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무인기 대비태세 '두루미' 90분 늑장 발령... 합참 '이유 확인 중' 북한_무인기 1군단 공작사 두루미 김도균 기자
이성준 합참 공보실장은 이날 오전 정례브리핑에서"비행금지구역 공역을 지나간 일은 긴급한 사안이라서 저희가 따로 말씀을 드린 것이다. 사안은 확인해 보겠다"고 말했다.이 실장은"일반적으로 제한된 지역에 항공기나 무인기가 접근할 때는 경고방송, 경고사격, 격추 등의 절차로 진행이 된다. 하지만 무인기는 수도권에서 경고방송이나 경고사격이 필요 없이 바로 격추할 수 있는 항공기"라며"절차가 어디까지 어떻게 진행됐는지는 추가로 확인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합참은 전날 북한 무인기가 남하했을 당시 ▲육군 수도방위사령부에 즉각 상황 전파를 하지 않은 점 ▲'두루미' 발령이 처음 무인기를 포착한 1군단의 식별 보고 뒤 90여 분이 지나서야 이뤄졌다는 점 등을 전비태세검열을 통해 확인했다고 밝힌 바 있다. 또 합참은"1군단과 수방사 간 상황을 공유하고 협조하는 게 부족한 부분이 있었다"면서"'두루미'를 바로 발령하지 않은 것도 사실"이라며 무인기 대응 작전당시 미흡한 부분이 있었음을 시인했다.무인기 침범 당일 공작사가 두루미를 발령한 것은 북한 무인기가 서울 용산 대통령실3.7km반경에 설정된 P-73 비행금지구역 북쪽을 침범한 이후인 낮 12시 전후였다.
육군 1군단의 국지방공레이더가 경기 김포 일대의 군사분계선을 넘는 북한 무인기 추정 항적을 최초로 포착한 때는 오전 10시 29분이었고, 육군은 6분 뒤인 10시 25분 이를 무인기로 식별했지만 즉각 두루미 발령을 하지 않은 것이다.전하규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자위권 차원의 대응은 유엔헌장에서 보장한 합법적 권리로서 정전협정도 이를 제한할 수 없는 것으로 안다"며 이같이 밝혔다. 전 대변인은"작년 말에 북한이 무인기로 군사분계선을 침범한 건 정전협정과 남북기본합의서, 9·19군사합의를 명백히 위반한 도발 행위"라며"북한의 명백한 군사적 도발에 우리가 비례적 대응을 한 건 자위권 차원의 상응 조치"라고 설명했다.국방부는 전날에도 문자 공지를 통해"우리 군 무인기의 북측 지역 비행은 북한이 무인기로 MDL을 침범하고 서울 북부 지역까지 침입함으로써 명백히 정전협정을 위반한 것에 대한 자위권 차원의 상응조치를 취한 것"이라며"정전협정은 명백한 적대행위에 대한 대응에 있어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지휘관의 고유 권한과 의무인 자위권을 제한하지 않는다"고 밝힌 바 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수방사 '깜깜이' · 두루미 '늑장 발령' 미스터리…대책은 '소프트웨어'에 [취재파일]북한 무인기 영공 침범 사건의 우리 군 최대 실책으로 수도방위사령부 정보 고립과 적 무인기 대비태세인 '두루미'의 늑장 발령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합참, 무인기 수방사 안 알리고 두루미 발령 늦어…책임론 일듯합동성이 부족한 우리 군에서 각 군종간 정보공유가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가 지적돼 왔었는데, 이번에는 아예 같은 육군 사이에서도 정보공유가 제대로 되지 않았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합참, 北 무인기 탐지 1시간 반 지나 '대비태세' 발령‥수방사엔 전파도 안해북한 무인기가 서울 영공을 침범했을 당시 대비태세 발령까지 1시간 반 이상 걸렸다는 지적이 사후 점검에서 드러났습니다. 군은 지난달 26일 오전 10시 19분부터 북한 무인기가 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북 무인기 침투 1시간 30분 지나서야 '대비태세 발령'북 무인기 침투 1시간 30분 지나서야 '대비태세 발령' 매주 금요일엔 JTBC의 문이 열립니다. 📌 '오픈 뉴스룸' 방청 신청하기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단독] 북한 무인기 '판정'에만 30분 날렸다무인기 침범을 즉시 전달받지 못한 것은 서울을 지키는 수도방위사령부도 마찬가지였습니다. 당시 수방사는 대통령실이 포함된 비행금지구역을 침범한 정체불명의 항적을 포착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상 항적 잡고도…북한 무인기 '판정'에만 30분 허비무인기 침범을 즉시 전파하라는 작전 지침이 지켜지지 않아서 정작 대통령실과 서울 방어를 책임지는 수도방위사령부는 깜깜이었습니다. 수방사는 아무 정보가 없는 상황이라 대통령실이 포함된 비행금지구역을 침범한 정체불명의 항적을 포착했지만 이를 북한 무인기로 판정하는 데 30분 이상이 걸린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