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신호경 민선희 기자=반도체 등의 수출 호조에 힘입어 우리나라 경상수지가 석 달째 흑자 기조를 이어갔다.
한은 "설비투자·소비 회복에 하반기 수입 늘어 상품수지 흑자 축소 가능성"하지만 수입도 증가세로 돌아서면서 하반기 상품수지 흑자 규모는 다소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한국은행이 6일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통계에 따르면 지난 7월 경상수지는 91억3천만달러 흑자로 집계됐다.하지만 흑자 규모는 6년 9개월 내 최대였던 6월보다 34억달러 이상 줄었다. 다만 해마다 같은 7월만 비교할 경우 2015년 7월 이후 가장 큰 흑자라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7월 경상수지를 항목별로 보면, 상품수지가 작년 4월 이후 16개월 연속 흑자 기조를 유지했다. 흑자 폭은 6월보다 작았지만, 작년 7월보다는 컸다.품목 중에서는 반도체·정보통신기기·석유제품·기계류 및 정밀기기가 늘었고, 지역별로는 동남아·중국·일본·미국 등으로의 수출이 호조를 보였다. 반대로 승용차 등은 뒷걸음쳤다.
송재창 한은 금융통계부장은"에너지류 중심의 원자재, 반도체제조용장비 등 자본재, 가전제품 등 소비재 수입이 모두 늘어 전체 수입이 3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됐다"며"설비투자·소비 회복과 함께 앞으로도 수입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상품수지 흑자 규모는 하반기 축소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서비스수지 가운데 특히 여행수지가 12억6천만달러 적자였다. 내국인의 해외여행 증가로 적자 폭이 6월보다 확대됐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금융계정 순자산은 7월 중 110억3천만달러 늘었다.증권투자에서는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주식을 중심으로 101억1천만달러 불었고, 외국인의 국내 투자도 39억2천만달러 확대됐다.
송 부장은"내국인의 해외증권 투자 가운데 부채성증권 투자 증가액이 6월 3억3천만달러에 불과했는데 7월 46억7천만달러로 크게 늘었다"며"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가 강해진 것이 배경"이라고 덧붙였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속보] 반도체 등 수출호조에 7월 경상수지 91.3억달러 흑자지난 7월 경상수지가 91억3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하면서 역대 2번째 기록을 세웠다. 지난 5월 89억2000만달러에 이어 3개월 연속 흑자를 냈다. 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4년 7월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7월 경상수지는 91억3000만달러 흑자로 집계됐다. 월간 기준으로 역대 최대 흑자를 낸 6월(125억6000만달러)보다는 흑자 폭이 축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6월 경상수지 122억6천만달러 흑자…6년9개월 만에 최대(종합)(서울=연합뉴스) 한지훈 민선희 기자=반도체 수출 호조 등의 영향으로 우리나라 경상수지 흑자가 6년 9개월 만에 최대 규모로 확대됐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반도체 수출 호조로 경상수지 흑자 역대 세번째 규모반도체 수출 호조 등의 영향으로 경상수지 흑자가 역대 세번째를 기록했다. 늘어난 규모도 6년 9개월 만에 최대다. 한국은행은 지난 6월 경상수지가 122억6000만달러(약 1...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6월 경상수지 122억6000만달러 흑자…79개월 만에 최대반도체 등 수출 강세…역대 세 번째로 높은 규모 서비스수지 16억2000만달러·여행수지 9억달러 적자 “AI 투자 둔화, 주요국 피벗, 지정학적 리스크 고려해야”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국이 미국·중국·일본 다 제쳤다”…상반기 수출증가율 WTO 주요국 1위韓수출증가율 中의 2배 달해 반도체·전자기기·자동차 선전 8월 수출 11.4%↑역대 최대 무역수지 15개월 연속 흑자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車·반도체 부진' 7월 산업생산 석달째 마이너스…소비도 위축(종합)(세종=연합뉴스) 이준서 기자=산업생산이 3개월 연속 감소했다. 소매판매도 줄면서 부진한 내수 상황을 반영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