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혼선배들의 이야기, 에이징 솔로가 온다

대한민국 뉴스 뉴스

비혼선배들의 이야기, 에이징 솔로가 온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OhmyNews_Korea
  • ⏱ Reading Time:
  • 57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6%
  • Publisher: 51%

비혼선배들의 이야기, 에이징 솔로가 온다 에이징 나이듦 김희경 솔로 김은미 기자

의 저자 김희경이 6년 만에 내놓은 신간이다. 소위 정상가족이라고 불리는 부부와 자녀로 구성된 가구는 29.3%이고 혼자 사는 1인 가구는 33.4%로, 혼자를 선택한 사람들이 늘고 있는 추세이다.

홀로 또는 함께의 문제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자신의 삶을 이해하는 방식이 얼마나 다양한가를 살펴볼 필요가 있으며, 타인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다 보면 그것이 가능할 것이라는 의견이다. 그런 관점에서 결혼하지 않은 중년의 여성을 대하는 한국 사회의 태도에 대해 짚어볼 필요가 있겠다.질문과 의문이 쏟아진다. 전통적인 가족의 모습에서 이탈했다고 해서 결핍의 인생이라고 바라보는 시각이 과연 바람직한 것인가? 소신 있게 자기주도적으로 살고 있는 에이징 솔로 여성이 많음에도 그들을 바라보는 시선은 왜 여전히 삐딱한 것인가? 외로움에 대한 정의와 느끼는 정도는 처한 상황에 따라 다르고, 혼자인 것을 '외로움'이 아닌 '즐거움'으로 받아들일 수도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필요하지 않을까 싶다. 연결되어 있으면서 혼자인 것을 충분히 즐길 수 있다.가장 외로운 사람은 '마음이 통하지 않는 가족과 함께 사는 고령자'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물론 혼자 아플 때 도와줄 사람이 없는 것에 대한 두려움은 존재한다. 돌봄 품앗이의 선순환, 돌봄의 사회적 관계망이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전제로 에이징 솔로의 외로움에 대해 재고해 볼 여지가 있디고 하겠다.

"좋은 대화를 할 수 있는 사람, 대화를 나누고 나면 나의 의식이 고양되었다고 느낄 만한 사람"과 영혼의 교감을 나누며 살아간다면 가족의 빈자리는 충분히 채워질 수 있다고 믿는다. 다양한 형태로 연결된 사람들과 일상을 공유하면서 사는 삶이, 혼자 사는 사람의 생활에 어느 정도 안정감을 부여할 수도 있다. 무조건 피할 수도, 그렇다고 당연하게 받아들일 수도 없는 복잡한 관계의 영역이다. 부모 돌봄을 딸이든 아들이든 비혼이든 기혼이든 누가 되었든 그 책임을 한 사람이 혼자 짊어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인식이 필요한 이유이다. 그러나 제도적으로 나를 대리해 줄 사람, 나의 신상과 관련해 의사결정을 내려줄 수 있는 사람은 여전히 가족에 한정되어 있다. 비혼 인구가 늘어나면서 생활동반자법의 제정이 절실히 필요하지만, 제도화는 아직 요원한 상태이다. 비혼에 대한 차별, 삶의 거의 모든 영역에 걸쳐 있는 구조적 싱글리즘을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를 고민해 볼 필요가 있겠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OhmyNews_Korea /  🏆 16.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집밥 떠오르던 '라이스보이 슬립스', 그리움의 맛집밥 떠오르던 '라이스보이 슬립스', 그리움의 맛집밥 떠오르던 '라이스보이 슬립스', 그리움의 맛 라이스보이_슬립스 장혜령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송영길, 돈봉투엔 '전혀 몰랐다'…검찰 수사엔 '할 이야기 많아' | 중앙일보송영길, 돈봉투엔 '전혀 몰랐다'…검찰 수사엔 '할 이야기 많아' | 중앙일보그는 '책임'이란 단어를 20회 썼지만, 모두 '정치적' 책임을 의미했습니다.\r송영길 탈당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전세 사기 ‘폭탄’ 5월에 더 큰 거 온다 [금요시사회]전세 사기 ‘폭탄’ 5월에 더 큰 거 온다 [금요시사회]“엄마, 2만 원만 보내주세요.” 아들의 마지막 말은 유언이 되었습니다. 고등학교 졸업 후 인천 남동공단 일대에서 일하며 마련한 보증금으로 구한 빌라가 생의 발목을 잡았습니다. 전세 9000만 원짜리 빌라에 걸린 근저당은 그 두 배인 1억8000만 원이 넘었습니다. 집은 임의경매에 넘어갔고, 주택임대차보호법에 따라 최우선변제금을 받는다고 해도 피해자가 손에 쥘 수 있는 돈은 3400만 원에 불과했습니다. 4월14일 숨진 스물여섯 살 청년의 지갑에는 현금 2000원이 전부였습니다.사흘 뒤인 4월17일 또 다른 청년 한 명이 숨진 채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태원 참사 희생자 36명의 이야기… 기자들이 쓴 ‘언론의 의미’이태원 참사 희생자 36명의 이야기… 기자들이 쓴 ‘언론의 의미’“진정한 추모는 우리 사회가 잃어버린 한 사람의 생애가 얼마나 소중했는지, 그것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상실되었고 남은 자들의 삶은 어떠한지를 구체적으로 알게 될 때 시작된다. 유가족들의 이야기를 들으며 우리는 제3자가 아닌 피해자의 시선으로 재난을 다시 느끼게 된다.”(유해정 작가)“어떤 이의 죽음을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그 사람이 어떤 삶을 살았고 그것이 어떻게 상실되었으며 그 마지막이 어떠했는지 알아야 한다.”(정원옥 문화과학 편집위원장)이태원 참사 유족 인터뷰를 기획했던 신다은 한겨레21 기자가 인터뷰 과정에서 들었던 조언들이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일본산 수산물이 온다, 일본발 오염수가 온다일본산 수산물이 온다, 일본발 오염수가 온다‘바다의 파인애플’이라 불리는 수산물이 있다. 일본어로는 호야(ホヤ), 일본 내 최대 생산지는 미야기현이다. 연간 1만2000t을 생산한다. 이 중 7000t이 한국으로 수출되었다. 2013년 9월 한국 정부가 일본 8개 현 수산물 수입금지 조치를 내리기 전까지의 일이다. 미야기현 연안에서 잡히는 호야 7000t은 이제 모두 폐기 처분되고 있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를 일으킨 도쿄전력이 ㎏당 단가를 정해 호야 생산자에게 보상을 진행한다.호야는 한국어로 멍게다. 윤석열 대통령이 일본 정계 지도자들과 만나는 자리에서 논의 테이블 위에 올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7 02:06: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