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척자〉 뉴스레터는 친근한 말투와 여러 시각자료를 활용해 전국 최초로 ‘무장애 도시’를 선포한 진주시의 유등축제가 교통약자들의 이동권을 가로막는 ‘유장애 축제’라는 점을 지적했다. 📝김연희 기자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가 쏘아 올린 장애인 이동권 문제는 대학 언론인들 사이에서도 단연 화두였다. 제14회 〈시사IN〉 대학기자상 응모작 가운데 상당수가 배리어프리 이슈를 다루었다. 최종 수상작 6편 중 3편이 교통약자들의 이동권을 조명했다. 매체마다 접근법은 달랐다. 서울대 〈대학신문〉은 휠체어를 타고 시내를 이동하는 서울과 도쿄 대학생의 하루를 비교했다. 부산대 〈채널PNU〉는 제보에서 출발해 교내 배리어프리 지도를 제작했다. 경상국립대 〈개척자〉는 진주를 대표하는 ‘남강 유등축제’의 배리어프리 실태를 조사했다. 2022년 1월부터 11월까지 나온 보도물을 대상으로 한 제14회 〈시사IN〉 대학기자상에는 취재보도 90편, 뉴커런츠 14편, 방송·영상 11편, 사진·그래픽 13편, 특별상 5편으로 총 133편이 출품되었다. 〈시사IN〉 편집국 구성원들이 참여하는 1심, 팀장급 기자들이 평가하는 2심을 거쳐 14편이 최종 심사에 올랐다.
https://gnupioneer70.notion.site/1-24435fa981ed49bdad07bcb6c1c4dedc ■ 뉴커런츠상 심사평 극한 직업, 대학 언론인들의 고민과 노력 홍성철 학우들에게 외면당한 신문이 쌓여 있는 캠퍼스 풍경은 그리 낯설지 않다. 요즘 대학생들이 예능과 드라마 등에 비해 시사·보도에는 그리 관심을 갖지 않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누군가는 공동체 문제를 이야기하고, 누군가는 신문을 만들어야 한다. 그렇기에 2023년 대학 언론인은 ‘극한 직업’이다. 경상국립대학교 교지 〈개척자〉의 ‘남강 유등축제, 배리어프리를 향해’는 그런 대학 언론인들의 고민이 오롯이 담겨 있다. 지역에서 가장 큰 축제인 진주 남강 유등축제에서 장애인이 소외되는 현실을 뉴스레터 형식을 빌려서 보도하고 있다. 친근한 대화체의 기사 문장과 장애인들의 축제 접근을 막는 다양한 사진들, 하이퍼링크를 통한 시각자료 제시 등을 통해서 독자와의 간극을 좁히려는 노력이 돋보였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부산대 배리어 지도 제작하고, 휠체어로 직접 다녀보고 [대학기자상]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가 쏘아 올린 장애인 이동권 문제는 대학 언론인들 사이에서도 단연 화두였다. 제14회 〈시사IN〉 대학기자상 응모작 가운데 상당수가 배리어프리 이슈를 다루었다. 최종 수상작 6편 중 3편이 교통약자들의 이동권을 조명했다. 매체마다 접근법은 달랐다. 서울대 〈대학신문〉은 휠체어를 타고 시내를 이동하는 서울과 도쿄 대학생의 하루를 비교했다. 부산대 〈채널PNU〉는 제보에서 출발해 교내 배리어프리 지도를 제작했다. 경상국립대 〈개척자〉는 진주를 대표하는 ‘남강 유등축제’의 배리어프리 실태를 조사했다.2022년 1월부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경인 지역 대학생들은 왜 기숙사에 못 들어갈까 [대학기자상]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가 쏘아 올린 장애인 이동권 문제는 대학 언론인들 사이에서도 단연 화두였다. 제14회 〈시사IN〉 대학기자상 응모작 가운데 상당수가 배리어프리 이슈를 다루었다. 최종 수상작 6편 중 3편이 교통약자들의 이동권을 조명했다. 매체마다 접근법은 달랐다. 서울대 〈대학신문〉은 휠체어를 타고 시내를 이동하는 서울과 도쿄 대학생의 하루를 비교했다. 부산대 〈채널PNU〉는 제보에서 출발해 교내 배리어프리 지도를 제작했다. 경상국립대 〈개척자〉는 진주를 대표하는 ‘남강 유등축제’의 배리어프리 실태를 조사했다.2022년 1월부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스프] 그러니 게으른 인간이여, 운동 시작을 생각이라도 하자뉴스페퍼민트 NewsPeppermint '한국에는 없지만, 한국인에게 필요한 뉴스'를 엄선해 전하는 외신 큐레이션 매체 '뉴스페퍼민트'입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SBS 세계관 최강자 ‘천변’과 ‘김도기’가 함께 등장하는 인기 드라마 회차천변이 왜 거기서 나와 newsvop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국인 절반 '결혼 안 해도 된다'…셋 중 하나가 '나 홀로 가구' | 중앙일보3.6%는 '결혼을 하지 말아야 한다'고 대답했습니다.\r통계청 한국 한국인 결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프러포즈 비용도 뱉어내' 이혼보다 더한 '파혼 싸움' | 중앙일보신혼여행지에서 돌아오자마자 갈라섰다면 예물과 예단은 돌려받을 수 있는 건지, 함께 키우던 반려동물은 누가 데려갈 수 있는지…. 법원 판단을 들여다봤습니다.\r약혼 파혼 결혼 법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