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안공항 방위각 시설, 제주항공 여객기 충돌 주요 원인으로 의혹

공항사고 뉴스

무안공항 방위각 시설, 제주항공 여객기 충돌 주요 원인으로 의혹
무안공항제주항공여객기
  • 📰 yonhaptweet
  • ⏱ Reading Time:
  • 53 sec. here
  • 9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48%
  • Publisher: 51%

무안국제공항에 설치된 방위각 시설(로컬라이저)이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2m 높이의 콘크리트 둔덕이 활주로 진입을 돕는 역할을 하지만, 낮은 위치에 있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국토교통부와 공항측은 사고에 대한 영향 여부는 조사 결과에 따라 판단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제주항공 여객기 충돌로 파손된 무안공항 방위각 시설방위각 시설은 공항의 활주로 진입을 돕는 역할을 하는 일종의 안테나로, 흙으로 된 둔덕 상부에 있는 콘크리트 기초와 안테나가 서 있는 구조다. 2024.12.30 [email protected]

이에 대해 공항 측과 국토교통부는 아래로 기울어진 비활주로 지면과 활주로와의 수평을 맞추기 위해 콘크리트 둔덕을 세워 돌출된 행태로 보이는 것이라며 사고에 영향을 미쳤는지 여부는 조사 결과에 따라 판단돼야 한다고 설명했다.이중 콘크리트 둔덕은 2m 높이로, 흙더미로 덮여 있었다. 로컬라이저까지 포함하면 모든 구조물은 4m 정도 높이에 해당하는 것으로 알려졌다.공항 측은"로컬라이저의 내구연한이 끝나 장비를 교체하면서 기초재를 보강했다"고 설명했다. 서대연 기자=30일 전남 무안군 무안국제공항 활주로 인근의 방위각 시설이 전날 제주항공 여객기와의 충돌 여파로 파손돼 있다.

활주로 끝에서 로컬라이저가 있는 둔덕까지의 거리가 짧은 것이 피해 규모에 영향을 미쳤다는 해석도 제기된다. 인천과 김포 등 다른 국제공항은 이 거리가 대부분 300m 이상이다.외국 항공 전문가와 전직 비행사들은 유튜브와 언론 인터뷰 등을 통해 여객기가 이러한 구조물과 충돌해 인명 피해가 컸다고 주장하고 나섰다.익명을 요구한 한 현직 기장은"여러 공항을 다니며 많은 안테나를 봤지만 이런 종류의 구조물은 처음"이라며"안테나를 더 높게 만들고 싶어도 콘크리트 벽을 건설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서대연 기자=30일 오전 전남 무안군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충돌 폭발 사고 현장에서 과학수사대가 잔해를 살피고 있다. 2024.12.30 [email protected]이에 대해 국토부는 연이은 브리핑에서"여수공항과 청주공항 등에도 콘크리트 구조물 형태로 방위각 시설이 있다"며"제주공항은 콘크리트와 H빔을, 포항공항은 성토와 콘크리트를 썼다"고 반박했다.하지만 국내 모든 공항시설 설계와 건설은 국토부가 총괄하는 만큼 사고 조사 결과 둔덕의 피해 야기 사실이 확인될 경우 국토부의 책임은 불가피할 전망이다.공항 안전 운영기준 제41조 '포장구역의 관리' 1항에 따르면 공항 운영자는 공항 포장지역과 비포장지역 사이 7.5㎝ 이상의 단차가 생기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

이 소식을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요약했습니다. 뉴스에 관심이 있으시면 여기에서 전문을 읽으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yonhaptweet /  🏆 17. in KR

무안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충돌 방위각시설 로컬라이저 둔덕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30여년 전 아시아나 여객기 사고 재조명30여년 전 아시아나 여객기 사고 재조명무안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로 인명피해 발생, 1993년 해남 아시아나 여객기 사고와 비교 분석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무안항공사 참사, 새떼 충돌 의심무안항공사 참사, 새떼 충돌 의심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당일 아침 무안공항 활주로 위에 새떼가 하늘을 뒤덮었다는 공항직원 증언이 나왔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제주항공 여객기 무안 접수 중 활주로 중간부터 착륙... 엔진 고장 가능성제주항공 여객기 무안 접수 중 활주로 중간부터 착륙... 엔진 고장 가능성제주항공 여객기 무안공항 착륙 중 활주로 중간부터 착륙, 엔진 고장 가능성 제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무안공항 제주항공 사고, 조류 충돌 1차 원인으로 밝혀져무안공항 제주항공 사고, 조류 충돌 1차 원인으로 밝혀져제주항공 여객기가 무안공항에서 충돌 폭발 사고를 일으킨 사고 발생 배경에 대한 새로운 정보가 밝혀졌다. 조류 충돌이 1차 원인으로 밝혀졌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여객기 충돌 콘크리트 구조물이 피해 키웠나 [제주항공 참사]여객기 충돌 콘크리트 구조물이 피해 키웠나 [제주항공 참사]여객기 충돌 콘크리트 구조물이 피해 키웠나 [제주항공 참사] - 2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무안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조류 충돌 위험 예고 무시 논란무안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조류 충돌 위험 예고 무시 논란무안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는 공항 건설 당시부터 예상된 조류 충돌 위험에 대한 대책 부재가 문제로 지적받고 있습니다. 공항 인근 철새 도래지와 갯벌습지보호구역 등의 위치상 조류 충돌 가능성을 우려한 환경영향평가 보고서도 존재했지만, 적절한 대책이 마련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나고 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Render Time: 2025-04-07 02:5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