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판의 열기가 고조될수록 '2019년 5월12일 중국 단둥에서 생긴 일'이 재조명되고 있습니다. \r검찰 이화영 쌍방울그룹
매주 화요일과 금요일 수원지방법원에선 검찰과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 사이에 사활을 건 승부가 이어지고 있다. 쌍방울그룹의 대북사업 편의 제공을 그 대가로 보는 뇌물 혐의 재판에서 이 전 부지사는 선방해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물론 진영 구석구석을 겨누는 검찰의 칼 끝을 저지할 수 있고, 검찰은 이 전 부지사의 방어선을 허물어야 이 대표를 향한 수사의 명분을 강화할 수 있다. 이 전 부지사 측의 유일한 전략은 “쌍방울과 경기도의 대북사업은 무관하다”는 전면 모르쇠다.
다음 날 김 전 회장은 김영철 조선아태위 위원장의 친서를 받았다. 그리고 임직원들을 한 공간에 모은 뒤 이를 공개했다. “위기를 잘 돌파해줘 고맙다. 좋은 결과를 만들어서 꼭 한번 봤으면 좋겠다”는 내용이었다고 한다. 친서 공개 자리에 이 전 부지사도 초대했다. 합의서 체결 후 연회도 이어졌다. 김 전 회장은 박명철·송명철에게 “경기도도 함께 참여해서 함께 갈 것”이라며 건배를 제의했다고 한다. 김 전 회장의 최측근이자 쌍방울그룹 핵심 임원 박모씨는 이날 합의에 대해 “당장 북한에 가서 사업을 하겠다는 의미는 아니고, 사업 약정 기간이 50년이기 때문에 회장님이 스마트팜 대납 비용으로 500만달러를 대신 지급한 뒤에 보험 들듯 합의서를 받아둔 것”이라고 말했다.쌍방울-북한 MOU 맺을 때 경기도 기업 북한 진출 논의 이 전 부지사의 중국 출장 일정은 5월10일~13일 3박4일이었다. 첫날 오후 늦게 단둥에 도착해 김 전 회장과 저녁식사를 했고 다음날부터 안부수 아태평화교류협회 회장, 송명철 부실장, 이홍룡 민경련 과장과 세 차례 회의했다. 오전엔 안 회장과 사전회의를, 오후엔 송 부실장·이 과장과 북측과의 교류협력사업을 논의하는 식이었다.
보고서에는 도내 중소기업의 북한 진출 협조를 요청한다는 내용도 있다. 북측에서 원하는 품목을 제시하면 적절한 기업을 선정해 진출을 돕는단 내용이다. 북측이 경기도의 남포항 및 산업단지 개발에 찬성했다고도 적혀 있다.경기도와 북측의 단둥 회의에선 두 달 뒤 필리핀에서 열리는 제2차 아태평화국제대회에 대한 기본계획도 수립됐다. 1차 대회 초청 기관이 아니었던 민경련을 포함, 북측 인사 7명을 초청하기로 했다. 경색된 남북 관계를 지방정부 차원의 민간 경제교류협력을 통해 풀어보자는 명분으로 기획된 행사였다. 이 때 세운 계획대로 2차 대회엔 김 전 회장의 5·12 합의 상대였던 박명철 북한 민경련 부회장이 참석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12년 정신병원 갇힌 여자, 갑자기 초능력 생긴 뒤 벌어진 일12년 정신병원 갇힌 여자, 갑자기 초능력 생긴 뒤 벌어진 일 모나리자와_블러드_문 에드_스크레인 케이트_허드슨 애나_릴리_아미푸르_감독 전종서 김상목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검수완박' 통과 과정은 위법, 개정법 효력은 유지'1년 전 문재인 정부 마지막 즈음에 당시 여당이던 더불어민주당은 검찰의 수사권을 축소하는, 이른바 '검수완박' 법안을 통과시켰습니다. 국민의힘과 검찰은 법을 통과시킨 ...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중앙일보 논설위원 “이인규같은 검사 나오지 않아야” 비판한 이유중앙일보 논설위원이 이인규 전 대검 중수부장(검사장)의 회고록에 고 노무현 전 대통령과 박연차 전 태광실업 회장의 대화 내용을 공개한 점을 들어 직무상 얻은 정보를 유포했다며 대한민국에 더는 이런 검사가 나오지 않아야 한다고 비판했다.이상언 중앙일보 논설위원은 22일자 중앙일보 오피니언면에 실린 에서 이 전 검사장의 회고록 ‘나는 대한민국 검사였다-누가 노무현을 죽였나’ 내용을 소개하면서 이같이 평가했다. 이 위원은 2009년 노무현 전 대통령 수사에 대한 이 전 검사장의 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재명 '정치적 활용하다 이제 기소, 법정에서 진실 드러날 것'이재명 '정치적 활용하다 이제 기소, 법정에서 진실 드러날 것'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쌍방울_사건 검찰 대장동_의혹 이경태 기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이낙연 “한·일 정상회담, 양측 잘못된 자세가 합작한 참사”이 전 대표는 “한국 측은 역사에 대한 얕은 지식과 치우친 인식, 국정에 대한 둔감과 속단으로 일을 그르쳤다”며 “일본 측은 진실을 호도하는 자기중심적 역사 인식, 한국에 대한 감춰진 오만을 쓰나미처럼 쏟아냈다”고 짚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