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전문가 윤원섭 교수 “100% 충전 위험하단 건 오해”

대한민국 뉴스 뉴스

배터리 전문가 윤원섭 교수 “100% 충전 위험하단 건 오해”
대한민국 최근 뉴스,대한민국 헤드 라인
  • 📰 maekyungsns
  • ⏱ Reading Time:
  • 47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2%
  • Publisher: 51%

인천 화재 원인 과충전 아냐 제조사 이미 안전마진 확보 배터리셀 결함·BMS 오류가 원인

“충전 깊이 때문에 사고가 나는 게 아니라, 배터리 셀 내부 고장이나 제어시스템 결함 때문에 화재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국내 대표 배터리 전문가인 윤원섭 성균관대 에너지과학과 교수가 과충전과 배터리 발화 사고 간 연관성이 적다고 주장했다. 최근 인천 청라 전기차 화재와 관련해 과충전과 발화 간 연관성을 우려하는 시각을 바로 잡을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윤원섭 교수는 16일 국내 언론들과의 인터뷰에서 “과충전은 전기차 화재의 결정적 원인은 아니다”며 “벤츠 전기차 화재 원인은 배터리 셀 내부 결함이 가장 합리적인 이유로 추정된다”라고 말했다.윤 교수는 “배터리를 100% 충전하면 위험하다는 것은 일반인이 주로 오해하는 부분”이라며 “100% 충전이라는 것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충전 깊이와 화재가 당연히 관련이 있지만, 지배적인 원인이 아니다”고 말했다.

니켈·코발트·망간 배터리 양극 100% 용량은 1그램당 275mAh인데, 실제로 사용하는 것은 200~210mAh 정도다. 이미 제조사에서 과충전이 이뤄지지 않도록 안전 마진을 확보하고 있는 셈이다.청라 사고와 관련해선 배터리셀 결함 가능성에 힘을 실었다. 윤 교수는 “제조사가 수억 개 셀을 만들면 그중 몇 개의 셀은 결함이 있을수 밖에 없고, 이 결함들이 누적될 수 있다”면서 “화재가 발생할 정도면 이전에 어떤 신호가 있었을 것 같은데 이를 잘 관리했다면 초동 조치를 할 수 있었는데 아쉽다“고 했다.윤 교수는 “소비자도 선택할 권리가 있다”며 “A라는 자동차 회사가 3~4개의 셀 메이커 제품을 탑재한다면 소비자가 그중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사고 예방을 위해 BMS 중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배터리 이상은 차량 충돌이 아닌 이상 분명히 사전 신호를 동반한다”며 “이 신호들은 기술적으로 쉽게 모니터링 할수 있는 부분이어서 자동차 회사가 배터리 온도, 전압 변화 등을 실시간 감시할 수 있는 시스템을 잘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maekyungsns /  🏆 15. in KR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최근 5년간 리튬 배터리 화재 612건···절반 이상 과충전 상태에서 발생최근 5년간 리튬 배터리 화재 612건···절반 이상 과충전 상태에서 발생전동킥보드와 전기자전거 보급이 확대되면서 사고 발생건수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소방청 국가화재정보시스템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리튬이온 배터리에 의한 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마켓관찰] 무능함을 알아보는 것도 능력이다[마켓관찰] 무능함을 알아보는 것도 능력이다다양한 전문가 넘쳐나는 세상가짜 전문가 신뢰할 위험 커져스스로 공부해 판별력 키워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충전율 90% 넘는 전기차 충전 막아야”…충남도, 공동주택 충전 제한 추진“충전율 90% 넘는 전기차 충전 막아야”…충남도, 공동주택 충전 제한 추진최근 인천과 금산 지하주차장에서 전기차 화재가 잇따르자 충남도가 전기차의 배터리 잔량이 90%를 넘어서면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에서의 충전을 제한하는 대책을 내놨다. 도는 충전율...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탄핵 7건, 특검 9건, 국정조사 4건…그리고 민생법안 0건 [진중권 칼럼]탄핵 7건, 특검 9건, 국정조사 4건…그리고 민생법안 0건 [진중권 칼럼]민주당에서 일방처리한 것들로, 모두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로 폐기될 예정이다. 발의→거부권→폐기→재발의→거부권→폐기→재재발의→거부권→재재재발의→거부권→폐기. 두 달 만에 벌써 9건의 특검, 7건의 탄핵이 시도되고, 그에 맞춰 거부권 행사의 속도도 점점 빨라지고 있다. - 진중권 칼럼,거부권 행사,대통령실,특검 탄핵,민생법안,거부권,특검,정치 양극화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배터리 주도권 커진다…국내·수입 완성차 업계, 속속 배터리 제조사 공개배터리 주도권 커진다…국내·수입 완성차 업계, 속속 배터리 제조사 공개최근 잇단 전기차 화재로 소비자들 사이에 배터리 안전성이 최우선 관심사로 대두되면서 국내외 완성차 브랜드들이 배터리 정보 공개 대열에 속속 합류하고 있다. 독일 자동차 브랜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망신 당하기 싫으면 한국 제품으로”…콧대 높은 아우디도 자존심 굽혔다“망신 당하기 싫으면 한국 제품으로”…콧대 높은 아우디도 자존심 굽혔다14개 차종 모두 삼성, LG 배터리 볼보, 르노 전차종 LG엔솔서 공급 스텔란티스, PHEV 배터리 제조사도 밝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26 18:1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