일한다. 정혜윤 산문집 의 표지는 피카소와 함께 입체파 화가로 불리는 조르주 브라크의 작품이다. 새 같기도 하고, 고래 같기도 한 추상적 형태는 책이 담고 있는 생태, 환경의 메시지를 암시하는 듯하다. 큐비즘, 즉 입체파는 사물을 하나의 입체적 도형의 형상으로 표현한다. 저자는 마치 입체파의 표현 방식을 빌린 듯, 시사적인 환경 이슈를 한 면으로, 자신이 감탄한 독서 경험을 또 한 면으로, 자신이 몸으로 얻은 통찰을 또 다른 한 면으로 큐브 형태의 입체적인 이야기를 그려낸다. 은 새로운 한 해를 맞이하며 일상의 반복을 벗어나 자기만의 이야기를, 자신만의 삶을 발명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한 번쯤 읽으면 좋은 책이다. 일상의 반복을 넘어선 새로운 삶의 발명 원했든 원하지 않았든 우리는 엄청난 선물을 받았다. 바로 '삶'! 이걸 가지고 뭘 해야 할지도 모르겠는 번잡스러운 선물, '삶'! - 153쪽 사람은 누구나 자기 자신이 지겨우니까.

다른 목소리가 필요하지 않을까요? - 200쪽 삶 위에 서는 순간, 우리는 다시는 돌이킬 수 없는 순간, 순간을 마주하게 된다. 밀란 쿤데라의 말처럼 이 사실을 깨달을 때 필멸자 인간의 어쩔 수 없는 인간성의 일면이 고스란히 드러날 수밖에 없다. 돌이킬 수 없기에 지금 마주하는 이 순간이 소중하고, 이 소중함을 허투루 흘려보낼 수 없기에 더 나은, 더 좋은, 더 새로운 삶을 발명해야 한다. 반복하는 일상의 이야기에 뭔가 새로운 이야기를 발명해야만 한다. 자신의 성대에서 나오는 지겨운 목소리에 새로운 목소리를 추가해야만 한다. 인간은 절대 자기 홀로 창조적일 수 없고, 사방에 자기뿐인 세계에서 인간은 '나-나-나-나'로 이어지는 가시철조망(170쪽)에 찔려 죽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가시철조망 같은 자기중심적 세계로터 일단 자신을 구해낼 관계의 에너지를 발명해야 한다. 새로운 '삶의 발명'에 필요한 재료들 세계에 대한 앎이 바뀌어야 한다. 세상을 이전과는 다르게 알아야 한다. 알았던 것을 잊어버려야 한다. (중략) 생각할 수 없었던 것을 알게 되어야 가능성이 태어난다. - 56쪽 삶의 이야기를 뭔가 바꿔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면 새로운 이야기는 이미 시작된 셈이다. 무언가를 새로운 삶의 발명에 필요한 재료는 무엇일까. 저자는 앎, 사랑, 관계, 경이로움 등의 재료를 거론한다. 우선, 새로운 앎의 지도, 인식의 지도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지금까지 바보처럼 살고 있지는 않았는가에 대한 성찰이 새로운 삶의 발명의 출발점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각자를 지배하는 메인 서사의 환상에서 깨어나야(220쪽) 한다고 말한다. 타자가 정해준 행복이라는 길을 향해 달려가는 이야기들을 의심해봐야 한다고 말한다. 또 다른 이들이 보고도 보지 못한 것을 보고, 뭔가에 의미를 둘 줄 아는 창조성(11쪽)을 가지라는 것이다. 더 큰 세계를 위해 더 큰 사랑을 발명한 유가족들처럼 자신의 경험을 들을 만한 가치가 있는 말로 바꾸라(80쪽)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야생과 인간의 끊어진 '실'이 다시 연결되는 회복의 이야기(135쪽)에 동참하자는 것이다. 새로운 '삶의 발명'이 지향할 곳은? 앞으로는 자연을 빼놓고는 미래에 대해서 이야기하기가 불가능해질 것이다. 그리고 모든 것을 자원으로 보는 이야기 속에는 어떤 탈출도 행방도 없다. -213쪽 따개비로 뒤덮인 거대한 고래, 자유를 찾아 날아오른 순천의 흑두루미, 죽은 돌고래를 지키는 시월이, 제주도에서 기적적으로 만난 2번 돌고래 춘삼이, 죽은 배우자 13번을 홀로 기리고 돌아오는 14번 늑대, 꼬리 깃털을 펼치며 펑 하는 소리를 내는 안나 벌새 등을 통해 저자는 우리가 잃어버린 생물학적 생태계를 복원하고자 애쓴다. 르 귄의 말(74쪽)처럼 우리는 세상을 우리 인간들과 우리의 소유물로 축소시킨 그런 세상에 맞게 태어나지 않았다. 인간은 자연의 일부로 태어나 자연환경에 적응하며 진화해왔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OhmyNews_Korea /  🏆 16. in KR

환경 자연 문학 산문집 정혜윤 환경 자연 생태계 삶의 발명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중고 테니스 라켓으로 시작한 인생 변화중고 테니스 라켓으로 시작한 인생 변화새로운 시작을 결심한 사람이 테니스 레슨을 통해 단순한 운동에서 삶의 교훈을 얻는 이야기입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별의별이주00: 지역 살아보기, 삶의 경로 탐색별의별이주00: 지역 살아보기, 삶의 경로 탐색인구 감소와 지역 소멸 논란 속에 '살아보기' 프로그램들이 급증하는데, 별의별이주00은 도시 청년들이 지역에서 일과 일상을 경험하며 새로운 삶의 경로를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아름다움이 가득한 삶, 조승리 작가의 '과연 이런 담력은 어디서 나오는 걸까?'아름다움이 가득한 삶, 조승리 작가의 '과연 이런 담력은 어디서 나오는 걸까?'시각장애인 조승리 작가의 자전적 에세이 '과연 이런 담력은 어디서 나오는 걸까?' 는 삶의 고단함과 힘겨움 속에서도 찾아낸 삶의 긍정적인 의미와 아름다움을 담고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옛날 보리밭의 추억, 삶의 애환과 위로를 선물하다옛날 보리밭의 추억, 삶의 애환과 위로를 선물하다본 기사는 보리밭에서 겪었던 추억을 통해 삶의 애환과 위로를 담은 농촌의 아름다움을 묘사합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흔들리는 현실 속에서도 일상은 계속된다흔들리는 현실 속에서도 일상은 계속된다인천공항에서 떠나는 친구를 배웅하며 무안공항 사고 소식을 접하고, 삶의 균형과 일상의 소중함에 대한 생각을 되새겼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불로장생의 꿈: 바이오혁명불로장생의 꿈: 바이오혁명당뇨, 암, 치매 예방을 위한 삶의 방식 변화를 제시하는 기사 입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23 02:35: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