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4일부터 멕시코와 캐나다에 관세 25%를 부과하고 중국에는 10%포인트를 추가하면서 관련 기업들을 중심으로 한국 쪽에도 부정적 영향이 현실화하고 있다. 우선 자유무역협정인 미국·멕시코·캐나다협정(USMCA)을 활용해 멕시코에 생산시설을 만든 한국 업체 400여곳
우선 자유무역협정인 미국·멕시코·캐나다협정을 활용해 멕시코에 생산시설을 만든 한국 업체 400여곳이 직격탄을 맞게 됐다. 기아는 멕시코 몬테레이에서 준중형 승용차 케이4 등을 생산해, 지난해 27만대 중 14만대를 미국에 팔았다. 25% 관세 부과가 대당 수천달러의 가격 인상 요인이 될 것이라는 예상 속에 기아 영업이익이 1조원까지 줄어들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텔레비전·냉장고 등 가전제품을 만들며 멕시코를 미국 시장 공략 전진기지로 삼아온 삼성전자와 엘지전자도 불똥을 맞게 됐다.
조 바이든 행정부 때 북미 생산 전기차와 부품에 보조금을 주기로 한 정책에 따라 캐나다에 진출한 배터리 업체들도 트럼프발 역풍을 맞고 있다. 캐나다에는 엘지에너지솔루션과 미국 완성차 업체 스텔란티스의 배터리 합작 공장, 포스코퓨처엠과 제너럴모터스의 양극재 합작 공장 등이 있다.현지 진출 한국 기업들은 당장 생산시설을 옮기기보다는 공급선 조정 등으로 대응하며 미국 동향을 살피겠다는 입장이다. 현대차그룹은 멕시코 공장 물량을 다른 시장으로 돌려 판매하는 한편, 상반기에 가동에 들어갈 미국 조지아주 메타플랜트 아메리카의 연간 생산량을 기존 30만대에서 50만대까지 늘려 기아 차량도 생산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가전업계는 미국에 텔레비전 대량 생산시설이 없는 점 등을 고려해 미국 공급 물량을 여러 나라에 산재한 공장에서 유연하게 조정하는 ‘스윙 생산’ 체제를 강화하기로 했다.
1~3위 대미 수출국 멕시코·중국·캐나다 상품이 고율 관세를 맞으면 한국산이 대체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 하지만 한국무역협회는 최근 낸 보고서에서 미국이 멕시코·캐나다에 25% 관세를 매기고 중국에는 10%포인트를 추가하면 한국의 총수출은 2억2천만달러 줄어들 것이라고 추산했다. 대미 수출은 반사이익으로 19억6천만달러 증가하겠지만 3개국에 대한 중간재 등 수출이 줄어든다는 얘기다.한편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지난주에 방미해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등과 만난 결과를 설명하면서 한·미가 관세, 조선, 에너지 분야 협력을 상시적으로 논의하는 협의체를 구성했다고 밝혔다. 안 장관은 “미국은 백악관에 조선 관련 태스크포스가 구성돼 있고, 러트닉 장관이 협의체를 끌고 가겠다는 의지가 강하다”며 “우리도 조선 산업 협의체를 국방부·외교부·안보실 등 범부처적으로 구성하려 한다”고 말했다.
안 장관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은 “단거리 경기가 아니라 마라톤처럼 앞으로 계속 어떤 조처가 나올지 모르는 상황인 만큼 우리 입장을 전달할 협의 채널을 확보하는 게 중요한 급선무”라고 말했다.친구가 15명뿐이래요…서울 도심 초등학교도 ‘작은 입학식’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트럼프, 중국에 또 관세 조치 “3월 4일부터 10% 추가”“캐나다·멕시코 관세 25%도 3월 4일...4월 상호관세도 예정대로”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삼성·현대차 등 25개 대기업, 멕시코·캐나다에 200개 초과 현지 법인 설립미국-멕시코-캐나다 관세 갈등 속 삼성, 현대차를 중심으로 대기업 집단 25개가 멕시코와 캐나다에 현지 법인 200개 이상 설립하여 불확실성에 대비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예측 불가’ 트럼프 관세에 코스피 ‘찝찝한 반등’미국발 관세전쟁 공포에 휘청였던 국내 증시가 3일(현지시간) 멕시코·캐나다에 대한 미국의 관세 유예 결정에 안도하며 반등에 성공했다. 다만...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국 수출 14조 증발할 수도'…트럼프 관세 폭풍 시나리오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중국·캐나다·멕시코 등에 대한 관세와 함께 10%포인트의 보편관세까지 도입할 경우 한국의 수출액이 130억 달러(약 13조9500억 원) 넘게 줄어들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9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발표한 ‘트럼프 2기 행정부 관세조치에 따른 영향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향후 예상되는 미국의 관세 시나리오는 ①중국 10%포인트 추가 관세(시나리오1) ②시나리오1+캐나다·멕시코 25%포인트 추가 관세(시나리오2) ③시나리오2+보편관세 10%포인트 등 3가지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한국 기업, 최소한 10억 달러 이상'...美, 관세 예고에 투자 압박까지 [굿모닝경제]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을 총괄하는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이 한국 기업인들과 면담에서 대미 투자를 종용하면서 10억 달러라는 기준을 언급한 것...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보편관세 시행 시 한국 수출 132억 달러 감소 예상트럼프 행정부의 보편관세 시행 시나리오에 따른 한국 수출 영향을 분석한 한국무역협회 보고서에 따르면, 모든 국가에 대한 10% 보편관세 부과 시 한국 수출은 132억 달러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