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언론노동조합이 윤석열 정부의 노동탄압을 호도하는 족벌 보수언론·경제지들의 반저널리즘 행위를 근절하고 YTN 민영화, 공영방송 수신료 분리 징수 추진 및 양대 공영방송 표적 감사, TBS 지원조례 폐지 등 언론 장악 시도에 효과적으로 맞서기 위한 비상대책위원회 전환을 결의했다. 윤창현 언론노조위원장은 28일 출범 기자간담회를 열고 “3월24일 중앙집행위원회에서 비대위 전환을 만장일치로 결의했다”며 가장 시급한 당면 과제로 “공영방송 장악 저지”를 꼽았다. 윤 위원장은 “십수 년째 되풀이되는 악순환을 끊어내고자 문재인정부 시절 방송
전국언론노동조합이 윤석열 정부의 노동탄압을 호도하는 족벌 보수언론·경제지들의 반저널리즘 행위를 근절하고 YTN 민영화, 공영방송 수신료 분리 징수 추진 및 양대 공영방송 표적 감사, TBS 지원조례 폐지 등 언론 장악 시도에 효과적으로 맞서기 위한 비상대책위원회 전환을 결의했다.
윤 위원장은 “국민의힘은 ‘아직도 못 먹고 있다’는 천박한 발언에서 드러나듯 공영방송을 전리품으로 생각하고 있다”며 KBS·MBC·YTN 등을 둘러싼 일련의 상황을 언급한 뒤 “언론자유를 향한 심각한 위협에 강력히 저지하고 맞설 수밖에 없다”고 했다. 윤 위원장은 그러면서 “자기 입맛에 맞는 권력에는 굴종을 강요하다, 입맛에 맞지 않는 권력에 맞서 언론자유를 외치는 식은 안 된다”며 “방송장악 이슈를 원칙에 따라 다루겠다”고 밝힌 뒤 “언론노조의 근간을 흔드는 치졸한 공작에 대해서도 강력 대응하겠다”고 예고했다. 정부여당의 수신료 분리징수 시도에 대해선 “치졸하다. 숙의가 필요한 사안에 대한 포퓰리즘적 접근”이라고 했다. 김동원 정책협력실장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도하는 통신사 중심의 규제 완화 특혜가 겉으로 드러나지 않고 있다”며 “ 자본영역에선 친자본적 방치, 공적영역에선 돌이킬 수 없는 패착을 저지르고 있다”고 우려했다.
전대식 수석부위원장은 “미디어바우처 논의를 보편적 접근권 차원에서 새로 시작하겠다”면서 “계도지나 홍보지 예산을 바우처 예산으로 전환하는 논의부터 구글의 다양성기금 차원으로 포털에 대한 공적 책무 측면에서 재원을 요구하는 방안 등을 고민할 것”이라고 했다. 김수진 성평등 위원장은 “얼마 전 완성된 젠더보도 가이드라인이 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히면서 “언론사 내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질적·양적 조사를 진행해 성평등 단협안을 마련하겠다”고 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김유열 EBS 사장 “수신료는 공영방송 유지하는데 필요한 재원”‘공영방송 중 공영방송’ 김유열 EBS 사장이 지난해 취임사에서 강조한 말이다. EBS에겐 늘 엄격한 공영성과 공익성이 요구되며 기준에 조금만 벗어나도 혹독한 평가가 내려진다. EBS 구성원들은 복잡한 마음을 토로한다. ‘공영방송 중 공영방송’이란 이미지와 달리 실제로는 재원의 70%를 자체 수익으로 ‘장사해야 하는’ 방송사이기 때문이다. 여권이 주도하는 ‘수신료 분리징수’가 현실화되면 ‘공영방송 중 공영방송’에서 EBS는 한 발짝 더 멀어질 수밖에 없다.일산 사옥 이전 후 EBS는 만성 적자에 시달렸다. 지난해 256억 원 규모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공영방송 장악시도' 한상혁 방통위원장 지키기 팔 걷은 언론단체'공영방송 장악시도' 한상혁 방통위원장 지키기 팔 걷은 언론단체 한상혁 방송통신위원회 구속영장_기각 이민선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방송장악 프레임을 깨기 위해선‘전국언론노동조합(이하 언론노조)은 민주당과 가깝다’ 혹은 ‘방송단체의 경우 민주당과 가까운 민주노총 언론노조가 장악한 경우가 많다’라는 문장이 있다. 최초 이런 문장을 구사하는 발화자에게 중요한 것은 사실관계가 아니다. 노동조합과 특정 정당이 무슨 긴밀한 관계가 있는 것처럼 냄새를 풍기는 것 자체가 목적이다. 고전적 의미의 저널리즘 관점에서 팩트는 살아남고 사실관계를 뒤틀어 만든 해석과 주장은 자연스럽게 도태되지만 프레임으로 굳어지면 그걸 깨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일이다. 프레임 개념을 만든 조지 레이코프 미국 버클리대 교수가 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김유열 EBS 사장 “수신료는 공영방송 유지하는데 필요한 재원”‘공영방송 중 공영방송’ 김유열 EBS 사장이 지난해 취임사에서 강조한 말이다. EBS에겐 늘 엄격한 공영성과 공익성이 요구되며 기준에 조금만 벗어나도 혹독한 평가가 내려진다. EBS 구성원들은 복잡한 마음을 토로한다. ‘공영방송 중 공영방송’이란 이미지와 달리 실제로는 재원의 70%를 자체 수익으로 ‘장사해야 하는’ 방송사이기 때문이다. 여권이 주도하는 ‘수신료 분리징수’가 현실화되면 ‘공영방송 중 공영방송’에서 EBS는 한 발짝 더 멀어질 수밖에 없다.일산 사옥 이전 후 EBS는 만성 적자에 시달렸다. 지난해 256억 원 규모의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