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반도체 특별법 주 52시간 예외 적용과 관련하여 '근로시간을 늘린다고 경쟁에서 이기는 건 아니지만, 너무 융통성 없는 근로기준을 맞추는 것이 산업계의 애로사항'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전종덕 진보당 의원은 '고소득자는 목숨이 두 개냐'며 노동자 보호를 강조했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반도체 특별법 주 52시간 예외 적용 과 관련해 “근로시간을 좀 늘린다고 우리가 이기는 건 아니지만, 너무 융통성 없는 근로기준을 맞추는 것이 산업계의 굉장한 애로사항”이라고 말했다.
안 장관은 “생산근로자에 대한 적용이 아니고, R&D에 관련 돼 있는 고보수 전문직 연구인력”이라며 “당사자가 합의를 하는 조건 하에서, 여러 안전장치를 마련해 하려고 하는 만큼 국회에서 좀 더 전향적으로 검토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대해 전종덕 의원은 “고소득자는 목숨이 두 개냐”라고 반박했다. 또 반도체 산업 주 52시간 예외 적용을 노동자와 회사간 합의를 조건으로 하겠다는 데 대해서는 “직장 생활 안 해보셨냐”며 “벼랑 끝에 노동자를 세워놓고 도장 안 찍어주면 밀어뜨리겠다고 하는데 어떤 노동자가 도장을 안 찍겠냐. 이런 방식 자체가 잘못된 것”이라고 꼬집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AI 반도체 경쟁에 불붙은 ‘주 52시간 예외 특별법’ 논란 [뉴스 쉽게보기]요즘 경제든 정치·사회 분야든 참 분위기가 뒤숭숭해요. 미국에선 자국 이익을 더 챙기겠다며 세계 질서를 뒤집는데, 우리나라에선 대통령이 탄핵 심판을 받는 중이니 그럴 수밖에 없겠죠. 이런 와중에 인공지능(AI) 같은 기술들의 발전은 너무나 빨라서 뒤처지지 않으려면 각국 정부와 기업이 긴장해야 하는 상황이고요. 최근 이런 상황이 종합적으로 반영된 논란 하나가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외국인 투자자도 등 돌린, 삼성 반도체 몰락 이유[반도체 특별 과외] 주 52시간 근무제 예외 조항 요구, 과연 맞는 해법일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반도체 특별법, 주 52시간 제외 논란: 노동자 보호와 경쟁력 강화 사이에서반도체 기업들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주 52시간 근무 시간 제한을 특례하도록 하는 반도체 특별법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노동자들은 근무 시간 증가로 인한 건강 악화와 삶의 질 저하를 우려하며 법안에 반대하고 있습니다. 현장 노동자들은 노동 시간 증가보다는 인력 확충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며, 반도체 산업의 미래를 위한 현실적인 대안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반도체 특별법, 주 52시간 근무시간 제외 논란반도체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특별법안 발의 과정에서, 노동시간 규제 완화를 둘러싼 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 반도체 특별법은 연구개발 직종 노동자의 근무시간 제한을 제외하는 조항을 포함하며, 기업들은 기술 개발 속도를 높이기 위해 반대쪽에 섰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민주당, 딥시크 충격에 '5조원 추경' 요구…'반도체법' 주 52시간 예외 검토민주당은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의 급부상에 대응하여 AI 및 과학기술 R&D 사업에 5조원 이상의 추경을 요구하며, 반도체특별법 주 52시간 예외 적용 검토 등 혁신적인 정책을 강조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정부, 반도체법 ‘주 52시간 예외’ 대안 제시…민주당 환노위는 반대정부가 반도체 특별법에 주 52시간 예외 조항이 포함되지 않을 경우 현행 근로기준법상 특별연장근로 인가제도 활용도를 높이는 방안을 대안으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