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 7C2216편 사고 기종인 보잉 737-800은 연료 방출 기능이 없어 비상시 피해가 더욱 커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무안 사고 이후 737-800의 안전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전남 무안국제공항 활주로 이탈 사고를 낸 제주항공 7C2216편은 미국 보잉사가 제작한 ' 737-800 ' 기종이다. 이 기종은 현재 국내 저비용항공사(LCC) 대부분이 운용 중이라 아직 정확한 사고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지만 국내 소비자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다. 또 737-800 기종은 상공에서 연료를 임의로 버릴 수 있는 '연료 방출' 기능이 없어 이번 사고처럼 랜딩기어(착륙 시 사용하는 바퀴)를 펴지 못해 동체로 착륙하는 상황에 피해가 더욱 커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29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보잉 737은 보잉사가 1967년 첫 생산한 중·단거리 전용 항공기이다. 보잉사의 최장수 항공기 모델인 737은 누적 판매량 1만대가 넘는 등 가장 많은 판매기록을 갖고 있다. 보잉 737은 크게 ▲ 737 오리지널 ▲ 737 클래식 ▲ 차세대 737(737 NG) ▲ 737 맥스로 나뉜다.
이 중 737 NG의 한 모델인 737-800은 1997년 출시 후 현재까지 5천대 넘게 팔리며 보잉사 737 판매량의 절반 가까이 차지한다. 항공기술정보시스템(ATIS)에 따르면 국내에서는 LCC를 중심으로 737-800 기종 101대가 운항 중이다. 업체별로는 ▲ 제주항공 39대 ▲ 티웨이항공 27대 ▲ 진에어 19대 ▲ 이스타항공 10대 ▲ 에어인천 4대 ▲ 대한항공 2대 등이다. 보잉 737-800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만큼 사고 소식도 자주 들려온다. 2022년 3월 중국 남부 광시좡족자치구에서 추락한 중국 동방항공 MU5735편이 대표적으로, 당시 사고로 승객 123명과 승무원 9명이 전원 사망했다. 이 항공기 추락 원인은 현재까지 밝혀지지 않았다. 전날에는 오슬로 가르데르모엔 공항을 출발해 암스테르담 스키폴 공항으로 가던 보잉 737-800 기종의 KLM 여객기가 유압 장치 고장으로 오슬로 토르프 산데피요르드 공항에 비상 착륙했다. 앞서 지난 10월에는 에어인디아익스프레스 소속 보잉 737-800 기종 여객기가 인도 티루치라팔리 공항 이륙 직후 랜딩기어 문제로 이륙 후 2시간 반 만에 회항한 일이 있었다. 게다가 737-800을 비롯한 보잉 737 기종은 비상착륙 시 동체 충격과 화재 위험을 줄이기 위해 하늘에서 연료를 버릴 수 있는 기능이 없다. 그런 탓에 비상시 같은 구간을 회전하면서 연료를 태워야 했으나, 이번처럼 엔진에 이상이 생긴 때에는 상당량의 연료를 실은 채 비상 착륙할 수밖에 없었을 것으로 보인다. 747, 777 등 보잉의 대형 항공기나 A340, A380 등 에어버스 항공기 등은 연료 방출 기능을 갖추고 있다. 항공업계 관계자는'737-800이 현재까지 가장 많이 팔린 기종인 만큼 기체결함 가능성을 논하기는 신중해야 할 필요가 있다'면서'정확한 사고원인을 파악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한민국 최근 뉴스, 대한민국 헤드 라인
Similar News:다른 뉴스 소스에서 수집한 이와 유사한 뉴스 기사를 읽을 수도 있습니다.
보잉 737-800, 전세계 판매량 1위...기체 결함 우려, 사고 사례 과감 노출제주항공 7C2216편 무안 활주로 이탈 사고는 보잉 737-800 기종. 국내 저비용항공사 대부분이 운용 중이며 국내 소비자 불안 고조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무안공항 제주항공 폭발사고, 보잉 737-800 유압 장치 문제 떠오르나무안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폭발 사고는 보잉 737-800 기종의 유압 장치 문제와 관련되어 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무안 공항 여객기 사고, 전문가 '인명 피해 심각한 이유' 분석무안 공항 여객기 사고에서 승무원 2명만 살아남았으며, 나머지는 사망했습니다. 전문가는 비상 상황에서 동체착륙 중 미끄러지면서 담장과 충돌한 화재가 많은 인명피해로 이어졌다고 분석했습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무안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사고기종 737-800은 2017년 제주항공에 임대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착륙하다 사고를 당한 제주항공 여객기는 라이언에어가 최초로 운항한 후 2017년 제주항공에 임대된 보잉 737-800 모델입니다. 기령은 15년으로 파악되었으며, 737-800은 전 세계 약 200개 항공사에서 운항하고 있습니다. 사고 현장에서는 파손된 기체 후미 수색 작업이 이어지고 있으며, 전문가들은 랜딩기어 유지관리 부실이 사고 원인으로 의심됩니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네이버 클로바엑스, 윤석열 대통령 비상계엄 허위설 답변네이버의 대화형 AI 서비스 클로바엑스가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와 관련해 허위 사실이라는 답변을 내놓았다. 이는 인공지능의 외부 검색 기능 부재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
동체착륙 시 발생한 화재 사고 상황전체적인 사고 상황, 동체착륙 전 연료 배출 및 화재 예방 방안, 사고 발생 메커니즘, 움직임 및 소방 대응 상황
더 많은 것을 읽으십시오 »