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둥지 수만개가 사라졌다…남극 새들이 번식을 멈춘 이유 | 중앙일보

대한민국 뉴스 뉴스

새 둥지 수만개가 사라졌다…남극 새들이 번식을 멈춘 이유 | 중앙일보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joongangilbo
  • ⏱ Reading Time:
  • 29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5%
  • Publisher: 53%

남극도둑갈매기 둥지는 아예 발견되지 않았습니다.\r남극 새 번식

노르웨이 극지연구소 세바스티앙 데캉스 교수의 연구팀은 국제학술지 커런트바이올로지에 지난 2021년 12월부터 2022년 1월까지 스바르타마렌과 유툴세센 지역을 조사한 결과 남극 바닷새들의 번식이 거의 사라졌다는 내용의 연구 결과를 지난 13일 발표했다.연구팀에 따르면 1985년부터 2020년까지 매년 스바르타마렌에는 남극풀마갈매기의 경우 최대 20만 개의 둥지가 발견됐다. 흰풀마갈매기의 둥지는 약 2000개, 남극도둑갈매기의 둥지는 100개 이상이 각각 관찰됐다.

하지만 2021년 12월부터 두 달간의 조사 결과 번식에 성공한 남극풀마갈매기와 흰풀마갈매기는 각각 3쌍, 1쌍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남극도둑갈매기 둥지는 아예 발견되지 않았다.연구팀은 바닷새들의 둥지가 사라진 이유로 이상 기후로 인해 강설량과 적설량이 예년보다 크게 증가하고 폭풍이 불어오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그런데 이런 곳도 눈이 많이 쌓이면 제대로 새끼를 기르기 어렵다. 폭풍이 몰아치면 새들이 먹이 찾기가 어려울 뿐 아니라 체온 조절이 어려워 알이 부화할 때까지 둥지를 따뜻하게 유지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연구팀은 “바닷새 서식지에 눈보라가 몰아칠 때 번식 성공률이 낮아질 거라고 예상했지만, 번식에 성공한 개체가 이렇게 적을 것이라고는 상상하지 못했다”며 “기후변화가 남극 바닷새 번식에 미치는 악영향을 고려할 때 우리의 예측은 걱정스러울 정도”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기후변화의 영향을 받는 곳은 이 지역뿐만 아니라 수백 킬로미터에 걸쳐 있는 인근 지역도 마찬가지”라며 “중요한 남극 바닷새 개체군은 이미 감소하고 있으며 기후변화로 인해 멸종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joongangilbo /  🏆 11.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여배우 따라 '태국 교복 입기' 유행한 중국…태국서 '벌금' 경고한 이유 | 중앙일보여배우 따라 '태국 교복 입기' 유행한 중국…태국서 '벌금' 경고한 이유 | 중앙일보중국의 가수 겸 배우 쥐징이가 태국을 여행하며 교복을 입은 사진을 올리자...\r태국 교복 중국 유행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40년 만에 바뀌는 우주복…2025년 달 남극 누빈다40년 만에 바뀌는 우주복…2025년 달 남극 누빈다2025년 아르테미스 3호를 타고 달 남극에 착륙하는 우주비행사들이 입을 우주복 시제품이 공개됐습니다. 1960~1970년대 아폴로 우주복에 견줘 더 가볍고, 더 유연한 소재여서 활동 편의성을 높였다네요. 🔽 1만8천개 부품으로 이뤄진 ‘작은 우주선’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사라졌다 돌아온 우라늄 2.5t…'핵폭탄 제조 충분한 양'사라졌다 돌아온 우라늄 2.5t…'핵폭탄 제조 충분한 양'2011년 '아랍의 봄' 이후 내전과 뒤이은 혼란으로 무정부 상태에 빠진 리비아에서 2.5톤에 달하는 우라늄 정광이 사라졌다 하루 만에 회수됐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4 20:06: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